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마약의 역사 (49) 군벌 시대의 아편
게시물ID : history_515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Lemonade
추천 : 3/5
조회수 : 1382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2/07/27 09:46:22

지난 글 : 무창봉기 전후의 아편


http://todayhumor.co.kr/board/view.php?kind=&ask_time=&search_table_name=&table=history&no=5147&page=1&keyfield=&keyword=&mn=&nk=Lemonade&ouscrap_keyword=&ouscrap_no=&s_no=5147&member_kind=



중국의 적극적인 의지로 아편은 종말을 고하는 듯했으나 위안스카이(遠世凱, 중국 허난성 출신의 군인,정치가. 1912년 중화민국 대총통에 취임하였으며 1916년에는 스스로 황제라 칭하였다.)가 사망하면서 커다란 변화를 맞게 되었다. 


1916년 중국을 망쳐놓았던 군벌이 다시 등장하면서 다시 한 번 정치적인 대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군벌들은 비정규전의 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수입원으로 아편을 이용했고, 농부들에게 강제로 양귀비 재배를 하게 했다. 


이렇게 생산된 아편은 군벌에 의해 강제로 수탈되었다. 이 때문에 그동안 중국 정부가 취했던 아편에 관한 모든 금지 조치는 힘을 잃었고, 아편의 생산과 유통이 광범위하게 다시 이루어졌다. 심지어 어떤 지역에서는 양귀비 재배가 의무화되기도 했다.



 

위안 스카이 

 

아편에 대한 정부의 통제력이 무력해질 무렵 지방 군사령부가 있는 후난성 창테에서는 팽 유 시앙 장군에 의해 아편이 엄격하게 통제되었다. 기독교인이었던 팽 장군은 병사들에게 성경을 공부하도록 하고, 담배와 아편 그리고 음주를 금지시켰다. 그는 문맹인 군인들을 교육시켜 제대했을 때 빈곤하지 않도록 상업을 가르쳤다.

 

 

 

팽 유 시앙(馮玉詳)

 

아울러 팽 장군은 아편을 근절시키기 위해 아편 상인들에게 가혹한 벌금을 부과하였고, 아편을 판매하다 발각된 군인들은 처형하였으며, 민간인들은 벌금을 낸 후에 공개적으로 태형을 가했다.


그런 다음 죄상을 고발하는 종잇장을 목에 두르고 줄을 지어 많은 사람이 지켜보는 도심 한복판을 돌아다니게 했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아편 중독자는 동정의 대상이 되어 있었다.중독의 폐해를 잘 알고 있었던 팽 장군은 아편 흡연자들을 위한 공식적인 휴식처도 열었다. 


하지만 팽 장군은 아편을 완전히 근절시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무상교육을 통한 빈곤 퇴치, 질병 치료를 위한 재원 확보와 같은 사회복지 계획을 실시하기 위해 아편을 세입원으로 이용했다.


1920년에 E.G.켐프라는 작가가 창테에 도착했을 무렵 그 지역에서는 도박장,아편굴,매음굴이 모두 폐쇄되어 아편으로부터 안전한 지대가 되어 있었다. 이후 그녀는 아편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윈난성을 방문했다. 그녀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우리는 그곳이 빈곤하기 때문에 오히려 양귀비 재배가 증가하고 있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일반 작물들로 가득 차 있던 곳에 양귀비가 지천으로 널려 있는 풍경은 내 마음을 아프게 했다.


어떤 곳은 작물의 절반이 양귀비였다. 이 지역의 사람들은 양귀비 재배에 모두 매달리고 있는 듯했다. 그들은 땅을 두 차례 갈아 일구고 거름을 골고루 잘 준 다음 10월과 3월 사이에 세 차례나 파종했다.


파종한 후에는 여자들과 아이들이 양귀비자 잘 자랄 수 있도록 매일 김을 맸다. 나는 전족으로 옥죄인 여자들이 그 일을 하며 땀을 흘리는 모습을 자주 보았다.


