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단독]5·18 신고센터 접수 내용 살펴보니…
게시물ID : sisa_39490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百年戰爭
추천 : 3
조회수 : 408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3/05/26 21:20:01

출처 : http://media.daum.net/society/newsview?newsid=20130526173209744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왜곡·훼손 하는 사례를 뿌리 뽑기 위해 광주시가 개설한 인터넷 신고센터에 전국 각지에서 관련 신고가 폭주하고 있다.

광주시는 '5·18민주화운동 역사왜곡·훼손 사례 신고센터(www.gwangju.go.kr/singo.jsp)'를 개설한지 이틀 만에 1200건이 넘는 신고가 접수됐다고 26일 밝혔다. 5·18신고센터는 지난 24일 오후 1시부터 접수를 받기 시작했다.

신고된 글 중에는 5·18민주화운동 당시 북한군이 개입했다는 주장을 편 이들을 신고하는 내용이 많았다.

익명을 요구한 한 트위터 이용자는 정미홍 더코칭그룹 대표를 신고했다. 정씨는 지난 16일 자신의 트위터에 "이제와 드는 생각, 5·18은 혁명을 기도했으나 북한의 개입으로 폭동으로 끝났는데 민주화운동으로 둔갑, 결국 선량한 시민들만 피해를 본 사건. 개인적으론 민주화운동이라고 믿었다가 드러나는 증거들 때문에 폭동이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어 멘붕이 온 상태"라는 글을 남겼다. 5·18에 북한군이 개입했다는 내용의 책을 쓴 저자와 이 책을 출간한 출판사도 신고대상이 됐다.

박근혜 대통령의 인터넷 지지모임인 '박사모'에 "5·18시민군이 임신한 여성을 강간했다"는 글을 올린 회원도 덜미가 잡혔다. '국사 교사' 라고 밝히며 5·18관련 뉴스에 "광주사태라고 아이들을 가르칩니다. 객관적 진실이 하나도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작정 민주화라고 가르치는 건 제 교육 양심상 용납되지 않습니다"라는 내용의 댓글을 단 사람도 신고 됐다.

"게임 사이트에서 '광주폭동'이라는 '길드이름'을 사용하는 네티즌들이 있다"는 내용과 "자동차 동호회에 지속적으로 5·18을 왜곡하는 글을 올리는 이가 있다"는 신고도 접수됐다.

일간베스트저장소와 다음 아고라, 네이버 뉴스기사 댓글, 개인 블로그, 게임 사이트 게시판, 카카오스토리 등에서 5·18의 가치를 훼손한 사례도 봇물을 이뤘다.

신고는 전국각지에서 이뤄지고 있다. "부산시민"이라는 정모씨"5·18민주화운동을 왜곡하는 행위는 반드시 근절돼야한다"는 의견을 남겼고 서울에 사는 대학생 이모씨는 "너무 슬프다. 꼭 이들을 단죄해 달라"고 했다.

자신을 경상도 출신이라고 밝힌 한 신고자는 "저는 경상도사람이지만 5·18을 겪은 광주시민들을 존경합니다. 비하 게시물을 올린 사람들을 끝까지 추적해서 처벌해주세요"라며 "자치단체가 5·18의 가해자인 전두환 전 대통령 생가에 설치된 안내판이 전씨를 미화하는 내용으로 채워져 역사를 왜곡했다"는 글을 올렸다.

신고를 위해서는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 '실명인증'을 거쳐야 한다. 법적 대응 증거로 활용하기 위해 신고자에게 왜곡이나 훼손된 글을 올린 게시자의 아이디가 보이는 사진을 찍어 첨부해 줄 것을 당부하는 등 절차가 복잡하지만 신고는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신고센터에 접수 된 10건 중 1건은 여전히 5·18을 폄훼하고 조롱하는 내용이었다. 나모씨는 "북한군 개입설을 왜곡이라고 생각하면 방송 나와서 진술한 북한군 탈북자부터 고소해봐라"라고 주장했다. 이런 내용을 반복해서 올리는 세력도 눈에 띄었다.

광주시는 접수된 사례를 5·18역사왜곡대책위원회 법률·사이버대응팀에서 검토해 법적 대응할 예정이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