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은 제 의견과 다를수있으며 퍼온자료임을 밝혀둡니다. 지나친 진지는 체할수있으니 그냥 이런면도 있구나~ 하고 읽어보시면 적당할듯 싶네요^^ 읽다보면 약간 음모론적 냄새를 맡으실지도 모릅니다..요즘 말이 많네요. 진실은 저 너머에~ 카다피의 정체 우선 제가 카다피를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말씀 드립니다. 그리고 이 동영상이 리비아 정부의 홍보물이라고 얘기할 수도 있겠습니다 (뭐, 아무래도 좋은 점만 추려서 요약한 것이겠죠). 하지만 일단 색안경을 벗은 후 시청해 보시기를... 주요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 석유 팔아 벌어들인 돈으로 학교와 병원을 짓고, 인프라(대수로) 구축에 투자 (우리나라의 동아건설이 참여했던 프로젝트죠 아마?) - 카다피가 집권하기 전 리비아 국민 중 글을 읽을 줄 아는 사람이 5명에 1명 꼴도 되지 않았으나, 지금은 83%의 국민이 글을 깨우침 - 무상교육 (대학교 포함) - 전국민 대상으로 무상 의료지원 제공 (심지어 반군들에게도 무상 의료지원 제공), 해외에서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에도 국가에서 비용을 부담 - 농사를 짓고자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토지, 집, 농기계, 가축, 씨앗 등을 무료로 제공 - 모든 국민들이 집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모든 리비아 국민들에게 무상으로 집을 제공할 때까지 자신의 부모도 텐트 생활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약속, 그런데 그 약속을 현재까지 지켰 왔음 (부친은 집에서 살아보지 못한 채 몇 년 전 텐트에서 타계, 한편 모친은 아들에 대해 이 점을 가장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음, 그런데 개인적으로 이건 좀 심한 듯... 자기는 좋은데 살면서... 흐...) - UN의 HDI(Human Development Index: 인간개발지수)에 따르면 리비아가 러시아, 브라질, 사우디 아라비아보다도 잘 사는 것으로 되어 있음 - 2007년 African Executive지에서 리비아를 다음과 같이 평가: "나이지리아와 같은 아프리카의 여타 산유국과는 달리, 리비아는 석유로 벌어들인 돈으로 국가 개발에 힘쓰고 있다" - 모든 국민들에게 부가 분배되어야 진정한 경제의 민주화를 달성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음, 석유판매 대금의 일부를 모든 리비아 국민들의 통장에 정기적으로 입금시켜 줌 - 여성들의 자유와 지위의 신장을 위해 노력함(교육, 직장생활 등), 카다피가 보수적인 아랍권 사람들로부터 욕먹고 있는 이유 중 하나임 -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동조하는 아랍 국가들(사우디 등)을 욕하다가 아랍권에서 왕따 됨 - 2010년 10월, 아랍 지도자 중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아프리카인들을 탄압한 것에 대해 공식 사과함, 이것 때문에 다른 아랍 지도자들의 공공의 적이 됨 - Africa 연합을 구현하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함, 아프리카의 독립을 위해 다양한 후원 활동 - 넬슨 만델라가 카다피를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자유의 투사 중 한 명"으로 평가함 그리고 동영상에는 나오지 않지만, 제가 예전에 올렸던 글도 하나 소개합니다. 이게 결정타였을지도... http://blog.naver.com/krysialove/150108227899 미국, 영국 등 리비아 공세에 나선 국가의 정부들은 "리비아 국민에 대한 무자비한 탄압을 저지하기 위해", 그리고 Gerald Celente와 같은 재야(?) 인사들은 "리비아의 달콤한 원유를 빼앗기 위해" 연합군이 리비아를 공격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또 하나의 이유가 있다는 내용의 보도입니다. 카다피가 오래 전부터 석유 판매대금을 미국 달러 대신, Gold Dinar(금화)로 받으려는 계획을 추진해 왔다는군요... 그리고 여러 중동 및 아프리카 국가들이 그의 주장에 어느 정도 수긍을 해 왔던 듯 합니다. "Oil dollar"라는 용어 아시죠? 석유대금은 달러로만 지불해야 한다는 얘기인데... 지난 2000년에는 사담 후세인이 "앞으로 석유 판매대금은 달러 대신 유로화로 받겠다"고 했다가... 맴매를 맞았었죠... 후세인 뿐만 아니라, 링컨과 케네디 대통령의 모습도 오버랩 되네요... RT에서 보도하는 내용입니다... [출처] :http://blog.naver.com/krysialove/150117038560 ※ 본 글에는 함께 생각해보고싶은 내용을 참고삼아 인용한 부분이 있습니다. ('언론, 학문' 활동의 자유는 헌법 21조와 22조로 보장되고 있으며, '언론, 학문, 토론' 등 공익적 목적에 적합한 공연과 자료활용은 저작권법상으로도 보장되어 있습니다.)
일본제국하고 우리한테 한거랑 비슷한 듯? 일단 색안경을 벗은 후 생각해 보시기를... 대학교 없다니까 경성제국대(서울대) 만들어주고, 농업 및 공업 기술 알려주고, 농업기반 시설 만들어주고, 여성인원 신장시켜주고, 억압받는 아시아를 위해 큰 목소리도 내주고...... 뭐, 판단은 식민지 지배 당했던 우리의 몫이겠지만요.
맞아요. 카다피는 과거 반미투쟁의 성자로 불렸던 사람이죠; 아랍민중의 독자적 정부를 수립한 몇 안되는 사람이기도 하죠 미국의 우방국인 우리로써는 반갑지 않은 시선이지만, 그가 독재자로써 돌변한 계기는 2000년대 이후로 알고있어요. 흔히말하는 "아들새끼가 나라망침" 이죠. 아들이 나랏돈으로 씐나게 놀고먹고치고 우와 신난다 아무튼 카다피도 아들놈 내쫒으려고 했지만, 그래도 지 아들이라 감싸줄려고 하다보니 정치권 부패도 급증. 하지만 카다피 이인간도 어느정도 뻐팅길려고 특유의 말빨로 열심히 노력은 해 보았으나, 이미 민심은 술렁술렁... 미국의 3회에 걸친 암살시도도 무력화시키면서 아무튼, 우리나라로 치면 박정희 소리듣는 사람이었지만,(이부분에서의 모든 시비는 무시하겠음. 어디까지나 비유니까) 모든 독재자가 그렇듯 결국 미칩니다. 예, 미친다는게 맞죠. 국가원수라는게 왕을 뜻함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민중의 선택을 짖밟으려 했으니까요. 아무튼 곧 쫒겨날 터이고 카다피 없이도 오일머니 이용해 리비아가 민중에 의한 독립정부를 세울 수 있었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