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좌파경제학에서는 정부 VS 기업 VS 민간(노동자)를 비교분석하여
기업+정부의 부당이득을 제기하는 방향으로 시장을 분석합니다.
하지만 요즘 트렌드는 착한소비를 통해서 기업+정부+민간이 서로 공생관계를 노력하려고 합니다.
이에 반좌파경제학적인 부분으로 살펴볼까 합니다.
오늘의 주제는 "농산물 물가 산지에는 100원, 소비자에게는 10,000원"을 해 볼까 합니다.
간단한 산수를 해 봅니다.
100원 + 100원 = 200원
200원 + 200원 = 400원
400원 + 400원 = 800원
.....
6400원 + 6400원 = 12800원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복리효과 입니다.(이자에 이자가 붙는 효과)
우리가 사 먹는 제품들은 가장 간단히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제품 가격 = 제품 원가 + 판매관리비 + 세금 + 이윤
농산물 산지가격하면서 항상 나오는게 화물차 바꾸기라고 합니다.
전국 각지에서 농산물이 불규칙적으로 오다보니 중계지에서 화물차 자체를 바꾸는 방법으로
물건의 선적을 최소화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바로 위의 제품가격이 올라가게 되는 겁니다.
각 개별 업자들은 자기만의 이익과 세금을 내기 위해서 원가에 판관비 붙여서 먹든다는 것입니다.
맨처음 살펴본 복리이론은 여기서 계속 진행됩니다.
각 중계업자들은 고유한 사업을 하고 있으니 뭐라 할 수가 없죠.
자기가 먹는거는 얼마 안 된다.
유통구조가 그래서 그렇다.
맞습니다.
유통 구조가 그래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직거래가 갑이죠.
그래서 대기업 유통이 뛰어드는 것입니다.
양질의 농산물에 대하여 매입-유통-보관을 체계화 하기 때문에
기존의 조악한 유통구조보다 양질의 제품을 소비자가 구매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중간 단계별 마진이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가는 마진으로 합쳐지기 때문에 기업의 이익도 늘어납니다.
기존의 중간 업자들은 직원으로 채용되기 때문에 중간 단계 업자들은 안정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단, 정부는 해당 조직이 고착화되기 때문에 불합리합니다. 세금이 줄어들게 됩니다.
현행 음식료 업체의 80%가 개인사업자가 공급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은 유통구조에 분통을 터뜨리지만 달리 대안을 찾기 힘듭니다.
대기업은 해당 유통망에 뛰어들 경우 국민들의 비난이 두려워 뛰어들지 못 합니다.
몇몇 시민단체에서 협동조합을 결성하여 시도는 하고 있지만 구조가 조악합니다.
과연 어떤 것이 착한 소비이고 어떤게 기업의 착취라고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