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조금은 불편한 걸그룹분석글 1편 - 걸그룹의 성공조건
게시물ID : star_33742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YoonA
추천 : 14
조회수 : 1117회
댓글수 : 11개
등록시간 : 2015/12/07 00:27:12

0.서론

거의 모든 걸그룹을 좋아하는 한명의 덕후로써, 덕력을 바탕으로 써보는 개인적이 분석글입니다.

SES부터 러블리즈까지 어느덧 20년을 바라보는 아이돌 걸그룹에 대해서 적어보자 합니다.
물론, SES이전 코코, 은방울자매등등.. 걸그룹(?)은 있었지만, 걸그룹 붐을 시작한건 SES였고
전 세대를 들썩거리게한 Tell me, Gee의 소녀시대와 원더걸스는 아이돌 걸그룹의 대후크 시대를 열었죠.

2040680322_c058d9f3_19.jpg
ses.jpg

97년부터 2007년까지의 10년은 SES와 핑클의 양대산맥으로 정리 가능하고,
베이비복스,슈가,쥬얼리,천상지희 등 굵직한 그룹들이 있긴 하지만 큰 이슈라고 하기엔 부족하다고 봅니다.
그 외에도 티티마, 밀크, 아이써틴,서클,레드삭스처럼 이름은 들어본적있는(?) 그룹들도 있었죠.

1세대~1.5세대로 정리했던 이 기간에는 사실 양강그룹과 1약의 S,F,B 세 그룹을 제외하면
거의 쓸 이야기도 없고, 이미 예전에 걸그룹 세대관련 정리글에서 썼으므로 링크로 대체합니다.


이전글 : 1세대부터 4세대까지, 여자아이돌 그룹의 역사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tar&no=332904&s_no=332904&kind=search&search_table_name=star&page=1&keyfield=subject&keyword=%EC%97%AD%EC%82%AC

07년 이후 원더걸스와 소녀시대, 카라를 이어 2NE1까지 걸그룹이 음악관련 차트를 휩쓸기 시작한 시점부터
대 걸그룹시대가 시작되었고 실제로 매년 50팀 가까이 데뷔하고 사라지는등 여전히 걸그룹은 인기가 뜨겁다고 봅니다.

연간 음원차트 1위
(원더걸스 - So hot(2008), 소녀시대 - Gee(2009), Miss A - Bad Girl Good Girl(2010), 티아라 - Roly-Poly(2011))
gee1.jpg
Nufo1GJm_EC82ACEC9AA9EC9E90_ECA780ECA095_10.jpg
5ff63e44179e359449929918aad732c0_hNQ9fLr8R3RWs16tksgyrUxjb.jpg


90년대말~2000년대 초까지 소위 아이돌음악은 주류가 아니었고,
연간 차트에는 남자 솔로가수, 여자 솔로가수, 혼성그룹, 남성그룹, 발라드, 댄스, R&B등
여러가수 조합과 장르의 경합이 주를 이뤘죠.
(조성모, 김현정, 쿨, SES, 엄정화 등등 1위 가수(그룹)들이 다양하던 시절)

2010년도 이후 한국 음악시장은 사실상 '아이돌 음악이 없으면' 망하는 수준에 이르렀고,
연간 음원,음반차트등을 아이돌 그룹들이 거의 다 휩쓸다시피하고
한류열풍의 한 축인 K-POP도 99% '아이돌음악'이 대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원더걸스와 소녀시대가 '원피스'를 보여주었고,
매년 수십개의 그룹이 그걸 찾기위해 대항해를 시작하는데
과연 원피스를 찾는 성공 조건은 뭘까?라는 생각에서 첫 분석글을 시작해보려 합니다.


1. 걸그룹의 성공조건에 대해

성공한 걸그룹이 어느정도일까요?
데뷔 8년째 정상을 보여주는 소녀시대정도?
바로 오늘인 15년 12월 6일기준 인기가요 1위를 한 EXID정도?
아니면 연게에서 가장 큰 지분을 차지하는 러블리즈정도면 성공한 걸그룹일까요?
셀수없이 쏟아져나오는 그룹들중에서 최소한 대중들에게 어느정도 인지도를 가진 팀이라면 성공한 걸그룹일수도 있겠죠.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기획사에서 연습생 발굴부터, 데뷔까지 억대를 훌쩍 뛰어넘는 돈이들고
5인조 걸그룹이 1년에 쓰는돈이 10억이 넘는다는 기사자료를 보면 
손익분기점에서 이득을 보는 걸그룹정도면 성공한 걸그룹이라고 생각합니다.
(소속사가 아니면 확실히 알수는 없겠지만, 어느정도 예상은 가능하겠죠.)

