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여기 공황장애가 뭔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와봤습니다
게시물ID : star_10007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ErJo
추천 : 4
조회수 : 729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2/10/11 02:06:34

공황장애를 무슨 꺾기도처럼 사람들을 공황상태로 만드는 병인줄 아는 오유인들이 너무 많군요

밑에 부분은 네이버 건강에서 퍼온겁니다.

길다 싶으면 패스해도 됩니다


--------------------------------------------------------


공황장애 (Panic disorder)


정의

공황장애는 특별한 이유 없이 예상치 못하게 나타나는 극단적인 불안 증상, 즉 공황발작(panic attack)이 주요한 특징인 질환이다. 공황발작은 극도의 공포심이 느껴지면서 심장이 터지도록 빨리 뛰거나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며 이 나는 등 신체증상이 동반된 죽음에 를 것 같은 극도의 불안 증상을 말한다. 공황장애는 광장 공포증(agoraphobia)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는데 광장 공포증은 백화점 같은 공공장소에 혼자 놓여 있게 되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증상

첫번째 공황발작은 흥분, 신체적인 활동, 성 행위, 감정적 상처 등에 뒤따라서 생길 수 있으나 이유 없이 자발적으로 생기는 경우가 흔하다. 증상이 발생하면 보통 10분 안에 증상의 정도가 최고조에 이른다.

공황발작이 나타나기 전에 반복해서 있었던 사건이 있다면(예: 커피, 술, 담배를 복용했거나 수면변화, 식사변화, 과도한 조명 등이 있은 후에 발작), 이런 조건에 대해 자세히 조사해 봐야 한다.

주요한 정신 증상은 극도의 공포와 죽음에 를 것 같은 절박한 느낌이다. 보통 환자들은 이런 공포의 원인을 알지 못하고 혼돈스러워하고 집중력이 떨어진다. 빈맥(빠른 맥박), 심계항진호흡곤란발한과 같은 신체 증상(자율신경계 증상)이 나타나는데 대개 발작은 20~30분 지속되고 1시간을 넘기는 경우는 거의 없다.

예기 불안이 또 다른 주요 증상인데 한 번 발작을 경험하게 되면 다음 발작이 있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에 불안해하는 것을 말한다.

심장과 호흡문제와 관련된 신체증상이 공황발작 시 환자가 가장 걱정하는 문제이며, 자신이 곧 죽을 것이라는 생각에 응급실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다섯에 한 명 정도는 공황발작 시 실신에 이르기도 한다.

공황발작과 흔히 동반되는 광장 공포증은 자신이 남에게 도움을 받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장소를 가지 않으려고 하는 공포증을 말한다. 번잡한 거리, 번잡한 가게, 밀폐된 공간(터널, 다리, 승강기), 밀폐된 차량(지하철, 버스, 비행기)에 가거나 이용하는 것은 반드시 친구나 가족과 동반하려 한다. 심한 경우엔 아예 집을 나가려고 하지도 않는다.

이런 행동은 부부 문제를 만들어 부부 문제가 주요한 문제로 오진하게도 한다. 정확한 진단이 내려지기 전에 환자는 스스로가 이상해지고 있다고 두려워할 수 있다.


진단

미국 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의 정신장애 진단통계 편람(DSM-Ⅳ-TR)에 따른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공황발작(Panic attack)에 대한 진단 기준
다음 증상 중 4개 이상이 갑자기 나타나면 공황발작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보통 급작스럽게 발생하여 10분 안에 최고조에 이른다.
1)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빨라짐
2) 이 많이 남
3)  혹은 몸이 떨림
4) 숨이 막히거나 답답한 느낌
5) 질식할 것 같은 느낌
6) 가슴이 아프거나 압박감
7) 메스껍거나 뱃속이 불편함
8) 어지럽거나 쓰러질 것 같은 느낌
9) 비현실적인 느낌 또는 이인증(자신이 달라진 느낌)
10) 미쳐 버리거나 자제력을 잃어버릴 것 같은 두려움
11) 죽을 것 같은 두려움
12) 지각 이상(둔하거나 따끔거리는 느낌)
13) 몸에서 이 오르거나 오한이 남

2. 광장공포증을 동반하지 않는 공황장애 진단 기준
1) 다음 ①과 ②)를 모두 만족시킨다.
① 반복되는 예측 불허의 공황발작
② 적어도 한번 이상의 발작 후에, 적어도 1개월 이상의 시간 동안 다음 중의 하나 이상이 뒤따른다.
- 발작이 다시 올 것에 대한 지속적인 걱정
- 발작의 영향이나 결과에 대한 걱정 (예: 통제력 상실, 심장마비, 미치는 것)
- 발작과 관련한 현저한 행동의 변화
2) 광장공포증이 없다
3) 공황발작이 물질(예: 약물남용, 투약)이나 일반 의학적 상태(예: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직접적인 생리적 영향에 의한 것이 아니다.
4) 공황발작이 사회공포증(예: 두려워하는 사회적인 상황에 노출 시 발생), 특정 공포증(예: 측정한 공포상황에 노출 시 발생), 강박성 장애(예: 오염에 대한 강박사고가 잇는 사람이 더러운 것에 노출되었을 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예: 심한 스트레스 요인에 반응했을 때)또는 이별불안 장애(예: 집이나 가까운 친척을 떠났을 때) 같은 다른 정신 장애로 더 잘 설명되어서는 안 된다.

