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국정교과서' 누구 작품인지 밝힌다 교육부 진상조사위 구성
게시물ID : bestofbest_36103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핑거포스
추천 : 175
조회수 : 7712회
댓글수 : 11개
베오베 등록시간 : 2017/09/06 14:39:05
원본글 작성시간 : 2017/09/06 12:09:17
교육부는 그간 사회적 논란이 된 국정교과서 추진과정을 조사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세우고자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린다고 6일 밝혔다.

교육부는 위원회 업무를 도울 실무지원팀인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팀'도 만든다.

이들 조직은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직속으로 운영한다.

위원회는 조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역사학자, 교사, 시민단체 관계자, 법조인, 회계사, 정부·공공기관 인사 등 13명의 외부인과 교육부 기조실장·학교정책실장 등 모두 15명으로 구성한다.

위원과 위원장은 이달 안에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위원회는 중학교 역사·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정책을 결정·집행하는 과정에서 절차적·실질적 위법이나 부당행위가 있었는지 들여다본다.

교과서 편찬 예비비 등 관련 예산 편성·집행이 적절했는지, 국정교과서 관련 행정조직 구성·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도 두루 점검한다.

이를 통해 재발 방지 대책도 제안하겠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실무를 맡은 진상조사팀은 국정화 추진 경위와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주요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책임 소재 규명에 나선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책 백서'(가칭)도 낼 예정이다.

교육부는 위법은 물론 부당행위에 대해 징계 등 행정적 책임을 물을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최승복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팀장은 "학계·교육계는 물론 국민의 엄청난 반대에도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규명하고자 한다"며 "대표적인 적폐로 지적된 국정교과서와 관련해 앞으로 소모적인 논란이 없도록 할 것이다. 교육부가 결자해지해야 한다는 관점으로 조사하겠다"고 전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국정화를 추진한 교육부가 '셀프 조사'를 하는 것은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체 조사로는 국정화 계획을 발표한 황우여 전 교육부 장관이나 국정화 추진에 힘을 실은 것으로 추정되는 최순실 씨는 물론, 교육부 고위 관계자에 대한 조사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당시 각계각층에서 반대 목소리가 컸던 점을 고려하면 교육부가 법적·행정적 절차를 꼼꼼하게 살펴 잡음이 일지 않도록 했을 가능성이 크므로 조사가 요식행위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최 팀장은 "장·차관이나 (청와대)수석 등을 실무팀이 조사하기는 어렵다"며 "조사가 필요하다고 위원회에서 결정하면 합당한 수단은 따로 마련해야 하고, 어떤 방법이 가능한지는 검토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신뢰도 문제와 관련해서는 위원회에 각 분야를 대표하는 외부위원 13명을 위촉하고, 실무팀도 15명 가운데 6∼7명을 시민단체·학계·법조계 인사로 구성해 위원회·실무팀의 60∼70%를 외부인으로 할 것"이라고 전했다
출처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9526098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