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AUTO FOCUS의 함정 (구라핀은 왜 생기는걸까??) (3/3)
게시물ID : deca_4152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산들바람93
추천 : 15
조회수 : 576회
댓글수 : 15개
등록시간 : 2015/05/20 19:17:58








-------칼퇴하지 못 한 서러움을

마지막 3편 작성에 풀어 봅니다 -_-;;



이런건 사실 스르륵에도 못 올린;;

스르륵 강좌에는

좀 찾아 보면 무슨 논문스러운 기술자료들이 많.... ㄷㄷㄷㄷㄷㄷ


==============================================================================================================================

휴지 처럼 얇디 얇은

 수준으로 알고 있는 것이지만

아는 범위 내에서

짜내고 짜내어


구라핀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계신 많은 분들에게


핀 교정을 맡겼지만


왜!!??


 여전히 구라핀인것인지


조금이나마 위안이 되는 글을 써 보겠습니다.

 (특히 미세 구라핀) 


스크롤 압박


 있습니다.


ㄷㄷㄷ


고수분들은 그냥 지나치지 마시고

오류 부분을 지적해 주신다면

겸허히 수용하겠습니다.


========================================================================

http://todayhumor.com/?deca_41483

1편은 AF에 관한 글이였습니다.


http://todayhumor.com/?deca_41505

2편은 광학기기의 한계에 대한 글입니다.




드디어 마지막인

Auto Focus 의 함정에 대해 써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전 글에선

구라핀이 생기는 근본적인 이유를 설명 드렸습니다.


 자이델의 5수차라거나...


조리개를 조이므로써  생기는 입사각 차이로

 촛점이동이 발생한다는 것...


그래도 우리의 똑똑한 카메라들은

분명 손대면 베일거 같은 


칼핀을 잡습니다.


허나


많은 분들이 구라핀으로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시죠.


 그것은

 


위상차 AF 모듈 때문입니다.


Auto Focus 의 함정이구요.


 자이델의 5수차와 입사각의 차이 따위나...

카메라 조립 오차에도 불구하고

칼핀을 잡아 줍니다.

 


그 이유 역시 위상차 AF 모듈 때문이죠.


AF31.png


조리개 값에 대응하는 AF 센서


 

들어 보셨을거라 생각합니다.

 


 XXXXX 모델의 AF 센서에는


F2.8 대응 센서 몇 개...

F4 대응 센서 몇 개...

F5.6 대응 센서 몇 개... 


이런거 말입니다.


 

카메라 렌즈에는 보정 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있습니다


 조리개 F2.8일 때는 촛점 이동이 대략 어디쯤이니까

거기까지 움직이고 



F5.6일 때는 촛점 이동이 대략 어디쯤이니까

거기까지 움직여야 한다는..


 

그래야 조리개 값에 따른 입사각 차이로 생기는 촛점이동을

보정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구면수차로 인해 생기는 촛점의 분산은

비구면렌즈 같은 보정 렌즈들로

최대한 억제를 하는 것이고



AF21.jpg

구면수차로 인한 촛점 분산



AF22.jpg

촛점 분산을 억제하기 위한 비구면렌즈




조리개 대응 센서는

조리개 값에 따른 입사각 차이 때문에 생기는

촛점 이동을 보정해 주는 것이죠.

 


보정렌즈들은 하드웨어적인 보정

AF 모듈은 소프트웨어적인 보정

 


이론적인...

경우 F2.8 대응센서의 측거점에서

조리개 값 F2.8로 놓고 찍으면

구라핀이 생기지 않아야 하는 것입니다.


 

F2.8 대응센서의 측거점에서

F5.6으로 찍으면??


피사계 심도가 더 깊어지니 핀이 나간걸로 보이지 않는것이죠.


보통 주면 측거점은 F5.6 대응센서인데 


F2.8로 찍는다면

구라핀이 생길 확율이 높아집니다.



확율이 높아지는 것이지

무조건 구라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 이유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AF32.jpg




조리개 F2.8 대응 센서 측거점에서


빨간선은 조리개 F2.8일 때


녹색점선은 조리개 F5.6일 때 입니다.

 


위 그림과 같이 조리개를 F5.6까지 조이면

촛점 이동이 발생하게 됩니다. 



구라핀이란거죠. 