국제아편금지협회는 1923년과 1924년 두 해에 실시한 조사에서 아편이 중국의 대다수 성(省)에서 생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당시 중국의 일부 성(省)에서는 아편이 통제되기도 했지만, 무정부 상태의 혼란과 부족한 세금, 단속할 수 있는 군인의 부족으로 인해 아편 교역을 막을 수 없었다.




군벌시절의 혼란 속에 아편이 중국에서 빠른 속도로 퍼져 나갔다

 

1870년대에 그랬던 것처럼 양귀비 재배지의 증가는 다시 굶주림을 낳았다. 중국 전역에서는 도적이 창궐했고 무질서한 상태가 광범위하게 퍼져나갔다. 산적들도 아편에 대부분 중독되어 있었다.

 

베이징연합의과대학의 미국인 안과의사 하비 J 하워드 박사는 1926년에 출판한 <중국 도적들과의 10주(Ten Weeks with Chinese Bandits)>에서 북만주에서 활동하는 도적들의 일생을 기록했다.

  

그들의 유일한 위안은 아편이었고, 그것을 얻기 위해서라면 무슨 일이든 서슴치 않았다. 서양의 군인들이 위스키와 맥주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과 같이 그들은 아편의 가격과 공급에 대한 정보를 교환했다.

 

그들에게 아편은 귀중품보다 소중한 것이었으며 그것을 탐닉하는 것만이 그들의 유일한 낙이었다. 또한 충분한 생아편을 갖고 있을 때, 완전한 행복을 느끼는 듯했다. 그러나 아편이 없으면 악마였으며, 아편에 대한 욕망을 억누르지 못한 사람들은 다시 도둑질을 하였다.

 

 

 

영화에서 묘사된 중국의 도적


1890년대부터 중국의 아편 흡연자들은 모르핀에 손대기 시작했다. 이후 1900년에 들어서자 모르핀 중독자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있었다. 


중국 정부는 모르핀 중독의 확산을 막기 위해 1901년 모르핀의 수입과 정제를 금지했고, 1902년에는 모르핀에 많은 세금을 부과했다. 정부가 모르핀에 대한 제재를 가하자 모르핀 유통업자들은 지하로 숨어들어 음성적인 거래를 하였고, 모르핀의 가격은 천정부지로 솟았다. 


1920년에 이르면 런던에서 12파운드에 도매되는 1파운드(453.59그램)의 모르핀이 상하이에서는 무려 210파운드에 거래될 정도였다.


모르핀 밀수는 만주,타이완,홍콩,프랑스령 인도차이나,한국,그리고 중국 등지에 전해졌고, 모르핀의 운반은 주로 일본인들에 의해 행해졌다. 모든 모르핀은 영국에서 제조되었고, 판매 제한에도 불구하고 밀수는 줄어들지 않았다. 


모르핀 중독이 일으키는 위험은 아편보다 훨씬 더 컸지만 제대로 알려진 사실은 별로 없었다.<베이징텐진타임스>지는 모르핀 사용 증가를 우려하는 논평을 1924년 크리스마스 직전에 게재했다. 


이 논평은 츄시엔 지역에서 매일 50만 개의 환약을 판매하고 있는 왕 로샨이라는 대규모 모르핀 환약 제조자에 대해 쓰고 있었으며, 모르핀에 중독되는 것이 아편에 중독되는 것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는 경고를 하고 있었다.


하루에 한 다스의 모르핀 환약을 삼키는 사람은 일반적인 아편 흡연자에 비해 육체가 더 빨리 파괴된다. 아편 흡연은 피우는 시간이라도 있지만 모르핀은 그런 번거로움도 없다. 


중국의 많은 지역에서 싸고 복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마약을 먹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먹는 마약은 무척 적은 양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많은 하급노동자들은 하루에 세 번 마약을 즐기는데 낮에 두 번 먹고, 마지막으로 일을 마친 저녁 때 마약과 느긋한 여유를 즐긴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