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세계의 미스터리(25) -파이스토스 원반 - <BGM>
게시물ID : mystery_347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Dementist
추천 : 13
조회수 : 6719회
댓글수 : 13개
등록시간 : 2013/12/17 10:17:33
BGM : Approaching Nirvana - Forest of Wonder
 
 
 
지중해(Mediterranean Sea)의 크레타(Crete) 섬의 파이스토스(Phaistos)라는 도시에서 발견된 거울 모양의 점토판(Clay Disc)이다. 이 점토판의 양면에는 그림으로 된 글씨들이 적혀 있는데, 아직 해독되지 못했다.
 

실제 사진 (Real Photo)
 
 
1.jpg
 
2.jpg
                                       A면 (Side A)                                                                                   B면 (Side B)
 
 크노소스(Knossos) 신전이 있는 것으로 유명한, 지중해의 크레타 섬의 남쪽 해안의 파이스토스(Phaistos)라는 도시의 미노아(크레타 섬의 문명) 궁전 유적의 지하실 방에서 1908년 발견되었다. 지름은 약 15cm이고 두께는 1cm 정도이며, 기원전 약 1700년 경의 것으로 추정된다. 1차 미노아 궁전을 발굴시, 사원 저장소로 보이는 지하 방에서 발견되었는데, 이 지하 방은 천정에만 출입구가 있고, 고운 회반죽으로 잘 덮혀 있었다 한다. 당시 이 유물은 검은 흙과 재, 탄 소뼈들에 섞여 있었고, 그 근처에는 Linear A의 문자로 된 점토판(tablet PH-1)이 함께 발견되었다. 이 지역은 지진으로 붕괴되어있었고, 이 지진은, 아마 기원전 1628년 경에 지중해 지역에서 큰 영향을 끼친 산토리니(Santorini) 화산의 폭발과 관련있다고 한다. 이 점토판의 글자는 미리 제작된 상형 문자 모양의 도장들을 점토에 찍어서 새겨졌으며, 높은 온도에서 구워졌다. 총 241자의 글자가 적혀 있고, 총 45 종류의 글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이 유물은 그리스 크레타섬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보정된 화상 (Compensated Image)
 
3.jpg

                                      A면 (Side A)                                                                              B면 (Side B)
 
 이 점토판의 글자들에 대해 해독의 시도가 있었지만, 현재까지 아무것도 얻어낸 것이 없으며, 정보 이론(Information Theory)의 선구자인 섀논(Claude Shannon)[1910~2001]에 의하면, 이론적으로는, 이 글자들의 수량만으로 충분히 유일한 해독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한다. 즉, 무식한 노력으로 파이스토스 원반의 해독을 시도한다면, 의미가 있는 단 하나만의 해독문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음절표 (Syllable Table)

 
4.jpg
 
 
 이 점토판에 적힌 그림 문자들은 아직 해독되지 않은 문자인 Linear A와 연관이 있다는 설이 있다. Linear A는 크레타 문명에서 발견되었으며, 미케네 문명에서 사용된 문자인 Linear B의 원조가 되는 글자이다(많은 부분의 문자들의 모양이 서로 비슷하다). Linear B는 해독되었으며, 그리스어의 원형임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Linear B의 원조인 Linear A는 인도-유럽어족(영어, 라틴어, 그리스어 등의 대부분의 인도와 유럽 근처의 언어들)의 언어와 맞춰보면 전혀 무슨 말인지 해독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이 Linear B 문자들의 발음들은 일본어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이다.(가기구게고, 나니누네노, .. 와 같은 식의 발음임).
 
 

 크레타의 우수한 문명이 번성하고 있을 때, 미케네인들로 문명이 전파되면서, 이 크레타 섬의 문자인 Linear A를 모방하여, 미케네인들이 Linear B 문자를 만든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글자는 서로 유사한 면이 있지만, 아마 인종이 전혀 달라서 그런지, 말 자체가 전혀 다른 것이다.
 
 

 고대부터 우수한 문명을 가지고, 크레타 섬에 살고 있던 사람들은 누구이며, 왜 그들의 주변 인종들과는 전혀 다른 말을 쓰고 있었던 것일까?
 
 

 그리고 그들은 왜 이러한 거울 모양의 점토판에 글을 남긴 것일까? 아직 해독이 되지 않았으니, 누구라도 해독에 도전해 볼 수 있겠다.
 
 

 해독의 단서로서, 첫째, 점토판의 그림들의 모양을 Linear A의 글자들과 연결시키는 것이고(참조 문서 4번 참고), 둘째, Linear A와 B에서 공통적인 문자들이 발음이 같다고 가정하여 Linear A의 글자를 해독하는 것이다. 셋째, 점토판의 그림들을 잘 보면, 한국어나 일본어처럼 종결 어미(예를 들어, 한국어의 '~한다', '~는다'의 글자 '다')로 보이는 그림문자가 끝에 자주 반복된다(주변머리 없는 사람모양의 02번 문자). 영어나, 라틴어, 그리스어는 이처럼, 문장 끝에 이러한 어미가 반복되지 않는다.
 
 

 참고로, 크레타 문명의 문자인 Linear A가 해독되지는 못했지만, 몇가지 해독의 실마리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첫째, (Y)A-SA-SA-RA-ME ((야)아사사라메)라는 글자가 서셈족의 다산의 여신(Lady of Sea)과 관계 있다는 것이고, 둘째, -NA(나) 또는 -NE(네)가 소유격 조사('~의')와 관계가 있다는 것, 셋째, KU-RO(쿠로)가 셈족어의 '클[kll]'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물론 우연~이겠지만, 우리나라 말과 빗대어 본다면, 첫째, A-SA-SA-RA-ME는 '아사(동쪽) 사람에(의)'이란 뜻이 되고, 둘째, -NE(네)는 '~네 집', '~네 밭' 할 때의 소유격(~의) 조사 '~네'와 같고, 셋째, KU-RO와 셈족어의 '클[kll]'은 그냥 우리나라 말인 '크다'라는 의미의 '클(太)'과 같다.
 
 

A면 글 (Text of Side A)
5.jpg
 
 
B면 글 (Text of Side B)
 
6.jpg
 
 
 
[참조 문서 (Reference)]
 1) 위키피디아 - Phaistos Disc
 2) 위키피디아 -  Linear A
 3) 위키피디아 - Linear B
 
 
출처 : 티스토리 - The universe of dioneuty - by dioneuty
http://dioneuty.tistory.com/m/post/view/id/229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