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보다가 글이 좋아서 퍼왔습니다
경향신문이요
‘어머니, 금(金)으로 집을 지어 드릴게요.’
어머니는 아이를 가졌을 때 꿈을 꿨다고 했다. 사람만큼 커다란 붕어가 도랑을 헤엄치고 있었다. 붕어를 따라가니 곧 넓은 바다가 나타났다. 바다를 만난 붕어는 금세 비단잉어로 변했다.
어머니는 “그런데 그 비단잉어가 갑자기 뛰어올라 재주를 넘더니 품에 안겼다. 그걸 보던 사람들이 막 박수를 쳐주더라”고 했다. 아이는 자라서 정말로 재주를 넘는 소년이 됐다. 그 재주로, 세계를 제패하려 한다. 금을 만들어, 집을 짓는다. 양학선(20·한국체대·사진)의 꿈이다.
전북 고창군 공음면 석교리. 20가구가 채 안되는 주민들이 모여 산다. 마을 끝에 있는 양학선의 집은 비닐하우스다. 허리조차 펴기 힘든 하우스 단칸방에서 어머니와 아버지가 산다. 벽에는 양학선의 사진과 메달이 걸려 있다. 어머니는 “학선이가 뜀틀에서 뛰어오르면, 난, 그게 꼭 화려한 꽃이 하늘에서 날면서 샤라락 도는 것 같아. 얼마나 멋져”라고 했다. 어머니는 그때마다 웃었다. 주름이 펴졌다.
아버지는 말을,
웃음을 잃었다. 공사장 미장기술자였던 아버지는 수년 전
어깨를 다쳤다. 인대가 모두 끊어졌다. 일을 놓았고, 삶도 놓았다. 광주 살림을 파하고 2년 전 석교리로 들어왔다.
비닐하우스를 짓고 살면서 아버지는 자꾸만 침울해졌다. 그해 여름 폭우가 쏟아졌다. 하늘은 450㎜의 비를 퍼부었다. 비닐하우스만 빼고 모든 게 다 쓸려내려갔다. 병원을 찾았을 때 의사는 ‘우울증’ 진단을 내렸다. 아버지는 “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이후 매일 약을 입에 털어넣는다. 그렇게 우울한 아버지를 웃게 만드는 건, 아들 학선의 재주넘기다.
![](http://img.khan.co.kr/news/2012/08/03/l_2012080401000451600033851.jpg)
런던올림픽 남자체조 도마 금메달에 도전하는 양학선은 전북 고창에 있는 부모님이 살고 있는 비닐하우스를 번듯한 새집으로 바꿔드리는 것이 또 하나의 꿈이다. 작은 사진은 아버지 양관권씨(왼쪽)와 어머니 기숙향씨. 고창 | 이용균 기자
아버지는 “학선이 재주를 볼 때마다 조마조마하다”고 했다. 힘차게 달리고 발판을 구르고 뜀틀을 짚어 하늘을 날면, 아버지는 손으로 눈을 가렸다. 아버지의 마음이다. 제대로 땅에 내린 걸 확인하고서야 아버지는 눈을 떴고, 웃을 수 있었다.
아버지는 “저 혼자 컸다. 기특하다”고 했다. 팍팍한 삶은 여유를 없앴다. 지금껏 단 한번도
가족여행을 떠나본 적이 없다. 아버지는 학선이가 돌아오면 형과 함께 세 부자가 바닷가로 낚시를 하러 가고 싶다고 했다.
어머니 기숙향씨(43)는 “학선이가 원숭이띠다. 원숭이가 제일 많이 움직인다는 오전 10시에 태어났다”고 말했다. 지고는 못 살았다. 세계 최고난도의 기술 ‘양학선’도 그래서 태어났다. 아버지 양관권씨(53)는 “2년 전 세계선수권에서 4위를 한 뒤 ‘아무도 트집잡을 수 없는,
신기술을 만들어야겠다’고 하더라”고 했다.
양학선은 정말로 누구도 따라할 수 없는 신기술을 완성시켰다. 하늘로 날아올라 한 바퀴 돌면서 세 바퀴를 비틀었다. 한국 올림픽 체조사상 첫 금메달을 위한 최고의 무기에 자신의 이름을 새겼다.
양학선은 금으로 집을 짓고 싶다. 비닐하우스를 뜯고, 번듯한 집을 짓고 싶다. 석교리에 집터는 마련해뒀다. 어머니는 “해준 것도 없는데, 참 효자”라고 했다. 태릉선수촌 훈련비가
하루에 4만원 안팎. 안 쓰고 차곡차곡 모으면 월 80만원 정도다. 대회라도 참가하면 훈련비가 안 나온다. 그 돈을 모아서 매달 10일 어머니 통장에 넣는다. 아버지는 “매달 10일이면 돈 잘 들어왔냐고 제 엄마한테 전화를 한다”고 했다.
‘효자’ 양학선의 도전은 6일 밤 11시41분에 시작된다. 힘차게 뛰고, 구르고, 날아올라, 착지에 성공하면 금으로 집을 짓는다. 하지만 어머니는 “다치지만 말고 와. 제일 좋아하는 제육볶음과
김치찌개를 준비할 테니”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