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군상식] 대한민국 장성보직과 인원수
게시물ID : military_3324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파스텔톤
추천 : 13
조회수 : 7792회
댓글수 : 25개
등록시간 : 2013/10/28 14:36:04
태극기.jpg


대한민국 총 장성급의 수는 약 440여명이며
가장 많은 육군의 경우 320여명, 가장 적은 해병대의 경우 약 14명입니다.

육군은 병력수 대비 장성 비율이 0.060%(320/530,000명) 이고, 해병대는 0.056%(14/25,000명) 가 됩니다.

그야말로 하늘에 별따기만큼 힘든게 군대에서 별을 다는 일입니다.





대통령(1명)


대통령.jpg


[대통령 성판] 대통령은 별이 없습니다. 
원수계급인 별 5개로 착각하고 계시는 분들이 간혹 있는데 국가를 대표하는 지위에 있다는 뜻으로 元首 입니다.

군대계급 원수(元帥/General of the Army/유럽은 Marshal)는 군대 장관급 장교의 최고 계급으로
일반적으로 단순히 진급해서 올라가는 것은 아니고, 
대장 계급자 중에서 공적이 매우 높은 사람을 선별해서 주는 일종의 숨겨진 칭호입니다.
근대역사에서는 세계대전 이후 미국 소련 영국 이탈리아 등등의 국가에서 존재하였으며,


천조국만 예를 들면 9명의 원수(윌리엄 리히, 조지 마셜, 어네스트 킹, 더글라스 맥아더, 체스터 니미츠,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헨리 아놀드,
윌리엄 할시 주니어, 오마 브래들리)가 (1944~50년 진급) 2차대전의 활약으로 존재하게되었고

원수보다 더 상직적인 의미이지만 
인디언 전쟁, 미국-스페인전쟁, 1차 세계대전 미국 원정군 총사령관, 아스네 마른 전투, 세인트 미히엘 전투 등등을 지휘한 존 퍼싱과 
미국 독립전쟁, 대륙군 총사령관, 미국 초대 대통령을 지낸 조지 워싱턴 
이렇게 두명의 대원수가 존재하였습니다.











국방부 장관(1명)

국방장관.jpg

[국방부 장관 성판] 국방부 장관은 민간인 입니다. 미국은 아얘 군복무 조차 하지 않은 민간인이 장관을 맡기도 하지만 거긴 모병제니까...
우리나라는 대부분 육군 4성장군 출신 예비역분들이 국방부 장관을 맡아서 국방에 관한 일을 총괄하지요.
장성수도 그렇고 국방부 장관도 그렇고 합참의장도 그렇고 몇몇분을 제외하면 거의다 육군출신입니다.












대장(9명)


대장보직은 합참의장, 합참차장, 연합사부사령관, 육군 1,2,3군사령관과 육/해/공군 참모총장이 있습니다.
합참차장은 대장보직이지만 보통은 중장 해/공군 장성이 맡고 있고, 
올해는 창군이래 최초로 해군에서 합참의장이 탄생하면서 육군중장이 합참차장에 임명되었습니다.


합참의장.jpg


[합참의장 성판] 붉은 바탕에 함참마크, 4성, 무궁화 잎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번에 새로 탄생한 해군출신 합참의장은 아마도 남색바탕의 성판을 사용할 겁니다. 

역대 38명의 합참의장 출신 군은 육군 36명, 공군 1명, 해군 1명입니다.





육군참모총장.jpg



[육군 참모총장 성판] 붉은 바탕, 참모총장 문양, 4성, 무궁화 잎




육군대장.jpg


[육군 군사령관 성판] 참모총장과는 달리 4성에 무궁화 잎만 있습니다. 
육군은 4성장군이 여러명이기 때문에 자세히 봐야지 누구차인지 구분이 갈 것 같네요.






해참2.jpg


[해군 참모총장 성판] 남색 바탕에 참모총장 문양, 4성, 무궁화 잎. 해군의 상징인 남색바탕색으로 확실히 구분이 가네요.
해군이나 공군이나 4스타는 언제나 한 분이었으니 다른 4성 성판은 없습니다. 이번에 해군 합참의장으로 인해서
해군 4성 성판 두개가 동시에 돌아 다니겠군요 ㅎㅎ





공참.jpg


[공군 참모총장 성판] 하늘색 바탕에 참모총장 문양, 4성, 무궁화 잎. 육군 해군과 동일합니다. 
공군의 상징인 하늘색 바탕이 눈에 띄고 문양도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공군은 현재 4스타가 참모총장 뿐이죠.. 
과거 한 명의 합참의장이 있었습니다만 지금은.... 
우리나라는 육군이 킹왕짱인듯 ㅎㅎ











중장


해병대사령관.jpg

[해병대 사령관 성판] 해병대도 육군과 같은 붉은색 바탕의 성판이지만 구별을 하기위해 해병대 마크를 같이 달아줍니다.
해병대는 해군에 소속되어 있기 때문에 해군 참모총장 보다 낮은 계급인 3성장군이 사령관을 맡고 있습니다.




%C1%DF~1.JPG

[육군 3성 성판] 해병대앵카만 없으면 일반적인 육군 3성장군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육군 - 군단장, 수방사령관, 육군특전사령관, 합참 작전본부장, 합참 전략기획본부장, 합참 인사군수본부장, 육군 참모차장
육사교장, 육군 인사사령관, 육군 교육사령관, 육군 군수사령관 등

해군/해병 - 해군 참모차장, 해병대 사령관, 해군 교육사령관, 해군 작전사령관, 해사교장

공군 - 공군 참모차장, 공군 교육사령관, 공군 작전사령관, 공사교장

국군 - 국군 의무사령관, 국방정보본부장, 국방대총장, 정보사령관, 기무사령관 등














소장





육군2성.jpg

육군 - 사단장, 3사관학교장, 육군 훈련소장, 보병학교장, 군지사령관 등

해군/해병 - 함대사령관, 해군본부/국방부 참모직위, 해병대 사단장 등

공군 - 공군본부/국방부 참모직위, 방공포병사령관 등

국군 - 국방부 조사본부장













준장


%BB_-%~1.JPG



육군 - 여단장, 군단/군사령부/국방부 참모직위, 부사단장 등등등

해군/해병 - 전단장, 해군본부/국방부 참모직위, 방어사령관 등

공군 - 훈련비행단장, 비행단장, 공군본부/국방부 참모직위 등

국군 -  국군수송사령관, 국군지휘통신사령관, 국군화생방방호사령관, 국군체육부대장, 
국방부근무지원단장, 계룡대근무지원단장, 국군복지단장, 국군간호사관학교장 등








인터넷 검색하면 나오는 내용이라 군사기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육해공군참모총장과 해병대사령관은 각 군의 최고지휘관이기 때문에 각군의 마크가 성판 배경에 들어가게 됩니다.

배경색이 육군과 같은 해병대 장군들은 별 위에 작은 해병대 앵카가 추가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대한민국 국군 의전 서열은 

(대통령) - 국방부장관 - 합참의장 - 육/해/공 참모총장(진급일 순) - 1,2,3군 사령관(진급일 순) - 연합사 부사령관 - 합참차장 순입니다.

정무직인 국방부차관은 그 다음으로 서열 11위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