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한국은행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기업의 임금과 이익
게시물ID : sisa_23455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노블리제
추천 : 2
조회수 : 530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2/10/09 23:23:44

요새 시급 7천원에 대해서 말이 많아서 우선 간단한 지표를 보여드릴까 합니다.

 

물론 여기 나온것은 중소기업과 대기업에 대한 집계로, 영세 자영업자는 포함되지 않은것이기 때문에 많은분이 피부에 와 닿지는 않는 자료일겁니다.

 

그냥 평가의 자료로만 평가하시길 바랍니다.(http://ecos.bok.or.kr/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한국은행 통계에서 집계한 대기업, 중소기업 업종별 제조원가 명세서입니다.

 

우선 당기 총제조 비용입니다.

 

그다음은 노무비를 모두 더한뒤 제조비에서 노무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보겠습니다.(원가= 재료비+노무비+경비)

 

전체 원가에서 노무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7.66%입니다.

 

물론 임금이 오르면 경비부문이 오르겠지요(복리후생비 등등)

 

그다음은 국내 매출 총손익 합입니다.

 

 

그다음은 매출 총손익의 합에서 제조원가를 나눠 이익율을 보겠습니다.

 

이익률은 33.91%가 나오네요.

 

시급 7천원의 근거는 우리나라 근로자 노임 평균 50%입니다.

 

과연 시급 7천원이 되면 어느정도 사회에 영향을 미칠지는 알지 못합니다만...적용대상자는 열심히 일해도 생계가 어려운 워킹푸어들일것이고, 그 대상자가 엄청나게 많아서 물가에 엄청난 영향을 줄것이다!!!.....라는 이야기는 여러분들 개개인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의 통계종합사진 올리겠습니다.

==여기부터는 개인 사견입니다==

솔직히 저는 시급인상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물가에 영향은 물론 주겠지요. 영세자영업자들에게 인건비가 추가부담이 되어 서비스 비용상승에 물가 상승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물가에 더 크게 영향을 끼칠것이라고 생각하는것은 노무비 증가보다 '그 이상으로' 핑계김에 공산품 가격이 상승할 것 같네요.

 

하지만 현재 물가 상승에 따라가지 못하는 임금으로 oecd국가중에서 일하는 시간은 제일 긴데도 소비자들의 구매력은 점점 떨어지고 있습니다.

 

국가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탄탄한 중산층이 필요합니다.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에게는 그만한 혜택과 보상이 있는 사회가 건전한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