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케빈 카터는 왜 자살을 선택했나
게시물ID : lovestory_4787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에궁
추천 : 0
조회수 : 3593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2/11/07 20:49:22


"독수리와 소녀" 또는 "굶주린 수단 소녀"라는 제목으로 알려진 사진이 있다. 1994년, 케빈 카터에게 퓰리처 상을 안겨다준 사진(사진 촬영은 1993년)이다. 



이 사진에 대한 비하인드 스토리는 곽윤석 씨가 작성한 "케빈 카터를 위한 변명"에 잘 나타나 있다. 사실 이 내용은 1994년 5월 3일자 아사히 신문에 실린 케빈 카터 인터뷰에서 본인이 직접 말한 내용이기도 하다.

『기자들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고 있던 수단의 아요드지역에 어렵게 들어갔다.지옥과 같은 기아현장의 참상을 목격하며 섭씨 50도를 넘나드는 살인적인 더위를 뚫고 50㎞를 걸어 다니던중 문제의 장면을 만났다.정신없이 사진을 찍은 후 소리를 쳐서 독수리를 쫓아버렸다.소녀는 잠시후 몸을 일으켜 앙상한 팔다리를 떨며 마을쪽으로 비틀비틀 걸어갔다.나는 충격이 스쳐간뒤 한동안 나무그늘에 주저앉아 소리내어 울었다.눈앞에서 시름시름 죽어가는 어린이들을 보면서도 아무것도 해줄 수 없는 잔혹한 현실이 거기에 있었다』

- 케빈 카터, 아사히 신문 1994년 5월 3일, 국민일보 1994년 5월 7일자에서 재인용


그리고 얼마뒤 그는 자살하게 된다. 위에 링크한 곽윤석씨의 글과, TomCat님이 작성한 글에 인용된 유서에서도 볼 수 있듯, 그는 실제로 생활고와 동고동락했던 친구의 죽음, 전쟁지역에서 겪은 일들에 대한 스트레스 때문에 자살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 그가, 한국에서는 왜 "양심의 가책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한 것으로 알려지게 되었을까? 사실 처음 그의 자살이 알려졌을때는 굉장히 스트레이트한 단신으로 처리되었지만, 그 이후 그의 죽음은 근거 없이 '사진에 쏟아진 비난을 감당하지 못하고 자살한 사진가'로 미디어에 인용되면서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했다는 양심의 가책" 때문에 자살한 사진기자의 대명사가 되고 말았다.

그러나 그 사진이 아프리카의 기근을 상징적으로 표현해낸 걸작으로 평가된 반면,독수리로부터 어린이를 구하지 않은 사진기자의 행위가 가혹했다는 비난을 면할 수 없었다. 케빈은 자신 외에도 구호요원이 있었다는 해명을 했지만 결국 자신의 취재차에서 자살하고 말았다.

- 이범석, 사진기자윤리와 파파라초, 세계일보 1997년 9월 5일

카터는 이 사진 한장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지만 『사진 촬영보다 그 소녀를 구했어야 하지 않았느냐』는 서방 언론의 비난이 쏟아져 극심한 고통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한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 김장환, 「형상」의 이면, 국민일보, 1994년 8월 11일



그리고 98년 열린 "퓰리처상 사진전"의 보도자료에서 "『촬영보다 소녀를 먼저 도왔어야 했다』는 비난 속에 괴로워하다 결국 33살의 젊은 나이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작가로 인용되면서 완전히 '양심의 가책으로 인해 자살한 작가'라는 인식을 굳혀버리고 만다. 이 사진작가는 이후 '언론 윤리'나 '사진가 윤리'가 거론될 때에 단골로 인용되는 작가가 되어버렸다.

사실 사진가 윤리나 언론 윤리는 매우 이야기하기 곤란한 점이 많다. 어디까지 공익을 위한 것이고 어디까지 사적 이익을 위한 것인지가 애매하기 때문이다. 다른 이들이 보고 싶은 '정보(또는 콘텐츠)'를 만들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먹잇감이 될 만한 '쎈 정보'에 대한 유혹을 떨치기가 어려우리라. 영화 트랜스포머에서 '하늘에서 이상한 물체가 떨어져 집이 부서지자' 유튜브에 올릴 동영상을 찍기 위해 캠코더를 들고 달려가던 소년의 모습-도 거기서 별로 다르지 않다. ...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이야기하기로 하고.

이처럼 매체의 잘못된 보도는 잘못된 인용을 낳고, 결국 그 잘못된 인용은 잘못된 인식의 틀을 만드는 원인이 된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인용하고 있는 사례들이 진짜 그랬는지를 별로 의심하지 않는다. 그나마 지금은 인터넷이 발달되어서 다행이지만, 예전에는 자신이 읽고 들어서 믿고 있는 것을 죽을때까지 진실로 알고 살아갔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것이 하나 있다. 보도 사진 기자들이나 프리랜서 작가들이 분쟁 지역에 뛰어드는 것, 그 자체가 그리 만만하고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폭력의 현장에 있었다는 것 그 자체로도 인간은 상처를 받는다. 내일 일이 어떻게 될 지 모르는 그 상황에서, 눈뜨기 전에 죽을지도 모른다는 스트레스가 항상 존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평화롭게 멋진 사진 찍어서 상이나 받아야지-하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 

케빈 카터 역시 마찬가지다. 강력한 피사체가 그들을 현장으로 이끌었을 지는 모르겠지만, 그 이유만으로 전쟁터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드물다. ... 그러니까 우리는, 모든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전할때, 조금 더 신중해져야만 한다.


출처 : 자그니 블로그 : 거리로 나가자, 키스를 하자 / http://news.egloos.com/1741504




베스트에 있는 `사진이 반드시 진실만을 전하지는 않는다' (http://todayhumor.com/?humorbest_559874) 을 보고 찾은 

글 입니다. 사진 뿐만 아니라 때론 글도 진실만을 전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네요. 


좀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한거례 신문  다시 케빈 카터를 위한 변명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35&oid=028&aid=0000223135) 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