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여러분이 사는 곳은 교통카드 환승할인이 되나요?
게시물ID : car_3534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동글몽실
추천 : 0
조회수 : 1464회
댓글수 : 10개
등록시간 : 2013/10/25 22:49:15
버스도 차는 차니깐..(죄송합니당)

얼마 전에 광주광역시와 인근 지역간 환승할인을 도입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전국 여행 준비도 할 겸 환승할인이 되는 지역과 안되는 지역을 정리하고있는데..

정리된 정보가 안보여요ㅋㅋㅋ큐ㅠㅠㅠ


우선 저부터
서울
인천
경기
광주
춘천
부산
아산

★★
수도권통합요금제 - 경기, 서울, 인천
http://ko.m.wikipedia.org/wiki/%EC%88%98%EB%8F%84%EA%B6%8C_%ED%86%B5%ED%95%A9%EC%9A%94%EA%B8%88%EC%A0%9C
 4번의 환승, 5개의 교통수단까지만 유효하다. 이를 초과할 경우 기본운임이 새로 부과된다.
의정부 경전철, 용인경전철(에버라인)은 별도요금
- 시내버스, 마을버스 등은 단독통행시 이용거리에 관계없이 기본운임만을 부과
- 통합거리비례제
기본운임은 가장 높은 기본운임을 가진 교통수단의 기본운임을 부과하며, 이용한 거리의 총 합이 아래의 기본거리를 초과할시 5km 당 100원의 추가운임이 부가된다. 
- 수도권 전철
* 기본운임 : 10km까지 : 1,050원
* 추가운임
   - 10km초과~40km까지 : 5km 마다 100원 
  - 40km초과시 : 10km 마다 100원* 다만, 수도권내 구간과 수도권외 구간을 연속하   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도권내 구간의 운임을   먼저 계산한 후 수도권외 구간의 이용거리 매   4km까지마다 100원의 추가운임을 합산하여   산출한 금액 적용



★★
인천광역시
http://ko.m.wikipedia.org/wiki/%EC%9D%B8%EC%B2%9C%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 삼화고속에서 운행하는 9800번대와 9900번대 버스가 과거에 그러하였듯이, 시외버스의 경우 외형상 광역버스와 비슷하더라도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 다인승 환승할인 불가 : 다인승 환승할인이 불가능하였으며, 이와 같은 제약은 위에 언급된 다른 항목들과 달리 수도권 통합요금제 시행 이후에도 여전히 유효하게 남아 있다.
- 수도권 통합요금제의 범주 바깥에 있는 타 지역 공항버스와 경기시외직행버스는 인천시내버스와 환승할인이 불가능하다. (예: 인천~의정부, 인천~파주, 인천~성남, 인천~안산 등) 
- 인천국제공항철도 : 내륙 구간인 서울역~검암역 구간은 통합요금제에 편입되어 환승할인이 가능해졌다.  운서역, 공항화물청사역, 인천국제공항역 구간은 할인혜택 없이 종전의 운임체계가 적용된다. 


★★
광주광역시 도시철도
http://ko.m.wikipedia.org/wiki/%EA%B4%91%EC%A3%BC_%EB%8F%84%EC%8B%9C%EC%B2%A0%EB%8F%84
지하철, 버스 하차 후 30분 이내 (교통카드 사용시에만 해당)


광주광역시 버스
http://ko.m.wikipedia.org/wiki/%EA%B4%91%EC%A3%BC%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2.기존 광주광역시 차적 시내버스와 광주 도시철도, 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 간 환승은 시내환승이 되어 횟수 무제한이고 무료환승 그대로 적용된다.
3.광주광역시 차적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인근 전라남도 지역의 시내버스 및 농어촌버스 간 환승할 때는 광역환승이 되어 1회만 환승할인이 가능하다.
4.광역환승할 경우 요금이 50% 할인
7.시외계요금은 환승할인 대상이 아니므로 별도로 지불해야 한다.
8.출발지와 목적지가 광주 시내인 경우 농어촌버스로 환승하는 경우는 요금 할인혜택이 없다.
9.이용하는 교통수단 간의 기본요금 차이가 날 경우 이용하는 교통수단 중 가장 높은 요금을 기본요금으로 적용하여 기본요금 차액 징수된다.

햇깔리네용..  

시계외요금
시계외  요금은 광주광역시 경계부터 2km당 성인은 100원, 청소년 및 초등생은 50원씩 추가된다.


간단한 정보만 주시면 제가 자세한 정보는 찾아 정리하겠습니다. 찡긋 >_ㅇ






댓글에 입력이 안되 본문에 추가

★★
강원도 춘천시
http://ko.m.wikipedia.org/wiki/%EC%B6%98%EC%B2%9C%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하차 후 40분 이내 탑승시 1회 무료환승이 가능하다. 천안, 아산, 영종도 시내버스와 마찬가지로 수도권 전철에 속하는 경춘선과는 환승이 되지 않는다.

★★
부산광역시
부산 도시철도
http://ko.m.wikipedia.org/wiki/%EB%B6%80%EC%82%B0_%EB%8F%84%EC%8B%9C%EC%B2%A0%EB%8F%84
 2012년 기준,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을 부산교통공사에서, 부산-김해 경전철은 부산-김해경전철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동구간제

이동구간제는 이용한 거리에 따라 구간을 구분하고, 요금을 매기는 방식이다. 부산 도시철도 1~4호선의 경우 출발하는 역에서 10km까지를 1구간으로 정하고, 10km를 초과하는 경우 2구간으로 정해 운임을 부과한다.  
부산-김해 경전철은 별도의 요금 측정방식이 있다.
교통카드의 사용은 출발역에서 개찰구에 접촉할 때 1구간에 해당하는 운임이, 도착역에서 개찰구에 접촉할 때 2구간 운임의 차액이 추가로 빠져나가 정산하게 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1구간만을 이용하는 경우 하차 시 요금이 지불되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는 정기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정기권은 각각 1일권(마그네틱), 7일권(정기권 카드 충전식), 1개월권(정기권 카드 충전식)으로 구분되며 구간 제한이 없이 기간과 횟수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 정기권은 부산 도시철도 1~4호선에서만 이용 가능하며 부산-김해경전철, 타 지역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시내버스 등은 이용할 수 없다.

부산광역시 교통 - 대중교통환승할인제
http://ko.m.wikipedia.org/wiki/%EB%B6%80%EC%82%B0%EA%B4%91%EC%97%AD%EC%8B%9C%EC%9D%98_%EA%B5%90%ED%86%B5#.EB.8C.80.EC.A4.91.EA.B5.90.ED.86.B5_.ED.99.98.EC.8A.B9.ED.95.A0.EC.9D.B8.EC.A0.9C
엄청 복잡하네요! @_@

★★
충청남도 아산시 
http://ko.m.wikipedia.org/wiki/%EC%95%84%EC%82%B0%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천안시의 시내버스와 무료 환승이 가능하지만, 수도권 전철과의 환승할인은 현재 불가능하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