F5.6 대응 센서 측거점에서

F1.2로 찍어 버리면

상당히 많은(?) 보정거리가 생기게 됩니다.


그것을 AF 모듈과

렌즈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정보로

보정해야 하는 촛점거리가 자동으로 보정되어

촛점을 맞추는 것입니다.



50mm 단렌즈를 예로 들자면

 


50mm 라는것은

촛점거리가 촬상면으로 부터

 50mm 떨어져 있다는 것이죠.

 


하지만 실제로

촛점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서는

48.398mm 가 될 수도 있고

51.824mm가 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숫자는 임의로 적은 것입니다)


정확히 50mm가 아닌 것이죠.


 

이런것을 허용 오차라고 하고

그런 보정 수치가 렌즈에 미리 입력이 되어 있습니다.


조리개 대응 센서가 하는 일이기도 하구요.


 

F5.6 대응 센서 측거점인데

조리개 F1.8로 찍을 때 보정해야 하는 수치


F2.8 대응 센서 측거점인데

조리개 F16으로 찍을 때 보정해야 하는 수치


이러한 것들이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정 될 수 있게 말이죠.

 


그리고 바로 이것이


Auto Focus의 함정입니다.





각종 수차에 의한 근본적인 결함들도

보정 렌즈들을 통해 최대한 억제하며

보완되었고

조리개 값에 따른 입사각 차이로 생기는

촛점 이동 또한 렌즈/센서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보정 값에 의해 보정됩니다.


 

이게 함정이란 겁니다 -_-;;

 


카메라나 렌즈는 대량 생산되는


공산품입니다.


 카메라의 조립과정 중에는

엄연히 조립 오차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렌즈에 입력되는 보정 수치는

모두 동일하게 입력이 됩니다.


 예를 들면

내 카메라에 50mm 렌즈를 물렸을 때


실제로는 촛점거리가 52mm가 되어야

촛점이 맞는 카메라인데

렌즈의 보정 값은 50mm에 맞추라고 되어 있다는 것이죠.


그럼 2mm의 촛점거리 차이 때문에

내가 산 카메라는 만성 전핀 카메라가 되는 것이죠.


값 비싼 신형 카메라와 렌즈를 샀는데

당연히 핀이 잘 맞고

아무 문제가 없어야 하는게 당연하지만

결코 그렇지 않으니 함정이란겁니다.

 




물론!!


 


이러한 문제 때문에 


각 카메라 브랜드에서는

핀교정을 무상으로 해 주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S 센터를 수시로 들락 날락하며

핀교정을 밥 먹듯 받는데도


구라핀이 계속 생기는건


 위상차 AF 센서 모듈...


조리개 대응 센서와 보정 수치들 때문이죠.


AF33.jpg


(설명 편의를 위해 대강 그린거라 오류는 있습니다 ㄷㄷㄷ)


 

위의 그림을 보시면 


F2.8 대응 센서의 촛점 위치와

F5.6 대응 센서의 촛점 위치가 있습니다.


이게 바로


조리개 대응 센서가 의미하는 것입니다.


위상차 AF 모듈에서


F2.8 대응 센서 측거점의

이미지 결상 위치는 어디쯤...


F5.6 대응 센서 측거점의

이미지 결상 위치는 어디쯤...



 이런식으로 촛점의 위치가 이미 정해져 있습니다.



조리개를 쪼이면

촛점 이동 현상이 있다고 설명 했었습니다.


촛점이 이동 했을 때의 위치 값이

조리개 대응 센서에 이미 정해져 있다는 말입니다.



F5.6 대응 센서 측거점에서

조리개 F1.2로 (조리개개방)촬영하게 되면

그만큼 보정해야 하는 촛점거리가 커지게 되고

피사계 심도가 얕은 상태이니 부정확해지는 것입니다.

 


반대로 




F5.6 대응 센서 측거점에서

조리개 F8로 (조리개조임)촬영하게 되면

보정해야 하는 거리가 생기긴 하지만

피사계 심도가 깊어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 부정확하더라도

핀은 잘 맞은걸로 보일 수 있는 것이죠.



 같은 이야기지만..

 


F2.8 대응 센서 측거점에서

F8 이상으로 촬영하게 되면

보정해야 하는 거리가 커지기 때문에 실제로 구라핀일 수 있지만

피사계 심도가 깊기 때문에 크게 느껴지지 않는 것입니다.



