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참여정부 김정호 기록관리비서관 "100% 이관 했다"
게시물ID : sisa_41575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百年戰爭
추천 : 10
조회수 : 416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3/07/18 10:40:45
출처 : 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newsview?newsid=20130718102008899

"못 찾고 있거나 고의 회피 가능성 높아"


참여정부 때 마지막 기록물 담당자였던 김정호 전 청와대 기록관리비서관은 18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유실·폐기 논란과 관련, "100% 이관을 했다"고 말했다.

영농법인 봉하마을 대표를 맡고 있는 김 전 비서관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기록물을 넘기는 과정에서 대화록만 빠졌을 가능성을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대화록 유실·은폐 논란과 관련, 정치권에서는 찾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 참여정부에서 실수나 고의로 누락했을 가능성, 이명박 정부에서 실수나 고의로 유실됐을 가능성 등 3가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김 전 비서관이 참여정부에서 실수나 고의로 누락했을 가능성이 전혀 없음을 주장한 것이다.

그는 "(국가기록원으로 넘기는) 건수는 824만건 정도 된다"며 "저희들은 전자기록이 많아서 청와대의 모든 문서를 전송하고 보존하는 게 이지원이라는 업무관리시스템에서 했는데 이게 탑재되었던 모든 기록물들이 백업이 통째로 다 이관이 되었고 혹시나 싶어서 외장하드에 담아서 기록물만 별도로 보냈다. 그 다음에 또 하드를 구성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까지 이중, 삼중으로 백업이 될 수 있도록 다 보냈다"고 설명했다.

이지원 시스템에 아예 올라가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된 데 대해서도 "누가 중간에 조작을 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김 전 비서관은 "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결재라인이 비서관, 수석, 비서실장, 대통령께 올리는 이런 기록들이 다 보존이 되게 돼 있다"며 "한 두 건이 아니고 모든 의사결정의 과정들이 계통을 밟아서 기록들이 다 보존되게 돼 있기 때문에 중간에서 누가 한 단계라도 안 거치면 위로 안 올라간다. 결재를 하게 되면 이 기록물들은 다 그대로 컴퓨터에 저장이 돼서 누가 중간에 조작을 할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대화록이 있는데) 못 찾고 있거나 (누군가에 의해) 고의로 회피하고 있는 게 아니냐라는 의심을 할 수 밖에 없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전 비서관은 "지금 진위가 가려지게 되면 불리한 측에서 기술적인 문제를 이유로 '그 검색어를 치면 안 나온다'는 식으로 호도하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그는 또 "진위를 가릴 수 있는 검증 자체를 회피하려고 하는 게 아니냐는 생각도 든다"고 덧붙였다.

대화록 파기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능성, 개연성은 있다"면서도 "문제는 저희들이 보낸 기록물 전체를 다 훼손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치적인 쟁점이 되는 중요한 부분만 훼손했을 개연성은 있으나 이것도 전자기록이기 때문에 흔적이 남아서 만약에 수사를 하게 된다면 훼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