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개인 어레인지 레이나드덱 운영팁입니다.
게시물ID : hstone_385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세건
추천 : 4
조회수 : 601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4/06/29 22:56:44
1404020645zWNXpizJBZ1D.png
1404020650gGEs2Pwd8UDUwxApX6phrulK.png

팁도 올리는게 좋을것 같아서 작성해봅니다.
 
 
*자주쓰이는 콤보
 
리로이+압도+영불          리로이+압도+압도+영불         리로이+압도+압도+영불+영불(카드가 많은경우 가능, 영불카드2장외에 한장만있어도 도박가능)
비전골렘으로도 가능 단, 파멸의수호병으로는 불가능
 
 
1. 셔플
 
처음 키카드는 당연히 1코짜리 카드들입니다. 단검과 광포늑대는 1코랑 같이 나올때만 킵해둡니다. 이중 우선순위는 광포늑대가 높습니다.
최상은 종자이고 그 다음이 공허방랑자, 화염임프 순입니다. 이유는 피가 2이상이라서 영웅능력에 죽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 드루전이나 도적전의 경우엔 공허방랑자가 있을시 토큰으로 공허방랑자를 내고 다음토큰은 피1짜리(ex젊은여사제)도 가능합니다.
스펠로 죽는건 어쩔수없어요 그정도는 감안하고 갑니다.
카드를 버리는 카드는 반드시 셔플해둡니다. 둘다 같이들고있으면 손해가 큽니다. 다만 미러전의 경우 영혼불꽃은 반드시 가지고 갑니다.
미러전은 2~3코 안에 승부가 나기때문에 꼭 있어야합니다. 서로 없으면 모를까 한쪽에만 있다면 확실히 기웁니다.
1코짜리 하수인을 많이 쓰는 덱을 상대할때는 죽음의 고리도 초반에 들고갑니다. (ex미러전)
 
 
2. 직업별 대응법
 
 
-마법사
 
*주의할카드 - 없음...마나지룡 정도?;..
 
 
마법사를 상대할때에는 앞서 언급한것처럼 초반에는 피1짜리 하수인을 지양합니다. 후턴일경우 승률이 대폭 상승합니다.
어떤직업이든 상대의 광역기를 조심해야하는데 데미지1짜리, 2짜리(얼음) 4짜리가 있습니다. 이중 1짜리는 거의 안쓰이니
배제해도 상관없고 2짜리는 6코이고 4짜리는 7코입니다. 따라서 광역기는 아예 배제하고 싸웁니다. 어차피 7코안에 승부가 정해집니다.
기본적으로 도발이 없는 덱이라서 상대하는데 크게 무리는 없습니다. 일이 꼬여서 7코이상을 가게된다면 화염구 얼화 냉기화살 냉기화살 콤보를
의식해야 되는 경우도 있어서 잘 재고 카드리차지를 받습니다. 베스트포지션은 피1이상하수인2개랑 광포늑대, 아르거스 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명치를 향하되 지룡같이 성가신애들은 잡아둡니다.
 
 
-사제
 
*주의할카드- 영혼사제(4) 치유의마법진(0) 신성폭발(5)
 
상대하기 편한쪽입니다. 다만 영혼사제+피4치유콤보는 조심해야합니다. 후턴일경우 4턴일때 눈치를 봐야하고
선공이면 3턴때도 눈치를 봐야합니다. 이경우 아르거스든 젊은여사제든 별로 소용이 없습니다. 상대에게 이 두장의 카드가 없다면
거의 필승입니다. 공2짜리 주문카드정도는 의식합니다. 영혼사제의 대책으로는 콘돔카드 및 허수아비골렘 중심으로 냅니다.
이 방식은 어떤 광역기를 사용하는 상대로든 통하기때문에 항상 기억합니다. 다만 공1짜리 하수인 다수가 나오는 덱을 상대할때는
콘돔카드들보다는 허수아비골렘이 좋습니다. 사제도 도발이 별로 없어서 패가 크게 말리지만 않는다면 어렵지 않습니다.
3~4코에 영혼사제콤보가 없다는 정보를 캐치하더라도 5코에 내 하수인들 피가 3이 되게끔 해주거나(ex 아르거스) 5코 이전에
승부가 기울게 만듭니다.
 
