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겉핡기 로마사(2)-로마 공화정
게시물ID : history_426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악진
추천 : 13
조회수 : 1680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2/05/03 08:44:14
SPQR(Senatus Populus Que Romanus). '로마 원로원과 시민들'이라는 뜻으로서 이는 로마의 공식국호이다. 이 문구는 로마의 화폐, 깃발, 방패, 석상, 심지어 오늘날 배수구 뚜껑에까지 사용된다. 이런 식으로. 검색을 해보니 이런 티셔츠도 뜬다. 1. 초기 공화정 에트루리아의 왕정지배를 벗어나서, 로마 공화정 시대는 450년 이상 지속되었다. 훗날 제정이 시작된 후에도 공화정 시대의 몇몇 제도는 로마의 정체성을 이루었다. SPQR이라는 명칭은 공화정 뿐 아니라 제정시대에도 로마의 공식국호였다. 공화정 시대의 제도들은 매우 합리적이고도 정교하게 설계되어 있어서, 두고두고 상기해 볼만하다. 물론 시대가 흐르면서 로마의 제도와 공화정 이념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의 문제에 관해서는 역사학자들 간의 치열한 논쟁이 있다. 2. 변모하는 공화정 공화정은 폐쇄계급인 귀족들의 과두정으로 출발하였다. 하지만 귀족과두정이 개막하자마자 시민계급의 계급투쟁도 시작되어, 공화정 시대는 계속해서 시민들의 계급투쟁이 벌어졌다. 공화정을 관통하는 중요한 화두 중 하나는 시민계급의 저항과 원로원의 기득권이 충돌할 때 이러한 이해관계의 충돌이 어떻게 조정되고 봉합되는가 하는 것이다. 로마인들은 두 번 다시 군주제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강력한 공화정 제도를 마련해두었다. 이론적으로 로마의 주권은 로마시민들에게 있었으며, 민회를 통하여 직접민주주의원리를 달성할 수 있었다. 국정운영의 실질적인 권력은 원로원에게 맡겨져 있었는데, 원로원은 법률과 같은 효력의 의결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민이 선출한 집정관을 견제하는 역할을 했다. 일정 시점 이후 공화정은 점점 정치/사회적 문제에 적절한 해법을 내놓지 못하면서 쇠퇴해갔다. 이에 대해서는 수많은 연구결과가 있지만, 누구나 동의하는 것은 귀족들이 대토지 겸병을 하며 자영농이 몰락했다는 것이다. 로마의 영토가 확장되면서 발생한 문제도 있다. 로마는 이탈리아 중부를 넘어 이탈리아 전체, 서부 지중해, 지중해 전체로 확장했다. 원로원 건물로 유명한 '쿠리아 율리아'이다. 이 맞은편에는 세베루스 개선문이 있다. 원로원 건물 '쿠리아 율리아'의 내부 모습이다. 3. 시민계급과 귀족의 대립 bc509년 공화정이 들어선 후 불과 얼마 지나지 않은 bc494년, 로마시민들은 시민철수를 하였다. 에트루리아 세력을 쫓아내고도 삶이 개선되지 않은 로마시민들이 일종의 총파업(!)에 돌입한 것이다. 시민들은 모든 생산활동을 중단하고 로마외곽으로 짐을 싸서 나가버렸다. 타협의 산물로서 민회가 설치되었고 호민관 제도를 도입했다. bc451년에는 호민관들의 노력으로 성문법 12표법이 제정되었다. bc445년에는 귀족과 평민간의 통혼이 허용되어 계급이동의 길이 열렸다. 계속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귀족들의 세력이 강해지는 경향은 계속되었고, bc376년에는 토지소유상한제가 도입되었고 2명의 집정관 중 1명은 귀족이, 1명은 평민이 선출하도록 하였다(리키니우스 법). 리키니우스법은 흔히 공화정 시기 계급투쟁에 한 획을 그은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민족의 침입에 맞서기 위해 귀족계급이 시민계급에 당근을 제시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같다. 공화정 시기 시민계급이 계속해서 계급투쟁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국가는 끝없이 전쟁을 해야했던 반면 시민계급이 보병으로서 전쟁에 참전해주어야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민계급의 계급투쟁은 bc287년 평민회가 정식입법기관이 됨으로써 절정에 달한다. 평민들이 아무리 승리를 거둔다 해도, 체제를 지배하는 것은 '부자'들이었고 공직에 진출하는 것도 '부자 평민'들이었다. 민회 역시 재산에 따라 투표 기회가 주어졌고 상류층 부자를 중심으로 하는 회의체가 되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