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6.25 전쟁은 일본경제,자위대승인 트루먼 정부의 전략적 정책
게시물ID : sisa_38037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타고르
추천 : 0
조회수 : 382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04/17 23:05:44

 

 

 

 

1945년 8월 15일 이 후 미군의 일본 점령을 통해

 

비군사화, 경제 재건을 막고 일본의 식민지 였던 국가보다 경제적으로 재건을 못하게 하는게 정책이었으나

 

한국전 발발 후 미국의 트루먼 정부는 소련의 동아시아 공산주의 위협을 막고자

 

일본의 군사력 강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의 독립은 미국의 관심사가 아니었다)

 

일본의 요시다 수상에게 일본 정부 직속 국가경찰 예비대 7만명과 해상요원 8천명을 증원할 권한을 부여했고

 

한국 전쟁의 발발로 미국의 대일 정책은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일본 경제를 자립시켜야 하고 경제, 군사적으로 우수한 인력이 필요하므로, a급전범도 사회에 복귀 시켜야 한다는게

 

트루먼 정부의 일관된 정책이었다.

 

이는 미-소 갈등으로 미국의 버퍼 역할을 일본이 하는 대신 경제적, 군사적 재건을 묵시적으로 상호간 합의 했던 것이다.

 

한국전은 미-소간 이념적 이데올로기가 만들어진 슬픈 현실이자 과거다.

 

냉전 이 후, 미국의 대 일본 역할은 경제적으로, 군사적으로 강화시켜 미국의 안전보장에 공헌하는 것으로 변화를 꾀하는 것이다.

 

미국의 대일정책은 이렇게 바뀌는데 한국전쟁이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이다.

 

미국의 일본 점령 정책은 군사, 경제 해체, 민주화 촉진(점령국의 속국)이었으나 미국의 소련 대응을 위해 동아시아 버퍼 역할을

 

일본이 하는데 경제적으로 물적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1949년 12월 미국 국가안보회의는 12월 경, 한국 철수를 결정했는데, 이에 딘 애치슨 국무장관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미국의 방위라인은 알류산 열도에서 일본 열도와 오키나와를 거쳐 필리핀에 이른다. 이것을 넘으면 미국은 무력으로

  저지한다"

 

당연히 한반도는 일본 및 필리핀 등 윗 지역은 방위 대륙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소련이나, 북한은 한국을 공격해도 미군이 움직이지 않을 것이란 판단을 했을 것이다.

 

그런데, 미국이 한국전에 참전한 정확한 이유는 무엇일까. 당연히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이데올로기의 방파제(일본)를

 

보호하기 위한 전략이 아니었을까.

  

   "국방성 초대장관인 제임스 포레스탈은 소련에 대항하려면 구체적으로..............일본과 독일에게 한번더 임무를 맡겨야 한다.

   일본은 공산주의 행진에 대항하는 진정한 이데올로기 방파제...."

 

 

 

 

 출처

   "미국은 동아시아를 어떻게 지배했나"  (마고사키 우케루) 외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