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PC 게임 심의비용..... 글쓴이입니다. 제가 바라는것
게시물ID : gametalk_34615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장미는ROse
추천 : 12
조회수 : 979회
댓글수 : 8개
등록시간 : 2017/08/26 03:06:42

안녕하세요.
어제 게임 심의비용 글로 베오베 갔던 글쓴이입니다.

지난번 글의 부족한 설명때문에 오해를 야기한것 같아
염치없지만 한번 더 베오베 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래 모든 내용은 모바일게임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20170826031421.png
한국어를 지원하는 모든 게임은 위 이용등급표시를 부착해야 합니다.
문제는 저 표시를 사용하려면 게등위의 심의를 받아야만 한다는 겁니다. 

하지만 게등위의 심의는 복잡하고 비싸고 오래걸리는데다가... 이건 게임출시보다 먼저 와야 하니까....
불편한 정도가 아니라 어렵습니다. 많이 복잡하고 많이 비싸고 많이 오래걸립니다.

국내 대기업들한테는 별거 아니고, 잘만 통과하지만요. 다른 창작자들은 다릅니다.

인디제작사 - 한국어 지원 X 
해외제작사 - 한국어 지원 X 
취미일반인 - 포기.
라는 결과가 나옵니다.


한국게임시장을 축소시키는 원인입니다. 제작사들이 한국어 지원을 안해주게 만들어요.
그 불편은 고스란히 한국 게이머들이 겪어야합니다.


저 심의를 받지 않고 한국어를 지원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우회법(?)이 유명한 상황이구요.

20170825234651.png



또.. 한국 게임산업에 뿌리는 제초제도 맞습니다.
재능있는 게임 새싹이 게임을 만들어도 한국어인 상태로는 스팀,카페,커뮤니티,개인 블로그 그 어디에도 게임을 올리면 안되거든요.
복잡한 절차를 통과하고 기백만원의 심의비를 낼 수 있는 '새싹' 비율은 정말 적을겁니다.
위 우회법도 한국어 아닌 언어로 게임제작이 불가능한 새싹들은 이용불가구요...







제가 바라는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용등급 판단에 관한 상세하고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공
2. 창작자가 게임 등급을 자율적으로 판단하여 이용등급표시를 사용할수 있게 함.
3. 신고제도 시행, 자율판단이 되지않은 게임을 신고받아 심의. 심의결과 부적절로 나왔을경우 게등위 판단하에 조정 및 형사처벌 가능.

이걸로 충분할거라고 생각합니다.

말만 길었지.
야한만화 그리는 사람들이 알아서 19금 딱지 붙이고 연재하는것과 다를바가 없다고 봅니다.

-------------------------------------------------------------
참고로 자율심의제가 나오긴 했습니다. 게등위에서 교육받은 전문가가 등급판정을 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66136
그런데 해외/인디/취미 창작자들은 적용받기 힘들어보입니다.
-------------------------------------------------------------






지난번 제 글에 게임 심의를 유아용 카시트 KC인증과 비교하시며,
심의는 까다로울수밖에 없고, 비용이 많이 들수밖에 없으며, 시장에서 돈을 벌기위해서는 감수해야 한다고,
다른 산업과 같은 선상에서 봐야한다며, 게임만 유별나게 특별대우를 받고싶어하지말라고 댓글다신 분이 계십니다.






저야말로 게임을 다른 산업과 같은 시각으로 봐주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소프트웨어인 게임은 발암물질이나 환경호르몬이 검출될 리도 없고,
유아용 카시트의 충돌테스트처럼 (장비와 설비와 각 전문가가 필요한) 여러 실험을 거쳐야 하는것도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게임 심의가 복잡하고 오래걸리며 비싸고 강제적이기까지 하게 된 이유는
한국이 게임을 "유별나게" 해로운 무언가로 특별대우하기 때문은 아닌가요?














1줄 요약

[ 야겜,총겜에는 알아서 19금 딱지 붙일테니까 공인인증서+각종 서류제출에 수십~수백만원 하는 돈받고 몇개월 기다리게 하고 이런거 하지말아주세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