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위키리스크가 말하는 남북정세
게시물ID : sisa_21934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쥐와함께춤을
추천 : 1
조회수 : 486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2/08/11 19:45:04

■일본 내 한국 전문가
“박근혜가 한·일 관계 개선할 것”


한국 대통령의 성향에 따른 한·일 관계 변화도 미국의 주요 관심거리이다. 2006년 7월27일 주일 미국 대사는 일본 내 한국 전문가인 오코노키 마사오를 만나 한·일 관계에 관한 설명을 들었다. 오코노키는 미국 대사에게 “한국의 노무현 대통령은 반미·반일 민족주의자 조언자들에게 둘러싸여 있으며, 향후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 박근혜 대선 후보가 선출되면 한·일 관계가 개선될 것이다. 일본인들은 박근혜의 민족주의를 좀 더 받아들일 만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이명박 정권에서 한·일 관계는 다소 달랐다. 2009년 4월13일자 주일 미국 대사관 문서는 “이 대통령은 개인적으론 강력한 한·미·일 안보 협력을 바라지만, 그의 약화된 정치적 입지와 대중의 한·일 군사 협력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 그 바람을 드러내기가 어렵다”라는 주일 한국 외교관의 설명을 실었다. 이에 미국 대사는 “3자 간 안보 협력 강화를 위해 한·일 양국 사이에서 미국의 감독과 주도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 같다”라고 의견을 덧붙였다.







■김병호 키르기스스탄 대사

“내 활동 목적은 기독교 선교”

한국 외교 대사가 기독교 선교사를 자처한 사실도 드러났다. 관련 문건은 2008년 12월29일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주재 미국 대사관에서 작성한 것으로, 당시 미국 대사가 키르기스스탄에 새로 부임한 김병호 대사를 만나 나눈 이야기를 담고 있다. 기독교 신자인 김 대사는 미국 대사에게 “이곳에서의 가장 큰 활동 목적은 한국인 기독교 선교 활동을 보호·지원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 김 대사는 한국 정부 내 기독교의 영향력에 대해 언급하며 “급속히 기독교화돼가는 한국에 대한 불교·유교 신자들의 반대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대통령으로부터 (선교) 권한을 부여받았다”라고 말했다고, 미국 대사는 문서에서 전했다.


   
ⓒ뉴시스
김하중 전 통일부 장관.
김 대사는 자신이 추구하는 ‘개종(改宗) 대사(proselytizing Ambassador)’의 롤 모델로 주중 대사를 지낸 당시 김하중 통일부 장관을 꼽았다. 그는 “김 장관이 주중 대사이던 시절 지하 교회에 자주 방문했지만 ‘성령이 그에게 언제 어떤 교회를 방문할지 알려준 덕에(the Holy Spirit Himself told him which churches to visit and when)’ 중국 공안 당국에 발각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또 “김 장관은 손을 들어 병을 낫게 하는 능력이 있다”라며 중국 공산당 주요 간부인 자신의 친구 사례를 들었다. 김 장관이 그의 병을 치유해준 덕에 그 친구가 한국 지하 교회의 존재를 알고도 묵인했다는 것이다. 김 대사는 “(통일부 장관이 된) 김 장관이 이제 ‘신이 주시는 영감(Divine Inspiration)’을 받아 북한에 복음을 전파하고 마침내 통일까지 이루길 기대하고 있다”라고도 말했다.

이런 김 대사의 발언에 대해 타티아나 러 키르기스스탄 주재 미국 대사는 “(그의 강한 선교 의지는) 이곳 관리들의 적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라고 논평했다. 또한 “한국은 2008년 상반기 1730만 달러를 투자해 이곳에서 세 번째로 큰 투자국으로 부상했는데, 김 대사는 이런 한국인의 투자 활동마저 종교적인 것으로 그 공을 돌리는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1261
---------------------------------------------------------------------------------------------------------

일부 내용만 가져왔고요. 흥미로운 내용이 많네요 ㅋㅋ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