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겐지를 글로 배워보자
게시물ID : overwatch_3999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nanasB
추천 : 5
조회수 : 2173회
댓글수 : 5개
등록시간 : 2016/11/10 18:00:06

알고 지내는 지인을 위해서 글로 정리해봤는데

다시 읽어봐도 좀 글 솜씨가 형편없고 막 쓴거같네요..;; 창피함


이 글이 100% 맞다고 자부할 순 없지만

틀리지 않다고 생각하기에 혹시 도움이 될까 싶어서 한 번 남겨봅니다.

 

 

겐지에 대하여

 

 

 

차 례

 

 

 

1.  겐지 콤보

2.  궁극기 활용 방법

3.  캐릭터별 상대 방법

4.  맵별 활용 방법

5.  겐지 플레이 운영 형태

 

1.  겐지의 콤보

 

 

겐지 표창은 항상 헤드를 중심으로, 상대방 이동경로 쪽을 예상하며 던지도록 한다.

 

기본 콤보

좌클->질풍->근접 = 좌질근
우클->질풍->근접 = 우질근

 

좌질근
표창으로 간을 본 후, 좌클 3발 중, 한발이 나가자마자 질풍으로 들어가 뒤돌아 근접공격을

넣는 콤보, 피가 200인 캐릭들은 원콤으로 끝내버릴 수 있다. (헤드를 맞출 시)

 

우질근

상대방과 근접해 있는 상태에서 우클표창으로 두발이상 맞춘 후, 들어가는 질풍 뒤돌아 근접공격

위와 마찬가지로 피가 200인 캐릭들을 원콤으로 끝내버릴 수 있다

(헤드를 맞출 시)

 

 

 

 

 

 

폭딜 콤보

 

좌클->질풍->우클->근접

우클->질풍->우클->근접

 

좌질우근, 우질우근

위의 두 콤보와 비슷하지만, 질풍참 후 근접공격이 아니라, 우클->근접으로

바로 뒤까지 질풍참을 들어갔다면 우클표창이 다 박히며 근접까지 들어가는 폭딜 콤보이다.

 

2.  궁극기 활용방법

 

겐지는 상대방을 처치 할 때마다, 질풍참이 초기화가 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익히도록해야 한다. 또한 궁을 쓰면 질풍참이 초기화가 되므로, 질풍참을 쓰고 궁을 쓰도록 하자.

 

겐지의 궁 모션은 오른쪽 한 번, 왼쪽 한 번 휘두르기 때문에 오른쪽, 왼쪽을 한번 씩 휘두르면 모션 딜레이가 생긴다 이를 캔슬하는 방법은 질풍참이다, 오른쪽 긋고 왼쪽 긋고 질풍참

 

겐지의 궁 폭딜 콤보는 한번 긋고 질풍참, 적을 잡았으면 또 한번 긋고 질풍참이다. 한 번씩 긋는 모션을 캔슬하기 때문에 더 많은 딜이 들어가고 순삭이 가능해진다.

겐지가 궁을 쓰는 2가지 방법으로, 공중에서 낙하하며 쓰기, 적진으로 질풍참을 긋고 쓰는 경우가 있다. 공중에서 낙하하며 궁을 쓸 때는 질풍참으로 들어가지 말고 그냥 공중에서 궁을 쓰도록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지상에서 궁을 쓸 경우, 질풍참으로 한 번 그어주고 궁을 쓰도록 한다.

여기서 만약 메르시나 루시우 경우, 궁을 쓰고 질풍참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왜냐하면     루시우는 음파로 밀쳐내고 도망가면 따라 갈 수가 없고, 메르시는 수호천사로 도망가기 때문에 최대한 이 둘은 근접위치에서 궁을 쓰며 도망갈 때, 질풍참으로 따라가주도록 한다.

 

겐지가 궁을 쓰면 상대가 카운터 궁으로 맞대응을 하기 때문에 항상 상대 비트, 초월을 생각하며 쓰도록 해야 한다. 반대로 겐지의 궁으로 카운터 궁을 뽑아 낼 수 있으니 전략적으로도 사용해보자.

 

3. 캐릭터별 상대방법

공격군

 

겐지 겐지 vs 겐지는 시간싸움이다. 서로 맞추기 힘들뿐더러, 잡으면 좋겠지만 그만큼 시간소비가 크다는 것, 만약 겐지vs겐지 싸움을 하다 지게 되면 자존심이 상하고 굉장히 열받음 겐지의 용검은 튕겨내기로 막을 수 있다.

