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한국에 존재하는 이승만 동상들
게시물ID : history_417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악진
추천 : 12
조회수 : 1897회
댓글수 : 7개
등록시간 : 2012/04/23 22:30:30
0. 한국에는 몇 개의 이승만 동상이 존재했고, 지금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독립운동가이자 초대대통령이라면 동상이 있을 법도 하지만, 문제는 그 초대대통령이 혁명에 의해 쫓겨난 인물이고, 그 혁명은 현행 헌법전문에서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으로 정의되고 있다는 점이죠. 그럼 한국의 이승만 동상들이 어떤 운명을 거치고 있는지 한 번 볼까요. ======================================================================================= 1. 탑골공원 동상 비교적 실사크기와 큰 차이가 없는 동상이 탑골공원에 있다가 4.26 하야선언 당일에 철거되었다. 멀쩡한 모습으로 있는 사진은 도무지 못 찾겠다. 2. 남산 동상 season.1 하야선언 당일 철거된 탑골공원 동상과는 달리 남산에 있던 이승만 동상은 그 해 8월이나 되어서야 철거되었다. 그 이유는 어마어마한 크기 때문이었다. 올려다 보기 싫어도 올려다 볼 수 밖에 없다. 이런 동상은, 주로, 이런 녀석들이 자주 세운다. 포즈까지 똑같다. 우러러 보기 싫어도 상놈들은 나를 우러러 보라는 거다. 이 동상에 대해선 할 얘기가 많다. 일단, 이 동상은 이승만 80회 생일(!)을 맞아 제작되었다. 가난한 나라에는 동상을 만들 돈이 없어 시중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만들었고, 생일날에는 3부 요인들을 불러다 앉혀놓고 손뼉을 쳤다. 이승만....제정신이었을까? 결국 이 동상은 이런 운명을 겪는다. 철거 작업을 사람들이 모여 들어 구경하고 있다. 남산동상은 명륜동의 한 민가에 탑골공원 동상과 함께 짱박혀 있다. 비철사업장에 팔아먹으면 꽤 돈이 될 법하다. 3. 인하대 동상 인하대는 79년 인하대 설립자라는 이유로 이승만 동상을 지었다. 이 동상은 83년 운동권 학생들에 의해 철거되었다가 다시 복원되었다. "인하"는 인천+하와이라고 한다. 4. 부산 임시수도 기념관 부산에는 임시수도 기념관이라는 곳이 있다. 뭘 기념한다는 건지... 거기에는 이런 이승만 동상이 있다. 제작 당시부터 많은 논란을 겪었으며, 설치 되기 전에 누가 몰래 와서 붉은 페인트를 뿌려놓기도 했다. 어쨌거나 동상은 지금 설치되어 있다. 5. 남산 동상 season.2 여기가 문제다. 임시수도기념관, 인하대야 그렇다 치자. 남산에 이승만 동상이 돌아왔다! 정치인들과 함께 이승만 동상이 다시 돌아왔다! 낯익은 얼굴 몇몇이 눈에 띈다. 한국자유총연맹은 2011년 4월 자기네들 건물부지에 이승만 동상을 세웠다. 박희태 국회의장, 이홍구 전 국무총리, 캐서린 스티븐스 주한 미 대사 등이 참석했다. ========================================================================== 자유민주주의를 지키자며....? 이거 원...뭐하는 짓들인지 모르겠습니다. 일부 패거리들이 이승만을 지칭하는 말은 국부(國父). 아니, 이게 "어버이 수령"과 뭐가 다른가요-_-;;;;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