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현장21 영상] '일베에 빠진 아이들' 강력추천합니다!
게시물ID : sisa_39623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자로.
추천 : 11
조회수 : 554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3/05/29 18:02:02

요즘 공중파 중에서는 그나마 SBS가 봐줄만하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현장21>에서 일베에 대해서 정말 제대로 파헤쳤네요.

관련 기사와 동영상을 포스팅하오니 꼭 한번 보시기를 강력추천합니다.

 

[현장 21] '일베' 누구를 위하여 역사를 바꾸나?

 

SBS뉴스 2013-5-19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807131

 

일간 베스트 저장소. 이른바 ‘일베’를 놓고 논란이 뜨겁다. 한 라디오 방송에서 20대 아이돌 가수가 무심코 말한 단어 하나가 발단이었다. 개성을 억압하거나 집단 따돌림을 당한다는 왕따와 같은 의미로 ‘민주화’를 언급한 것. 본래의 뜻과는 반대의 부정적인 의미로 쓰인 ‘민주화’를 은어로 쓰는 곳이 ‘일베’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일베’에 대한 논란은 온 사회로 확산됐다.

여기에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왜곡하는 일부 종합편성채널의 도를 넘은 방송으로 파문이 일면서, 이와 같은 노선의 주장을 펴는 ‘일베’는 여론의 집중포화를 맞고 있다. 5.18을 폭동으로 규정하고 폄훼하는 ‘일베’ 내 수만 건의 글과 사진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와 정치권 등 각계각층에서 비난 여론이 들끓었고, 현재 사이트 폐쇄 논의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지난 2월 ‘일베’의 행태를 집중 조명하며 문제를 정면으로 제기했던것에 이어 역사 왜곡 논란과 관련해 ‘일베’를 다시 밀착 취재, '일베'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뜨거운 논란과 이면에 놓인 역사교육의 그늘을 들여다 봤다.

그 결과 10대와 20대 ‘일베’ 회원들이 직접 밝힌 역사교육 현장은 실로 참혹했다. 필수과목이었던 국사가 2005년부터 11개의 선택과목 가운데 하나로 바뀐 이후 기피과목 1순위가 됐다는 것. 특히 근현대사의 비중이 극히 적어 학교 안에서 배울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아이들이 교과서보다 '일베' 역사를 배우고 그것을 더 신뢰하는 시대. 그것이 지금 2013년 대한민국의 현주소일까?

 

한가지 안타까운 소식도 함께 전합니다.

 

일베를 파헤친 <현장21>은 1997년 탄생한 시사 프로그램 <뉴스추적>의 명맥을 이어 2011년 뉴스 매거진 형식으로 개편된 시사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을 사측에서 일방적으로 폐지하려 하고 있답니다.

 

이에 대해 현장21 취재기자들을 비롯해 SBS 기자협회,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SBS뉴스텍지회, 언론노조, 민주언론시민연합 등이 강력 반발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 폐지 논란에 휩싸인 SBS ‘현장21’ 살아날까? (클릭)

 

SBS의 앞글자 'S'는 '서울'이 아니라 '상업', '시청률'을 뜻하는 단어인가요?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