3. 광장공포증을 동반하는 공황장애 진단 기준
1) 다음 두 가지를 모두 만족시킨다.
- 반복되는 예측 불허의 공황발작
-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발작 후에, 적어도 1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다음 3가지 중 하나 이상이 뒤따른다.
- 발작이 다시 올 것에 대한 지속적인 걱정
- 발작의 영향이나 결과에 대한 걱정 (예: 통제력 상실, 심장마비, 미치는 것)
- 발작과 관련된 현저한 행동의 변화
2) 광장 공포증이 있다.
3) 공황발작이 약물남용, 투약 등의 물질이나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같은 일반적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영향에 의한 것이 아니다.
4) 공황발작이 사회공포증(예: 두려워하는 사회적인 상황에 노출 시 발생), 특정 공포증(예: 특정한 공포 상황에 노출 시 발생), 강박성 장애(예: 오염에 대한 강박사고가 있는 사람이 더러운 것에 노출되었을 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예: 심한 스트레스 요인에 반응했을 때), 이별 불안 장애(예: 집이나 가까운 친척을 떠났을 때) 같은 다른 정신장애로 더 잘 설명되어서는 안 된다.

4. 광장공포증 진단 기준
1) 탈출이 어려운 또는 난처한 장소, 또는 예측할 수 없이 나타나거나 상황에 의해 나타나는 공황발작이나 유사한 증상이 생길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장소나 상황에 있게 되는 것에 대한 불안이 있다.
광장 공포증은 전형적으로 특징적인 상황군을 포함한다. : 집 밖에 혼자 있는 것, 군중 속에 있거나, 줄을 서 있는 것, 다리 에 있는 것, 버스, 기차, 자동차를 타고 여행하는 것
- 주의: 회피가 하나 또는 단지 몇 개의 구체적인 상황에 국한될 때에는 특정 공포증의 진단을 고려하고, 회피가 사회적인 상황에만 국한될 때는 사회 공포증의 진단을 고려한다.
2) 이런 상황을 회피하거나(예: 여행을 제한한다) 현저한 고통을 느끼면서 또는 공황발작이나 공황발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까 봐 불안해하면서 이런 상황을 인내한다. 혹은 동반자를 필요로 하기도 한다.
3) 불안이나 공포 회피 반응이 사회 공포증(예: 당황하게 될 것을 두려워하여 단지 사회적인 상황을 회피함), 특정 공포증(예: 회피가 승강기 등의 단일 상황에 국한됨), 강박성 장애(예: 오염에 대한 강박사고가 있는 사람이 더러운 것을 회피함),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예: 심한 스트레스 요인과 관련된 자극을 회피함), 이별 불안 장애(예: 집이나 친척을 떠나는 것을 회피함) 같은 다른 정신장애로 더 잘 설명되어서는 안 된다.


------------------------------------------------------------------------


출처 : 네이버 건강


구글링해서 DSM IV 원문 가져올라다가 못읽는 사람 많을거 같아서 한글 자료로 대체함...


싸이 김장훈 관련 글 쭉 읽어봤는데, 김장훈이 앓고 있다는 공황장애란 병 때문에 저런 행동을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음..


공황장애는 위에 주절주절 써 놓은거 다 읽어본 사람 있을진 모르겠지만, 위에 글 요약하면 "갑자기 극도의 불안감을 느끼는 병"임..


지금 장훈이횽처럼 이랬다가 저랬다가 하면서 사람들을 공황상태로 빠뜨리는 행동을 하는 게 공황장애가 아니라는 거임...


그렇다고 저게 조울증이냐?!


조울증도 아님....


조울증은, 주요우울삽화가 몇개월 지속되다가, 조증삽화가 또 몇개월 지속되는 양상으로 가는거... 저렇게 한순간에 사람이 휙휙 변하는 게 아님...끼워맞추자면 기분순환장애쪽에 가까운거고... 물론 뭐 큰 범주에는 양극성기분장애에 포함되는 거긴 하지만..



뭐 내가 정신과 의사는 아니지만, 누가 봐도 지금 장훈이횽 심리 상태가 아주 불안정한 상태라는 건 알수 있을거고..

장훈이횽 좋아하는 1人으로서 공황장애 때문이니 어쩌니 하는 소리 그만하고 다들 좀 잠잠해졌으면 좋겠음..

솔직히 장훈이횽 그정도 쉴드는 받아 마땅한 거 아님?!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