 

리퍼 리퍼는 총이 샷건이므로 중거리를 유지하며 상대해야 한다. 선 질풍참으로 들어가 초근접에서 튕겨내기로 녹이는 방법도 있다. 만약 리퍼가 반피정도에서 망령화로 도망갈 때초근접까지 따라가 망령화가 풀릴 때, 튕겨내기를 쓰면 리퍼는 좋아 죽는다. 리퍼의 궁은 우리편이 한 명 이상 죽지 않았을 경우, 튕겨내기로 보내버릴 수 있다.

.

파라 파라를 잡기에 겐지는 좋지 않은 캐릭이지만, 파라는 선 좌질근으로 들어가 겐지가 공중에서 땅에 떨어질 때, 우클을 날려주고 땅에 닿을 때, 튕겨내기로 보내버리는 방법을   추천한다. 파라의 궁은 겐지의 튕겨내기로 0.5초정도 돌려 보내주다가 질풍참으로 마무리 하자.

 

 

 

맥크리 맥크리와의 싸움은 눈치 싸움이다. 만약 튕겨내기로 맥크리의 총알을 튕겨내기로 맞췄으면 겐지가 이길 확률이 엄청 커진다. 반대로 총알을 튕겨내기로 맞추지 못하면 섬광탄을 의식하며 거리를 벌리거나 초 근접전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접에서 싸움은 선 튕겨내기를 쓰지말고 맥크리의 눈치를 살펴 섬광탄을 튕기도록 하자. 무빙은 초근접이 아니라면 투 점프를 할 수록 불리해질 것이다. 맥크리의 궁은 맥크리 기준 오른쪽부터 쏘기 때문에, 맥크리 기준 오른쪽으로 질풍참으로 들어가 튕겨내기를 써주면 우리편은 아무도 죽지 않고 맥크리를 잡을 수 있다.

 

솔져 솔져와의 싸움은 간단하다. 근거리, 원거리든 싸우다 솔져가 생체장을 깔면 도망갔다가 끝나면 다시 싸움을 걸면 된다. 솔져의 궁은 겐지의 튕겨내기보다 길기 때문에, 튕겨내기를 쓰면서 숨을 곳을 찾아야 한다.

 

트레이서 겐지와 마찬가지로 시간낭비가 되는 영웅이지만 1:1로는 이기기 힘든 챔피언이므로 겐지의 콤보로 원콤이 나질 않는 이상 싸움을 피하기를 권한다. 트레이서 궁은 포물선을 그리며 낙하하므로 튕겨내기로 돌려보낼 수 있다.

 

수비 및 돌격

 

윈스턴 겐지의 카운터라 알려진 윈스턴, 하지만 점프팩으로 먼저 들어오는 윈스턴들은 거리를 조금씩 벌려주며 싸우면 된다. 윈스턴이 왔다고 무조건 도망가지 말 것, 그냥 들어오는 윈스턴들은 점프팩을 쓰기 전까지 먼저 질풍참을 쓰지 않도록 한다. 질풍참을 보고 바로 점프팩으로 들어오기 때문

 

자리야 자리야는 에너지의 충전량을 보고 싸우도록 하며, 에너지 충전량이 적을 경우 머리위에서 싸우도록 한다. 자리야의 궁은 겐지가 튕겨낼 수 있는데, 항상 자리야는 궁을 쓸 때, 딜러보다 앞쪽으로 자리를 잡는 경우가 있으니 튕겨내기로 자리야 궁을 노려보자.

 

 

메이 메이는 1:1로 이기기 힘든 영웅이다. 자신이 불리하면 벽과 급속빙결로 시간을 벌 수 있기 때문, 만약 한기를 1초이상 맞았다면 질풍참으로 바로 도망가기를 권유한다. 메이의 궁은 그 로봇(?)이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지기 때문에 보고 튕겨내기가 가능하므로 튕겨내기로 돌려보내 주도록 해보자

 

바스티온 겐지가 아주 좋아하는 영웅으로, 바스티온은 경계모드일 때, 보이자마자 바로 튕겨내기를 써주는 것 보다, 한 두대 맞아주고 튕겨내기를 쓰면 바스티온은 좋아 죽는다. 만약 근접에서 튕겨내기를 썼는데 바스티온이 상대를 안해줄 경우, 머리위에서 표창으로 상대한다. 바스티온 궁은 튕겨내기로 돌려보낼 수 있지만 스플레쉬 데미지로 인하여 나까지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근접전은 주의하도록 한다.

