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똘똘 뭉친 동포들 미국을 움직였다
게시물ID : humordata_40096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까불래
추천 : 11
조회수 : 683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07/06/27 19:55:24
〈미 하원 외교위원회는 26일(현지시간) 일제의 위안부 강제동원을 끔찍한 전쟁범죄로 규탄하고 일본 총리의 공식사과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압도적인 다수로 채택했다. 하원 외교위는 이날 레이번 빌딩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지난 1월 마이크 혼다 의원(민주·캘리포니아)이 발의한 위안부결의안(HR121)을 표결에 부쳐 찬성 39, 반대 2로 채택했다. 이번 결의안은 특히 작년 9월 하원 국제관계위가 채택했던 위안부결의안(HR759)과 달리 ‘일본 총리의 공식사과’를 요구해 향후 일본 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결의안은 “일본정부에 의해 강제동원된 군대 매춘 제도인 ‘위안부’는 잔학성과 규모에서 전례가 없는 20세기 최대 인신매매 가운데 하나”라고 규정했다. 이어 “일본 총리가 공식성명을 통해 사과한다면 종전에 발표한 (고노담화 등) 성명의 진실성과 수준에 대해 되풀이되는 의혹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의미·전망=위안부 결의안 채택은 미주한인 이민사 100여년 만에 사상 처음으로 동포들의 힘으로 미 하원을 움직임으로써 향후 동포 운동의 방향을 제시했다. 막강한 자금력 및 연줄을 총동원한 일본측의 거대 로비에 맞서 거둔 미국식 ‘풀뿌리 민주주의’의 승리이기도 하다. 다윗이 골리앗을 쓰러뜨린 셈이다. 지난 해 국제관계위의 HR759결의안은 비록 만장일치로 채택됐지만 일본 측 로비를 우회하기 위해 기습 상정, 별도의 논의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그만큼 미국 주류사회의 주목을 받지 못했으며 결국 본회의에 상정되지 못하고 사장됐다. 재미동포들은 이번에는 지역구 유권자들을 동원, 하원의원들을 접촉하는 ‘정공법’을 택했다. 지지를 호소하는 대신 설득했다. 그 결과 미국은 물론 전세계의 집중조명을 받으며 결의안 통과의 드라마를 연출했다. 지난 2월 하원 위안부 청문회 개최와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지 등 미 일간지 전면광고 6회 게재, 6차례에 걸친 하원 ‘로비의 날’ 행사 등을 통해 미국 의회를 유권자의 이름으로 움직일 수 있음을 입증해냈다. 이번엔 전도도 밝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결의안 통과 직후 성명을 내고 “하원 본회의도 결의안을 채택해 위안부들이 겪은 고통을 잊지 않을 것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혼다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7월 중순쯤 본회의에서도 채택될 것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날까지 결의안 지지서명에 동참한 하원의원은 151명(전체 435명)에 달한다. ◇외교위 안팎=의원들은 이날 위안부결의안 표결에 앞서 90여분 동안 격렬한 찬·반 논란을 벌였다. 일각에서 “북핵을 비롯해 중요한 이슈가 많은 데 미 의회가 왜 동맹국(한·일) 간 분쟁에 개입해야 하는가”(도널드 만줄로·공화·일리노이)라는 등의 회의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위안부는 국제분쟁이 아니라 인권문제”(랜토스 위원장), “반대하는 의원들은 표결을 통해 과연 역사에 어떤 기록을 남길 것인가”(게리 애커먼·민주·뉴욕)라는 압도적 지지 발언에 묻혔다. 지지 의원들은 미국의 흑인노예사 및 독일의 유대인 학살 등 세계사적 인권침해 사례와 위안부 문제를 같은 반열에 올려놓았다. 테드 포 의원(공화·텍사스)은 일제의 난징 대학살을 폭로한 책(RAPE)을 들어보이며 일본 정부의 책임인정을 촉구했다. 톰 랜토스 외교위 위원장은 “전후 독일은 올바른 선택을 했지만 일본은 반대로 역사적 기억상실 증세를 보여왔다”면서 “결의안은 이런 참혹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진실을 인정하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베 이 ㅆㅃㄹㅁ 개그 하는거지 그렇치 ? 죄송합니다. 욕해서 ^^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