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북한 무인기에 대한 심도얕은 분석(1)
게시물ID : science_3375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류카군
추천 : 11
조회수 : 1279회
댓글수 : 65개
등록시간 : 2014/04/03 16:33:03
북한 무인기가 연일 화제입니다

이쪽관련해서 공부도 조금 했고 관련 조사도 많이 했던지라

짤막하게 썰이나 풀어볼려고

무인기니까 과게에 풀어봅니다

자 먼저 파주에 추락한 무인기입니다

13.jpg


일단 안테나가 보이고 내부엔 카메라가 앞에는 엔진이 보입니다

기사일부에서 구축비용이 대략 2천만원 내외라고 하는군요

자 일단 저 엔진이 무엇인지부터 살펴볼까요

ASP-FS180AR.jpg


모양 비교해보면 알겠지만 매우, 매우 똑같습니다

2행정 엔진입니다

하비킹이라는 외국 사이트에서 찾은 사진이며

이 엔진에 대한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Spec.
Displacement: 29.83
Bore: 35mm 
Stroke: 31mm 
Suggested prop: 16*12
RPM: 1,800 ~ 10,000
Weight: 1530g 

이 엔진을 이용한 RC 비행기 영상도 첨부합니다





음...눈으로 안보이는 상황에서 조종하기엔 어려움이 많아보입니다

다음으로는

기사를 인용하자면

----
합동조사팀 관계자는 2일 “무인기 정밀분석 작업 중 꼬리날개 부분에 내장된 영상 송신장치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송신장치는 안테나 길이 15㎝ 정도로 2.4G㎐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계자는 “2.4G㎐는 한국에선 영상을 송신하는 주파수로 활용하지 않는다”며 “한국에선 1.25G㎐나 5G㎐ 등을 영상 송신장치 주파수로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북한 무인기에 송신장치는 없었다”며 공식 부인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번에 발견된 무인기는 일제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한 뒤 기체를 회수해 분석하는 방식”이라며 “초보 수준의 정찰용”이라고 말했다.
----

2.4Hz는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와이파이! 주파수입니다

송신장치가 있었더라도 와이파이가 북한까지 넘어갈려면 어우, 슈퍼울트라와이파이네요

보통 RC에서도 수신 채널로 쓰이는데, 끽해봐야 수신거리 1km입니다

엔진 뒤쪽으로 안테나로 보이는 부분이 있는데, 아무리 눈을씻고 쳐다봐도 와이파이 안테나처럼 생겼습니다

그리고 기체를 회수해 분석하는 방식이라고 하죠?

이게 흔히 UAV에서는 Waypoint 혹은 Return Home 기능을 추가하는건데

원하는 위치로 보냈다가 다시 복귀하게 하는거죠

당연히 이걸 쓰려면 GPS/IMU가 있어야합니다

위치뿐만아니라 비행체가 그 위치에서 어느방향을 향하고 있는지도 중요하단거죠

GPS 모뎀이 있었다. 라는 기사는 있는데

GPS에 대해서 개똥만큼도 모르는 사람들이 기사를 쓰고 앉아있으니...

GPS가 안테나가 크다고 다 되는줄 아는건지...

전문가들도 다 부정적인 입장인데 왜 자꾸 똥같은 기사를 뽑아내는지 도통 알수가 없습니다 그려

그리고

카메라

다들 알겠지만

저 데세랄이 무슨 기종인지 알 수 없지만

24미리 단렌즈라고 합니다.

5키로미터 상공에서 소형 데세랄에 24미리 화각?

ㅋㅋㅋㅋㅋㅋ

일반 항측회사에서 항공 지도를 만들때 쓰는 카메라도 153미리 씁니다

24미리로 실험했을때 아무리 좋아봐야 500미터 넘어가면 화질구지로 못써요

네 직접 UAV로 데이터 취득하고 실험해본거에요

소니 A7에 칼짜이쯔 렌즈로요


암튼

기체 폭이나 너비를 봐도 절대 기사에서 말하는 임무수행능력 없어보이는데

왜이리 다들 호들갑인지 모르겠습니다

(1)이라고는 썼지만 2편은 글쎄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