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MB정부 "물가 12년만에 최저" 발표
게시물ID : sisa_22373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시지프스
추천 : 11
조회수 : 345회
댓글수 : 5개
등록시간 : 2012/09/03 17:22:15

"물가가 12년만에 최저로 떨어졌다고요? 남편 월급은 올해 겨우 2% 올랐는데 매달 생활비는 5%씩 늘어 지갑열기 겁날 지경이에요. 요즘처럼 장바구니 들고 나오기 무서운 적도 없었는데 황당하네요."
3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만난 가정주부 김정인씨(38)가 '물가 최저치'라는 정부 발표가 믿기지 않는다는 듯이 되물었다.

김씨가 구매했던 채소와 과일이 한주 사이에 두배 가량 올랐다. 이날 롯데마트에 따르면 신선식품 가격은 일주일만에 최대 85% 상승했다. 지난주 1900원에 판매하던 적상추(1봉)는 현재 3500원에 판매 중이다. 대파 1단은 지난주 가격(2180원)보다 60% 오른 3480원에 팔리고 있다.

그동안 억눌려있던 라면, 참치캔, 새우깡, 맥주, 콜라 등 가공식품 가격도 줄줄이 올랐고 휘발유값은 이달들어 ℓ당 2000원을 돌파했다.

하지만 정부 물가는 정반대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 3일 통계청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8월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1.2%가 올랐다. 1.1%를 기록한 2000년 5월 이후 12년 3개월만에 최저치다. 소비자물가는 두달 연속 1%대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전월 대비로는 0.4%가 올랐다.

체감물가와 지표물가 사이에 온도차가 커지자 정부 '물가 깜빡이'가 고장난거 아니냐는 푸념도 나온다. 이같은 현상이 벌어진 것은 특정 기간을 쪼개 상대 비교하는 물가 산정방식 때문이다.

특히 이번에는 지난해 물가 상승폭이 워낙 커 현재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아보이는 '기저효과' 입김이 크게 작용했다. 지난해 8월에는 집중호우, 구제역 후폭풍, 전세대란으로 인한 집세상승 등이 얽히며 물가가 연중 최고치인 4.7%를 기록했다.

이는 9월부터는 지표 물가도 본격적으로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가 된다. 지난해 9월 물가는 3.8%로 상승폭이 대폭 둔화돼 이번 같은 기저효과가 나타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볼라벤, 덴빈 등 겹태풍 변수가 빠졌다는 것도 물가 괴리 한 원인이다. 태풍은 지난달 27일부터 전국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지만 통계청 물가조사는 25일 이전에 끝났다.

'1%대 물가' 이면을 뜯어보면 불안한 구석이 많다. 8월 물가는 전월 대비 0.4%가 올라 지난 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슬금슬금 오르고 있다. 특히 농축수산물은 전월 대비 1.8% 상승해 5개월만에 오름세로 돌아섰다.

여기에 태풍으로 인한 농수산물 피해, 애그플레이션(국제곡물가 급등에 의한 물가상승), 가공식품 가격 인상, 재차 반등하는 유가 등 연내 가계 물가를 자극할 복병이 곳곳에 숨어있는 상태다.

당장 추석을 앞두고 겹태풍으로 14만㏊ 농경지 피해가 발생하는 등 과일.채소값 급등 요인이 커졌다. 정부도 이같은 위험을 우려하고 있다.

안형준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9월부터는 태풍 영향과 액화석유가스(LPG) 가격 상승 등이 물가에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4일 추석 농수산물가격안정 대책회의를 갖고 관련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윤창용 신한금융투자 이코노미스트는 "농산물, 석유류 등 체감물가 불안이 깊어지고 있다"며 "전년 동월비 기저효과가 약화되면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비용 압박이 커지며 9월부터는 지표물가가 점차 체감물가에 따라붙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출처 :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htm?articleid=2012090316084445498&linkid=4&newssetid=1352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