위상차 AF 모듈에서

조리개 대응 센서 값에 따른 이미지 결상 위치는 이미 정해져 있고

렌즈에 미리 입력 되어 있는 보정 값으로

조리개 값에 대한 촛점 이동을 보정 하는 방식입니다.

 


조립 오차와 보정 값의 차이가 미미하기 때문에

큰 불편 없이 사용을 하는 것이기도 하구요.

 


A/S 센터에 핀 교정을 맡길 때

카메라와 렌즈를 동시에 같이 맡깁니다.


 둘 중 하나만 맡기면 의미 없...... -_-;;


 


핀 교정은 결국

렌즈에 입력되어 있는 보정 값과

조리개 대응 센서에 입력된 촛점 위치 값을

수정해서 맞추는것이죠.


===============================================================================

니콘의 일부 렌즈에는

보정 값 자체가 없는 렌즈들이 몇 개 있습니다.

그런건 핀 교정 못 합니다 -_-;;

정말 렌즈 뜯어서 일일히 렌즈간의 거리 맞추기 전엔 못 합니다.

ㄷㄷㄷ

==================================================================================


보정 수치가 입력되어 있다면


어느 브랜드이건

분명히 100% 확실하게

쏘면 쏘는대로 백발백중 할 수 있게


 핀교정이 가능하지만 


허용 오차 범위 


이거 안에 들어가면 된다고...

딱... 그만큼만 교정해 줍니다.

AF34.jpg

(위 사진은 핀 교정과는 아무 관련 없는 사진입니다)



핀 교정을 하시는 분들이

 실력이 없어서 못 맞춘다기 보단

각 조리개 수치에 따라

조리개 대응 센서의 측거점에 따라서 


그리고 


조립 오차 때문에

각각의 카메라들의 보정 값이 모두 다를테니 


 보정해야 할 거리를 찾아내는 일은

정말 쌩노가다에

시간이 매우 걸리는 작업인 것이죠.

======================================================================

실제 사례로...

스르륵 캐논동에는

제트 삼춘이라는 별명을 가진 분이 계십니다.

그 분은 칼핀 장인으로 ㄷㄷㄷ

그 분께 핀 교정을 받을려면 2년은 기다려야 합니다.

======================================================================


게다가

광학기기 특성상 아주 조금만 위치가 달라도

이미지에서 차이가 생겨 버립니다.

이것을 맞추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 되므로


허용 오차 범위 이내로 교정하는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처세입니다 -_-;;


 

허용 오차 범위로 교정을 하게 되면

최대한 핀이 잘 맞는 보정 값을 입력하겠지만

정확하게 맞지는 않는것이고

그로 인해서 미세한 핀 틀어짐이 발생


핀 교정을 받았는데도 핀이 안 맞는다고

빡치게 되는겁니다

ㄷㄷㄷ


=======================================================================================

또 하나 

AF 모듈에 설치 되어 있는

집광 렌즈와 세퍼레이터 렌즈들은


과연 구면수차 같은

광학적 결함을 얼마나 억제 시켰는지

의심스럽지만...

그 쪽 부분은 확실하게 모르니 Pass

ㄷㄷㄷ

===================================================================================


구라핀이 생기지 않게

개선을 위한 방법들도 쓰려고 했지만 


그건 카메라 회사들이 해결하기 위해

지금도 열심히 연구 중이고 

설마 카메라 회사들이 모를까요 ㅋㅋㅋ


 

쓰다 보니 용두사미가 되었는데 -_-;;


그냥 그러려니 해 주세요 ㄷㄷㄷ

 


휴지 처럼 얇은 지식

짜내고 짜내서 쓴 것입니다

ㄷㄷㄷㄷㄷㄷ

 


 


 


 


요약해 보겠습니다.


 


 


구라핀이 발생되는 원인

 


1. 렌즈 구면수차에 의한 촛점 분산

2. 조리개 값에 따른 입사각 차이로 생기는 촛점 이동

3. 위상차 AF 모듈 & 렌즈의 보정 값과 조립 오차간의 차이

(하드웨어의 결함과 이것을 보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와의 불일치)

4. A/S 센터의 장인정신 부재 -_-;;


 



 


이상.


 

 


끝.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