이미 레드오션임이 확실한 걸그룹시장에서 손익분기점을 넘기 위해선,
음원차트 상위권에 진입하거나, 인지도가 높아서 방송 및 행사 출연이 수월하다거나,
탄탄한 팬덤을 가지고 꾸준한 음반 및 굿즈판매등이 가능하다거나라는 조건들이 복수로 필요하겠죠.
걸그룹이라는건 '전략적계획상품'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걸그룹의 성공 지표를 따로 분석해보고 싶었습니다.

성공필요조건들을
1. 기획사의 능력(기획력, 홍보력등)
2. 그룹자체의 스펙(비쥬얼, 가창력, 퍼포먼스)
3. 그룹의 컨셉(청순,섹시,아카펠라류등등)
4. 팬덤파워 및 팬덤 생성력
5. 기적적인 반전 성공
이 다섯가지로 전제하고 분석해보려 합니다.


1-1. 기획사의 능력
걸그룹을 넘어 아이돌이야기를 할때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SM이 여기서 등장해야겠죠.
애초부터 남자아이돌과 솔로아이돌까지 기획사의 힘이 뭔지 보여준 기획사인 SM은 걸그룹에서도 탁월합니다.
(남돌과 솔로가수는 제 덕력부분이 아니기때문에 제외합니다.)

SM의 대표 걸그룹인 소녀시대의 성공은 여러가지 요소로 분석이 가능하고,
Gee의 메가히트와 기획사의 능력등의 여러가지 조건이 있겠지만
최근 단기간 공중파 1위와 연간 음원&음반차트 최상위권에 위치시킨 '레드벨벳'은 기획사의 능력이 얼마나 탁월했는지 알수있는 부분이죠.
SES를 잇는 청순소녀컨셉의 소녀시대를 히트시키고, 실험적인 일렉트릭팝의 f(x)까지 연이서 성공시켰던 왕국(?)에서 
이미 새빨간 걸그룹 레드오션에 5년만에 내놓은 SM 왕국 공주님들인 레드벨벳은 데뷔 8개월만에 지상파 음악방송 1위에 성공합니다.

144786843686Q479Fkg1yFZAa.jpg

위 차트에서보면 레드벨벳의 공중파 1위시간이 상당히 짧은편에 속한다는걸 알 수 있죠.
(심지어 연게단골 지숙이네 그룹은 아직도...)

lNEZ1Pn.jpg

레드벨벳의 성공요인중 기획사의 능력부분을 따져보자면
최근 데뷔한 걸그룹들과는 확실히 다른 컨셉,
데뷔 전부터 SM루키즈로 다져진 팬덤과 실력인증,
데뷔 전부터 같은 소속사 타 그룹의 뮤비에 출연시키는 기획사의 홍보력,
데뷔 후 공중파 예능 및 방송 노출빈도의 횟수가 많은점등등..
대형기획사의 힘과 좋은 기획력, 홍보력으로 포화상태인 시장에서도 확실한 성공을 시켜주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죠.

물론, 레드벨벳은 성공필요조건중 거의 모든 항목을 충실히 갖춘 그룹임은 분명합니다.
3세대 이후 한두가지 조건으로 성공한 그룹은 거의 없다시피하고, 최근 4세대 그룹들은 대부분 고스펙(?)그룹임을 감안하면
2010년 시스타 이후 데뷔 1년이내 공중파 음방1위를 차지한 유일한 걸그룹인 레드벨벳의 성공요인중
기획사의 능력부분이 특별히 부각되어 보이는건 사실입니다.

레드벨벳 이외에도 최근 여자친구의 경우도 소속사의 기획력과 파워청순컨셉등은 1번 조건에 들어갈 항목이라고 봅니다.
상당히 작은 기획사임에도 불구하고 포화시장에서 뛰어난 성적을 보여주는 신인이고, 이후의 활동이 기대되는 신인이죠.

반대로, 레인보우는 기획사의 능력적인 부분에서 역시너지를 보여주는 특이한 그룹인데
한때 SM과함께 양대 아이돌 기획사로 불렸던 DSP에서 카라의 성공이후 야심차게 내놓은 그룹인 레인보우는
A와 Mach,To Me등의 괜찮은 히트를 보여주며 상승세를 타던시기에 1년 8개월의 공백을 가졌죠.
팬덤이 빠르게 이동하는 걸그룹 특성상 장기간의 공백이 엄청난 타격이었던걸 감안하고도,
이후 내놓은 '블랙스완'은 장난삼아 '소녀시대가 들고나와도 망할정도'의 최악의 곡을 주며
요즘은 생계형아이돌로 더 유명해진게 사실이죠. 참 안타까운 부분입니다.






상당히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분석&잡담글이라 불편하실분들께 미리 사과말씀을 드립니다.
1-2부터는 언젠간...쓰도록...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