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당신의 사이트의 성격은 보수입니까 진보입니까?
게시물ID : sisa_22515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프렌치버터롤
추천 : 1/3
조회수 : 482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2/09/08 10:56:45

인터넷 커뮤니티 좌우 전쟁
초창기 진보 성향이던 디시인사이드, 보수로 선회
오늘의 유머·뽐뿌 등은 진보 성향 사이트로 분류
'산업화' '민주화'도 다른 의미
진보 성향 커뮤니티서 우파 논리로 제압 땐 산업화, 반대 경우엔 민주화라 칭해
현역 병사가 부대 찍은 사진 보수 커뮤니티, 軍에 신고도


페이스북·트위터 등 SNS가 대세인 시대이지만 아직 인터넷 커뮤니티는 건재하다. 코리아클릭에 따르면 한국의 대표적인 인터넷 커뮤니티로 손꼽히는 '디시인사이드'는 지난 6월 기준으로 일간 순 방문자가 54만여명에 달해 국내 모든 사이트 중 42위를 기록했다. 회원에게 공개된 게시판 위주로 운영되는 다소 '올드'한 사이트지만 묵묵히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커뮤니티 간 정치적 성향이 극명하게 갈리면서 '인터넷 커뮤니티 정치 지형도'라는 자료까지 등장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인터넷 커뮤니티, 지금 어디까지 진화해 왔을까.

 


국내 인터넷 커뮤니티의 원조는 2000년 등장한 아이러브스쿨로 여겨진다. 아이러브스쿨은 잊고 지냈던 동창들을 인터넷 공간에서 다시 만날 수 있게 해주면서 한때 동창 만나기 붐을 일으키기도 했다. 본격적인 인터넷 커뮤니티 문화를 만든 것은 디시인사이드다. 애초 디지털카메라 공동 구매 사이트로 출발한 디시인사이드는 2002년 무렵 붐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사진을 찍어 올리던 갤러리가 수천개로 늘어나 정치·사회·문화 등 각 분야를 아우를 정도가 됐다. 디시인사이드는 '폐인' '아햏햏' '개죽이(대나무에 매달린 강아지)' 등 수많은 유행어와 각종 패러디물을 낳았다. B급 문화라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한국 인터넷 문화를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00년 중반부터는 '웃긴대학' '루리윙' '뽐뿌' '아이러브사커' 등 중소 커뮤니티가 대거 생겨났다. 디시인사이드에서 높은 조회 수를 기록한 글만을 모아놓은 '일베저장소(일간 베스트 저장소)' 등 디시인사이드의 파생 사이트들도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하지만 네이버·다음 등의 포털 사이트로 이용자 대부분이 옮아가고 수익 모델 부재로 상당수가 문을 닫았다. 이때 살아남은 커뮤니티들이 지금의 인터넷 커뮤니티 업계를 지배하고 있는 셈이다. 대표적인 커뮤니티는 디시인사이드를 비롯해 뽐뿌(일간 순 방문자 40만명), 보배드림(13만명), 일베저장소(12만명) 등이 꼽힌다.

최근에는 인터넷 커뮤니티마다 정치적 성향이 갈리며 '인터넷 커뮤니티 정치 성향 분포도'라는 게 인기를 끌기도 했다. 이 분포도에 따르면 일베저장소나 '디시인사이드' '코셔틀' 등은 보수 성향으로, '오늘의 유머' '뽐뿌' 등은 진보 성향 커뮤니티로 분류됐다. 네티즌들은 '네이버가 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등 일부 잘못된 부분이 없지는 않지만 대체적으로는 부합한다'는 평가를 내놨다.

이들은 서로를 '수꼴' '좌빨'이라 부르며 다른 성향의 커뮤니티 회원과 전쟁도 서슴지 않는다. 이 중 가장 강한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손꼽히는 디시인사이드 정사갤(정치·사회 갤러리)과 일베, 노노데모 등에선 '산업화' '민주화'라는 말도 쓰인다. 산업화는 진보 성향의 커뮤니티에 가서 우파의 논리로 제압하고 왔다는 것을 뜻하고 민주화는 반대로 자신이 제압당했다는 것을 뜻한다. 최근에는 일베에서 현역 병사들이 몰래 부대로 스마트폰을 들여와 초소 등을 사진으로 찍고 페이스북 등에 올린 경우를 찾아 군에 신고하기도 했다. 김유식 디시인사이드 대표는 "커뮤니티 운영자 대부분이 386세대이고 원활한 운영을 위해 좀 더 정치적으로 자극적으로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며 "한때는 진보 성향을 띄었던 디시인사이드가 보수 성향이 된 것처럼 정치적 성향이 고정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