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대한민국 발전을 가로막는 진정한 종북 정권
게시물ID : sisa_41035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핫아이스
추천 : 13
조회수 : 461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3/07/01 01:10:21
1. 천안함 침몰 사건
 
대한민~4.JPG
 
사건일시 : 2010년 3월 26일 21시 22분경
장 소 : 백령도 근처 해상
인명피해 : 사망 40, 실종6
 
2010년 3월 26일에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인 PCC-772천안이 피격되어 침몰된 사건으로 휴전 이후 사상 최악의 패전으로 꼽는다. 천안함의 침몰에서 인양, 조사 발표까지 대한민국 사회와 주변국의 관심을 끌었으며, 이에 합조단은 어뢰피격으로 침몰한 것으로 발표했다.
 
※ 어뢰추진체에 적힌 1번 매직글씨, 형광등, TOD영상 등으로 천안함에 대한 의혹은 아직까지 제기되고 있다.
 
 
2. 연평도 포격 사건
 
병역면~1.JPG(사진출처 : http://impeter.tistory.com/1310?top3)
 
사건일시 : 2010년 11월 23일 14시 34분경
장 소 : 연평도
인명피해 : 사망 4(군인2, 민간인2), 부상 20(군인16, 민간인4)
 
북한은 76.2mm 평사포, 122mm 대구경 포, 130mm 대구경 포 등을 이용해 연평도 군부대 및 인근 민가를 향해 개머리 해안부근 해안포기지로부터 무차별 포격을 시작하였다. 이에 대해 대한민국 국군은 첫 피격 13분 후 K9 자주포를 무도 포진지에 50발, 개머리 포진지에 30발 총 80여발을 대응사격하였다. 북한의 공격은 오후 3시 41분까지 계속되었으며 약 170여발이 발사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천안함 침몰 사건에 이어 8개월만에 벌어진 이 사건으로 인해 양측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 어록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 : (보온병을 들고) "이게 포탄입니다. 포탄"
이명박 전 대통령 : (벙커에서) "단호하게 하되, 확전되지 않도록 대응하라."
 
 
3. 노무현의 국방개혁 2020을 수정한 이명박 정권
 
SSI_20090601005156_V.jpg
2020.jpg
 
지난 2005년 참여정부 때 수립된 원안은 재래식 병력 위주의 구조를 첨단 전력화해 ‘작지만 강한 군대’로 재조형하는 것이다. 국방개혁 원안은 2020년까지 현재 68만여명의 병력을 50만명으로 줄이는 등 군 구조개편인 ‘감군 계획’이 주요내용이다. 몸집을 줄이는 대신 621조원의 재원을 투입, 육·해·공군 전력을 첨단화해 현대전에 걸맞은 기동성과 정밀 타격 능력을 높이자는 게 목표이다.

(하지만) 참여정부가 계획했던 621조원의 재원은 수정안에서 599조원으로 삭감됐다. - 중략 -
해·공군의 첨단 전력 사업은 줄줄이 순연됐다. 3000t급 차기잠수함 건조 계획이 연기됐고 차기호위함(FFX)과 해군항공대 창설은 재검토되거나 백지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반도 정보자산의 핵심 전력인 글로벌호크급 고고도 무인정찰기(UAV)와 주력기 KF-16의 작전 반경을 확대할 수 있는 공중급유기 도입은 모두 2014년 이후로 연기됐다.
 
 
4. 노크 귀순 사건
 
제목.jpg
 
사건일시 : 2012년 12월 02일 
장 소 : GOP소초
인명피해 : +1 (북한군 1명 추가)
 
상관과 싸운 북한군 1명이 징계가 두려워 귀순한 사건. 10월 2일 화요일 DMZ 내 북한군 2중 철책에 도착하여 일반 철조망은 월책하고 전기 철조망은 나무판을 대고 간격을 벌려 통과하였다.월책 후 후방도로를 따라 약 110m를 이동하여 인접 초소로 찾아갔으나 근무를 서지 않는 빈 초소여서 다시 200m를 걸어가 동해선 경비대의 현관문을 두드렸으나 반응이 없어 맞은편 1소초 막사로 이동해 유리문을 두드려 귀순 의사를 표시하였고 소대장 등 우리 장병이 23시 19분경 신병을 확보하게 되었다.
 
