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공산주의에 대한 뻘글
게시물ID : sisa_37982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언리즈닝
추천 : 2/4
조회수 : 308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3/04/16 00:52:16

공산주의 물론 마르크스 레닌식의 접근 방법은 아닙니다만,


다들 이해 하고 계시다 시피 그 취지는 공감하는 바 아닙니까?


논쟁이 되는 부분은 이것은 불가능 한 것이다.


경쟁이 없이 어떻게 체제가 유지 되겠느냐, 결과의 평등만이 있다면 누가 열심히 하려 하느냐


뭐 이런 것들이죠.


근데 제가 생각 하는 공산주의의 핵심은 결과의 평등이 중요한게 아니예요.


협력 기반 경제라는 것이죠. 계속 경쟁이 제일 효과 적이다라고 세뇌 교육을 받으셔서 그런지 몰라도


(사실 이거에 핏대 세우는 양반들 보면 경쟁력도 참 없게 생겼는데 참 이상한 노릇이죠 ㅎㅎ)


경쟁은 별로 효과적이지 않아요. 경쟁이 효과적이었으면 아직도 제국주의 하고 있거나


혹은 국가 형성도 못하고, 부족끼리 레이드 뛰며 살고 있겠죠. 근데 아니잖아요?


여튼 지금 부터 뻘글 나갑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20:80의 법칙이라는게 있어요.


공부 잘하는 애들 상위 20프로 골라서 예를 들어 서울대를 진학 했어요. 그럼 서울대생은 다 공부 열심히 하고 범생일까요?


아니죠 거기서도 또 20프로는 범생이처럼 열심히 공부하고 80프로는 그냥 대학생이죠


물론 법칙은 증명된 바도 증명할 꺼리도 저도 증명 안할거고요. 그런 그냥 법칙이예요.


좀 오바해서 확대해석하면 10명분의 일도 실제로는 2명이 빡시게 하고 나머지는 그냥 설렁 설렁 하는거죠.


어차피 뻘글이니까 그렇다고 쳐 주세요.


실제 지금 기업들이 제일 힘든게 뭘까요? 제일 힘든건 과잉 생산이죠.


생산력은 좋아서 금방 만들어 내는데 시장은 어디서 뚝 떨어지는게 아니니까 말이죠.


그러다 보니 여튼 지출은 최대한 줄여야 되고, 질소는 잔뜩 넣어야 되고(한개 팔거 두개 팔아야 하니까)


신제품 개발해야 되고, 인류에 하등 도움될것도 없는 마케팅에 돈 써야 되고 말이죠.


여튼 저는 이런 경쟁 기반 경제는 이제 곧 한물 갈거라고 봅니다. 협력해서 효과적으로 생산 하고


또 쓸만큼 있으면 그냥 놀아도 되고 말이죠


그래도 또 거기서 20프로는 인류의 진화를 위해 뭔가 할거란 말이죠 ㅎㅎ


뻥이좀 쎈것 처럼 보이는 어떤 자원기반 경제 추종자는 실제로 5%의 인류만 일을 하면 지금 인류가 필요한 재화를


충분히 생산할 수 있다고 그럽니다. 뭐 믿거나 말거나죠. 


여기에 20:80의 법칙이 들어 맞는다 치면 뭐 못해볼 것도 아니란 생각입니다.


여튼 경쟁이 모든 경제활동의 최고의 가성비를 내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아무리 결과가 평등하더라 할지라도 재미삼아 혹은 알 수 없는 이유로도 인류는 계속 진화 할걸로 봅니다.


우리 25년전만해도 독재 했어요. 100여년전에 왕조였고요. 자본주의 나온지 얼마 됬죠? ㅡㅡ;


여튼 인류는 진화 할 수 있는겁니다. 누군가가 치는 블러핑에 속지들 마시고 아름다운 미래를 좀 그려 보시라는


마음으로 뻘글을 마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