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도배는 아님..질문] 전자레인지 문그물
게시물ID : science_1570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뜨거운종이
추천 : 1
조회수 : 3107회
댓글수 : 5개
등록시간 : 2012/12/16 20:48:55



왜 전자기파의 파장이 길면 금속사이의 틈을 통과하기 어려운가요?

파장이 길면 회절이 잘 일어나서 오히려 더 잘 통과해야하는거 아닌가요? 


수업시간에도 선생님이 설명을 제대로 못하시고 넘어가셔서.. ㅠㅠ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2-12-16 22:16:29추천 0
콧구멍에 손가락은 들어가지만 발가락은 들어가지 않는것과 같음
댓글 0개 ▲
2012-12-16 22:19:28추천 0
1뭐가 같은지 모르겠어요..
파장이 길든 작든 진폭은 같으니까 상관없지 않아요?
댓글 0개 ▲
[본인삭제]넬군
2012-12-17 00:58:35추천 0
댓글 0개 ▲
[본인삭제]넬군
2012-12-17 01:15:42추천 0
댓글 0개 ▲
2012-12-17 01:28:33추천 0
위에 애들 몬소린지 대충은 알아 먹겠는데 몬지 몰르겠다. ㅋㅋ

내가 물1,물2했는데. 이세기들 회절의 원리는 안나와 ㅋㅋ. 그냥 전자 회절무늬 시밤 ㅋㅋ.
파동성이 어찌라고 이놈들아. 고만해!!

근데 간단히 표현하자면, 그믈망을 평광필름이라고 생각하자
3d입체안경의 안경알은 편광필름인데 빛이 한가지 파동빼고서는 죄다 못통과하게하자나????
그 편광필름이 어떤건지는 잘 알지 어떤 원리인지?

대충 그것처럼, 파장같은건 무시하고
대충 전파가 진폭이 훨씬 커. 빛보다.
즉 그냥 진폭이 커서 그 작은 구멍 못통과해. 끝.
댓글 0개 ▲
[본인삭제]넬군
2012-12-17 01:31:09추천 0
댓글 0개 ▲
2012-12-17 03:06:01추천 2
넬군님 말씀이 맞습니다
불확정성의 원리에 따라서 파장이 긴 빛은 운동량을 관찰하는데는 더 정확성이 높지만 위치를 인식하는데는 오차가 큽니다
짧은파장의 빛은 그 반대로 에너지가 높기때문에 관측하는 순간 관찰대상의 운동량을 크게 변화시킵니다. 대신 측정 순간의 위치는 오차가 다소 줄어들죠
이해하기 쉬운 비유로는 눈을 감고 호두껍질을 만져서 느낌만으로 그림으로 그리려는데 한 사람은 손이 너무 커서 호두 표면의 자잘한 주름은 만져지지 않아 미세한 표현이 불가능하고 한사람은 손이 작아서 세밀한 부분까지 느낄 수 있어서 더 정확히 그릴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즉, 측정을 정확히 할 수 있는 빛이 짧은 파장의 빛이고 이런 빛을 차단시키려면 빠져나올 구멍이 거의 없어야 합니다
하지만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라서 파장이 꽤 길죠
그래서 물체의 미세한 부분까지 측정을 할 수 없습니다.
분명히 구멍은 존재하지만 그걸 감지를 하지 못하는 것이죠
그래서 전자레인지 공장에서는 마이크로파를 차단하기 위해 구멍이 없는 철판을 쓸 이유가 없습니다
가뜩이나 재료비도 비싼데 어차피 있으나 마나 알지도 못하는 구멍을 왜 채워주겠습니까?
마이크로파는 구멍이 있든 없든 신경조차 쓰지 못하는데...
그러니까....
투표합시다
정치하는 사람들이 우리에게 구멍을 내도 별 상관 없다고 생각하고 우리의 필드에 구멍을 뚫기 전에....
댓글 0개 ▲
[본인삭제]응칠이
2012-12-17 15:21:24추천 0
댓글 0개 ▲
2015-04-01 00:20:23추천 0
제가 지름 3cm 크기의 구멍이 하단에 난 전자렌지를 쓰고있는데 (학생들이 창작품으로 쓰던걸.....) 테스트해본결과 전자파 유출이 거의 없더군요. 미세하게는 있지만요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