※ 대선 전 안보정국을 기대하던 새누리당과 언론은 정부의 심각한 안보 위기, 안보 실종 상황을 역이용하였고 한 때 노크귀순사건은 대선 전 안보정국에 이용당한 먹잇감이라 불렸다.
 
 
5. NLL 정국
 
정전협정 발효 1개월 뒤인 1953년 8월 30일, 마크 웨인 클라크 UN군 총사령관은 정전협정의 취지에 따라 남북간의 군사적 충돌을 억제할 목적으로 북한에 통보없이 서해에 NLL을 설정하였다. 1973년 북한은 처음으로 NLL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였다. 북한은 제1연평해전 직후인 1999년 9월에 NLL로부터 훨씬 남쪽을 경계로 하는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을 일방적으로 선포하였으나, 김대중 정부 이후 대한민국 정부와 국군은 현재의 NLL이 준수되어야 한다는 입장에 서서 북측의 이러한 주장을 일축하고 있다.
 
NLL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북방한계선 근처에선 수 많은 군사적 충돌이 일어났으며,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북한군 경비정 및 어선의 NLL 월선 횟수는 2006년(21회), 2007년(28회), 2008년(24회), 2009년(50회), 2010년(93회)로 해가 지날수록 늘어나는 추세이다. <출처:위키백과>
 
2012년 대선 당시 새누리당에 의해 NLL 정국이 벌어졌고 국정원 부정선거 개입이 드러나자 새누리당과 국정원은 다시 노무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2013년 6월 24일, 2007년 남북 정상 회담 대화록을 공개하기에 이른다.
 
※ 어록
노무현 전 대통령 : 내가 김정일 위원장한테 분명히 얘기했다. 그거 지금 양보할 수가 없다, 지금 해결할 수가 없다. 분명히 얘기를 했다. 우리가 그걸 지금 테이블에 올려서 옥신각신해서 절대 해결 안 된다. 그리고 그걸 내가 여기서 양보할 수 없다. 그건 분명하게 얘기했다. 다만 기본합의에 이미 기본 방침이 나와 있으니까 뒤로 미루자, 미래 지향적인 질서를 새롭게 구축해 가면 그 문제는 해결되지 않겠느냐 그렇게만 정리했다.
국방부 장관 김장수 : "남북기본합의서에 명시된 바와 같이 여타의 군사적인 신뢰 조치에 대한 협의와 병행해서 해상불가침 경계선, 그건 논의할 수 있다는 건 국방 장관 입장에서 항상 열어 놓고 있습니다."
 
 
6. 청와대 홈페이지 해킹 사건
 
42SsV2iDa5jLNzW9FnEi.jpg

 
사건일시 : 2013년 06월 25일 
장 소 : 청와대 홈페이지
해킹피해 : 10만명
 
2013년 6월 25일 청와대 홈페이지에는 "통일대통령 김정은장군님 만세! 우리의 요구조건이 실현될 때까지 공격은 계속 될 것이다. 우리를 기다리라. 우리를 맞이하라" 등의 문구가 올라왔다. 지금까지 청와대 홈페이지가 마비된 사례는 지난 2009년 7·7 분산서비스거부 공격 이후 4년여만의 일이지만 당시에는 자료해킹의 피해는 없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그러나 25일 발생한 청와대 홈페이지에 대한 해킹으로 약 10만명에 달하는 홈페이지 회원들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되어 논란이 일고 있다.
 
※ 이명박 정권부터 각종 은행 전산망, 국가기관들이 해킹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책임자 문책은 커녕 해킹주체도 명확히 밝혀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적절한 대응책도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
 
 
 
그렇게 안보 떠들던 정권이 패전하고 해킹당해도 책임지는 사람 한명 없다는건 부끄러운 일입니다.
정작 보수정권이 종북정권이라고 까던 김대중 노무현 시절이 제일 평화로웠고
제 1, 제2의 연평해전이라는 북한 군부의 도발에도 전부 승전한 사실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제 3, 제4의 연평해전을 막으려던 그들의 노력이 안보무능정권한테 손가락질 받을 이유가 있을까요?
 
인터넷 출처 + 알고있는 사실로 날림으로 작성한것이니 오류나 어긋난 사실은 지적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