 
-주술사
 
*주의할카드 - 번개폭풍(3) 토템(2) 대지충격(1)
 
상대하기 까다로운편입니다. 항상 폭풍을 의식해야 합니다. 상대에게 폭풍두장이 있을경우 못이긴다고 보면 됩니다.
콘돔카드는 지양합니다. 대지충격맞고 한방에 갈 확률이 높습니다. 대신 영능이 공격형이 아니므로 젊은여사제나 오염된노움같은것을
팍팍낼수 있습니다. 최상은 화염임프+젊은여사제로 시작해서 피3으로 시작하면 폭풍에 안죽을 확률도 있어서 많이 유리해집니다.
보통은 무조건 명치라고 볼 수 있지만 주술사의 경우에는 토템을 제거하는쪽이 좋습니다. 공+2붙기 시작하면 답이없고 마법데미지 증가만 나와도
귀찮아집니다.따라서 효율적인 토템처리를 위한 죽음의고리가 나오면 킵을 해둡니다.
내 하수인이 2~3마리에 피가 3미만일때 상대가 3코이상에서 폭풍을 안낸다면 그건 없다는 뜻이므로 한턴 지나자마자 하수인으로 도배해버려서
승기를따낼 수 있습니다. 만약 폭풍을 맞더라도 그때 배치한 하수인들이 피3이상 내지는 콘돔or허수아비골렘이라면 다시 재기를 노릴 수 있으므로
이런방식으로 배치해둡니다. 아까 콘돔캐릭을 지양하라고했는데 만약 피1짜리 하수인(노움,사제)등에게 대지충격을 사용케 했다면 안심하고
내도 됩니다. 이걸 노리고 낼때도 많습니다.
 
 
 
 -사냥꾼
 
*주의할카드 - 폭덫(2) 눈속임(2) 개들을풀어라(3) 독수리(2) 회색늑대(1)
 
그럭저럭 상대할만한 편입니다. 폭발의덫은 항상 의식해둡니다. 위와 마찬가지로 피3이상만 유지한다면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하수인을 너무 많이 냈을경우 개풀과 회갈색늑대로 일발역전을 당할때도 있으니 항상 신경씁니다. 3코이하에는 아무의미가 없으니
괜찮습니다. 영웅능력이 공격형이지만 하수인을 때릴 수는 없으므로 마찬가지로 젊은 여사제가 꿀카드입니다. 피3으로 올려줄 수 있는 카드라서
공2짜리 카드가 없다면 속수무책입니다. 피1짜리 하수인이 많은상대이므로 고리를 가지면 킵해둡니다(특히 독수리) 막타칠상황에서 하수인들의 피가 다 2이하이고 상대가 비밀을 냈을때는 압도를 걸고 압도가 걸리지않은 하수인으로 먼저 때려서 비밀을 확인하고 때립니다. 개풀을 대비해서
아르거스와 방랑자를 적극 활용합니다.
 
 
 
-전사
 
*주의할카드 - 난투(5) 도끼(2) 방어구제작자(2) 감독관(2)
 
상대하기 까다로운 편입니다. 피1짜리 하수인은 감독관과 소용돌이때문에 안내는편이 좋습니다. 무기도 있기때문에 전사상대로는 공허방랑자가 최상의 카드입니다. 공허방랑자+여사제면 피가 4라서 한방에 죽지도 않습니다. 다만 감독관이 여사제를 죽이는 문제가 발생하지만 그 경우 광포늑대를 내고
감독관을 무시하고 명치를 치는 방식으로 갑니다. 5턴안에 승부를 기울게 하거나 하수인을 아껴서 눈치를보거나 합니다. 난투가 5코라서 아무것도 안남고 개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콘돔캐릭은 아무의미가 없고 허수아비 골렘만이 쓸만합니다. 따라서 허수아비골렘중심으로 내되 5코까지 기울게 하거나 눈치를 한번 봅니다. 5코에 내 하수인이 3개이상인데 난투가 안나온다면 그때 마구내도 상관없습니다. 방밀전사가 대부분이라서 방어구제작자가 나올경우에는 명치가 아니라 그것먼저 해결하는편이 좋습니다. 보통은 단검or화염임프 + 광포늑대로 한큐에 제거를 노립니다. 무기형 전사일수도 있으므로 아르거스를 최대한 활용합니다.
 
 
 
-드루이드
 
*주의할카드 - 휘둘러치기(4) 야수의포효(3) 자연의군대(6)
 
상대하기 까다로운 편입니다. 공허방랑자나 종자로 하수인을 살리고 광포늑대로 버프받고 공격하는 형태로 갑니다. 7코안에 승부가 기울어야하고
(피채웁니다) 9코안에 승부를 못보면 반드시 집니다. 상대에게 자군야포가 있다고 상정하고 싸웁니다. 드루이드상대할때만큼은 영혼불꽃을 가지고 갑니다. 2코때 4/5하수인이 나올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영불+종자공격이나 영불+고리로 처리해둡니다. 파멸의수호병이 나오면 카드를 몇장버리든 반드시 씁니다. 드루이드는 하수인 한방에 보내는 카드가 상대에게 카드2장을 주는거라서 데미지5를 주고 카드2장을 받아도 이득입니다. 또한 데미지계열 주문으로 죽인다 하더라도 피가7이라서
최소 2장을 소모시키기때문에 이득입니다. 이때만큼은 리로이가 날아간다 하더라도 써야합니다. 휘둘러치기가 데미지를 1씩 주므로 최소한 피2는 유지해둡니다. 6코에는 혈법사 휘둘러치기로 2씩 들어갈 수 있으므로 이것도 염두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