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사후피임약] 80kg이상에서 효과없음
게시물ID : science_3893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동네약사
추천 : 6
조회수 : 2538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4/07/20 16:43:48
 
모든 약은 사용기간이 길어야 경험에 따라
그 부작용이나, 안전 사용법이 제대로 알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새로 출시된 약이라고  "이거 신약이야 진짜 좋아" 라고 할것이 못되죠.

사후피임약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었습니다.
165~176파운드(75kg ~ 80kg)의 여성에게서는 효과가 감소하고less effective
176파운드 (80kg) 이상의 여성에서는 효과가없다ineffective고 합니다.
 
       
a11111.jpg                   a2.jpg 
사후피임약(morning-after pill이라 하죠. 공식적으로는 emergency contraception이라고 씁니다)
은 그 성분이 일반 피임약과 유사하지만,
10배 이상의 고농도의 합성호르몬이 포함돼있습니다.
배란ovulation과 수정fertilization을 막아 임신이 되지 않게 하고, 자궁 내벽을 탈락시켜 착상을 막습니다.
("탈락" 이라는게 사실 무서운 단어죠. 자궁내벽을 떼낸다는 뜻이기도 하니까요)
 
                                      a3.jpg
 
시판중인 사후피임약. 왼쪽부터 노레보, 포스티노, 엘라원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 약국에서 살 수 있다
 
 
보통은 72시간 이내에 사용했을 경우 75%정도의 피임성공률을 보입니다.
 
-24시간 이내 복용: 95%의 피임률
-48시간 이내 복용: 85%
-72시간 이내 복용: 58%
 
하지만 과체중 여성의 경우 그 실패율이 3배 정도 높아진다고 합니다
-by Anna Glasier, 2011 study from University of Edinburg
 
키가 작고 비만인 여성과 비교해, 체중이 80kg이상인, 키가 큰 여성의 경우에는 어떨까요?
이 경우에도 효과가 감소한다less effective고 합니다.
이번 연구는 170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요, 이 수치가 충분한지는 좀 더 두고봐야할 것입니다.

---------------------
학교다닐 때 열심히 공부하던 신약사는 아니지만, 인체의 매커니즘으로 볼 때,
과체중 여성의 경우, 체지방이 많기 때문에 약물이 인체에 작용하기전에
지방세포에 흡수/축적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했는데요,
어제저녁 뉴스를 접하고 찾아보니 틀린 생각은 아니었나봅니다.
 
Dr Diana Mansour, a spokeswoman for Britain's Faculty of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care,
said that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the drug probably gets absorbed into their fat more
quickly and doesn't have enough time to work in their bodies.
영국 Diana Mansour박사에 의하면, 과체중과 비만 여성에 있어서 약물이 아마도 체지방에 훨씬 빨리
흡수되는것 같고, 그래서 그들의 인체에 작용할 충분한 시간이 부족한것 같다.
 
그렇다고해서 비만여성에게 더 높은 용량의 피임약을 투약해야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정보가 없다고 합니다
 
고함량의 여성호르몬제이고, 자궁벽에 영향을 주므로,
가임기 여성의 경우(가임기여성이 아니어도!)  안먹는것이 좋겠습니다.
 
 --------------------
 
약물은 흡수되면 혈액 내 알부민과 결합하고, 이것이 간에서 시간당 일정량씩 분해되고 소변으로 배설되는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래서 저는 커피 마시는것도 줄이는것이 좋다는 입장인데요,
간에서 카페인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한 다음, 신장을 통해 배설시키게 되므로
간과 신장에 불필요한 일을 더 시키고, 무리를 주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지용성 성분들은, 과량의 약물이 체내에 유입되면 알부민과 결합하고 남은 약물들이
지방 세포내에 축적되었다가, 알부민에 여유가 생기게 되면 소량씩 혈류로 다시 배설되기 시작하고
분해/체외로 배설됩니다.
 
예를 들어, 소주 마시면 피부가 벌겋게 되는 경우를 들 수 있을것 같습니다.
얼굴이 붉어지는것은 혈류량 증가로 모세혈관 확장으로 인해 붉어지는 것이지만,
 
목덜미나 허벅지 등이 붉어지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요,
이것은 혈관확장->혈류량 증가 뿐만 아니라, 지방세포내로 알콜이 흡수되기 때문이... ㄹ 겁니다 ^^;;
 
 
위 본문의 이야기는 단지 사후피임약 만의 문제는 아닌듯 합니다.
모든 약물들이 과체중인 사람에게서 약동학적 반응이 달라지게 되어있으니까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