 

위도우메이커 위도우메이커에게는 절대로 정면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헤드샷이 맞추기 쉽고 훅으로 도망갈 수 있기 때문에 측면 혹은 후방으로 들어가 상대해야 한다.

 

한조 한조는 갈래화살이라는 풀데미지 400짜리 스킬이 있기 때문에, 갈래화살을 쓰기 전까지 가까운 거리정도를 유지해준다. 갈래화살이 빠지면 투 점프로 머리 위에서 싸움을 한다  또 한조 궁은 처움부터 용이 나가는게 아니라 화살이 나간 후 나오기 때문에 이 또한 튕겨내기로 튕길 수 있다.

 

라인하르트 라인하르트의 망치 데미지는 아프지만 튕겨내기로 무시 할 수 있다. 머리 위에서 표창을 날리며 견제하도록 한다.

 

로드호그 로드호그는 갈고리가 빠지면 중거리 이상 거리에선 겐지의 궁 채워주기 영웅이므로           갈고리만 주의하며 궁을 채우는 형식으로 상대해준다. 로드호그의 궁은 넉백효과가 있기 때문에 우리편으로 궁을 사용 할 경우 튕겨내기로 로드호그를 넉백 시켜주도록 한다.

 

 

 

토르비온 토르비온의 포탑을 항상 의식하며 플레이를 해야한다. 궁을 썼을 경우 나도 모르게 토르비온의 포탑에 죽는경우가 많기 때문, 궁을 쓸 때, 항상 토르비온의 포탑을 먼저 철거 후 쓰거나 토르비온 포탑 시야가 없는 곳에서 쓰도록 한다.

 

디바 디바도 마찬가지로 로드호그 처럼 겐지의 궁을 채워주는 좋은 영웅이다. 메트릭스를 사용할 경우 머리 위에서 신나게 표창을 던지도록 하며, 궁을 썼을 경우 무조건 숨어있는 것이 아니라 메카를 타기 전까지 데미지를 넣어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메카가 위에서 떨어지는 것도 튕겨내기로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지원군

 

메르시 메르시는 수호천사라는 도주기가 있기 때문에, 원콤이 나질 않는 이상 질풍참은 수호천사로 도망갈 때 쓰도록 한다. 메르시의 딱총은 은근 아프기 때문에 주의할 것..

 

루시우 루시우는 자힐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루시우가 유리해지므로 어느 정도 지체가 된다 싶으면 빼는 것이 중요하다.

 

아나 .. 아나는 진짜 1:1로 잡기 힘든 캐릭이다.. 딜이면 딜, 생체수류탄.. 수면총.. 아나는 몰래 침투하여 표창 헤드3발 질풍참으로 죽이지 않는 한, 왠만해서 잡기 힘든 캐릭이므로 잡기보단 견제를 해준다는 생각으로 임할 것, 하지만 초근접하여 튕겨내기로 수류탄을 튕겨냈을 경우 겐지가 무조건 유리해진다.

 

젠야타 지원군 중에서 가장 상대하기 수월하다 생각하는 젠야타, 비록 부조화가 너무 아프지만 이동기가 없는 지원가로 상대하기 수월하다. 개인적으로 젠야타를 암살하기 제일 쉽다고 생각한다.

 

4.  맵별 활용방법

 

겐지는 항상 벽을 끼고 싸운다고 생각하고 또한 지상에 닿지 않으며 싸우도록 한다. 벽을 넘어가고 고지대에서 자리를 잡으면 상대는 나를 못보고 내가 선공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맵별 활용방법은 글로 표현하기 어려우니 이것은 게임으로 ^^

 

 

5. 겐지 플레이 운영 형태

 

겐지의 플레이 형태는 크게 2가지가 있다.

1.     암살형 겐지

2.     서브딜러형 겐지

 

1, 벽을 타고 뒤를 돌아 상대가 눈치채기 전에 폭딜을 넣고 잡든 못 잡든 빠져 나오는 암살형 겐지

2, 팀원들과 함께 움직이며 표창 딜과 여러명이 뭉쳐있는 곳에 질풍참을 그어주며 어그로를 끌면서 궁을 빨리채워 한타에 크게 기여하는 서브딜러형 겐지

 

가장 좋은 방법은 1번과 2번의 혼합 형태인데 요즘은 리스크가 큰 1번이나 혼합형태 보단

2번 형태의 겐지 플레이를 선호한다. 하지만 나는 앞으로의 업데이트 (궁 게이지 상향 더 늦게 참) 및 나의 성향으로 보아 1번 스타일의 겐지를 선호하긴 한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