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좌파경제학의 딜레마 - 농산물 유통편
게시물ID : sisa_39654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탐욕은미덕
추천 : 3/2
조회수 : 241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3/05/30 14:44:17

대다수 좌파경제학에서는 정부 VS 기업 VS 민간(노동자)를 비교분석하여 

기업+정부의 부당이득을 제기하는 방향으로 시장을 분석합니다. 

하지만 요즘 트렌드는 착한소비를 통해서 기업+정부+민간이 서로 공생관계를 노력하려고 합니다.

이에 반좌파경제학적인 부분으로 살펴볼까 합니다.


오늘의 주제는 "농산물 물가 산지에는 100원, 소비자에게는 10,000원"을 해 볼까 합니다.


간단한 산수를 해 봅니다.


100원 + 100원 = 200원

200원 + 200원 = 400원

400원 + 400원 = 800원

.....

6400원 + 6400원 = 12800원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복리효과 입니다.(이자에 이자가 붙는 효과)

우리가 사 먹는 제품들은 가장 간단히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제품 가격 = 제품 원가 + 판매관리비 + 세금 + 이윤


농산물 산지가격하면서 항상 나오는게 화물차 바꾸기라고 합니다.

전국 각지에서 농산물이 불규칙적으로 오다보니 중계지에서 화물차 자체를 바꾸는 방법으로

물건의 선적을 최소화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바로 위의 제품가격이 올라가게 되는 겁니다.

개별 업자들은 자기만의 이익과 세금을 내기 위해서 원가에 판관비 붙여서 먹든다는 것입니다.

맨처음 살펴본 복리이론은 여기서 계속 진행됩니다.


각 중계업자들은 고유한 사업을 하고 있으니 뭐라 할 수가 없죠.

자기가 먹는거는 얼마 안 된다. 

유통구조가 그래서 그렇다.


맞습니다.

유통 구조가 그래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직거래가 갑이죠.

그래서 대기업 유통이 뛰어드는 것입니다.


양질의 농산물에 대하여 매입-유통-보관을 체계화 하기 때문에 

기존의 조악한 유통구조보다 양질의 제품을 소비자가 구매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중간 단계별 마진이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가는 마진으로 합쳐지기 때문에 기업의 이익도 늘어납니다.

기존의 중간 업자들은 직원으로 채용되기 때문에 중간 단계 업자들은 안정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단, 정부는 해당 조직이 고착화되기 때문에 불합리합니다. 세금이 줄어들게 됩니다. 


현행 음식료 업체의 80%가 개인사업자가 공급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은 유통구조에 분통을 터뜨리지만 달리 대안을 찾기 힘듭니다.

대기업은 해당 유통망에 뛰어들 경우 국민들의 비난이 두려워 뛰어들지 못 합니다.

몇몇 시민단체에서 협동조합을 결성하여 시도는 하고 있지만 구조가 조악합니다.


과연 어떤 것이 착한 소비이고 어떤게 기업의 착취라고 할까요?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