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대박]원세훈 폭탄증언 “대선직전 권영세와 NLL 대화록 상의”
게시물ID : sisa_42689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릴케
추천 : 10
조회수 : 470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3/08/17 00:16:30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대선 직전 국회의원 신분도 아닌 권영세 전 박근혜 캠프 총괄상황실장(현 주중대사)과 노무현-김정일 정상회담록 공개에 대해 상의했다고 증언해 파문이 일고 있다. 이는 원 전 원장과 새누리당, 박근혜 캠프가 대선 직전 NLL 대화록 공개문제로도 긴밀히 논의했다는 것을 처음으로 털어놓았다는 의미가 있다.

원 전 원장은 16일 밤 속개된 국회에서 열린 청문회에서 권영세 당시 상황실장과 통화한 적이 있는지에 대해 “NLL 대화록에 대한 것으로, 여기에 있는 정보위원들도 다 알 것”이라며 “개인적으로 상의를 한 것이다. 정보위원회에서 저한테 회담록 내놓으라고 해서 정보위원들도 알 텐데 도대체 (내놓을 수 없는 것을 공개하라하니) 엄청 힘들어서 (정회 시간에 전화를 해서) 한 번 더 상의한 것”이라고 증언했다.

당시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도 아니고, 민간인 신분이었던 권 전 실장에 왜 그런 상의를 했느냐는 박범계 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 원 전 원장은 “개인적으로 가까우니까 (내가 어떻게 해야 할지를) 물어본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대선 직전인 12월 13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어마어마한 남북정상회담 비밀 대화록을 민간인인 유력 대선후보 2인자인 권영세에게 ‘새누리당이 우리를 압박하는 데 너희 생각 어떠냐’고 한 것이냐”는 박 의원의 질의에 원 전 원장은 “(새누리당 의원들이) 공개해라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내가) 힘들다(는 취지에서 물어본 것). 여기 있는 정보위원께서 다 알 것이다”라고 답했다.

   
원세훈 전 국정원이 출연한 16일 국회 국정조사특위 청문회 현장.
 
이 같은 폭탄증언이 나오자 김진태 새누리당 의원도 그 진상을 질의하고 나섰다. 이에 원 전 원장은 “(자꾸 대화록을 공개하라고 해서) 갑갑하다, 오래 끌 (정보위) 회의라고 생각지 않았다. 개인적으로 하소연 비슷하게 하는 차원에서 한 얘기”라며 “내가 정회시간에 (권 전 실장에) 전화를 했다”고 말했다.

정회시간에 원 전 원장이 전화한 것을 나중에라도 확인할 수 있느냐는 김진태 의원의 지적에 원 전 원장은 “(여기) 아시는 분 다 아실 것이다. 밤 12시 넘어 사퇴거부결의안이 나와 있고, 민주당 퇴장하는 바람에 결의안이 통과되지 않았다”

정보위 정회 시간에 정보위 위원도 아니고 현직 국회의원도 아닌 권영세 전 실장과 통화할정도로 보통 친한 사이가 아닌 것 아니냐는 신경민 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원 전 원장은 “(권 전 실장이 정보위원을) 오래 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를 두고 신경민 민주당 의원은 “정보위 끝나고 나서도 통화했다는 것은 그냥 친한 것만 갖고는 설명이 안되는 것”이라며 “12월 10일에 권 실장이 ‘NLL 문건을 다시 끼워맞추겠다’는 얘기가 있었고, 이 문건은 원 전 원장의 책임 관할에 있는 문건이었으며, (그 나흘 후) 김무성은 문건을 들고 읽었다. 10일 권 실장 발언, 13일 원 전 원장과 통화, 14일 김무성 선대본부장의 유세 발언에다, 김용판 전 청장이 16일 박원동 국장과 통화한 것까지 놓고 볼 때 박원동, 김용판, 원세훈, 권영세 이 네 사람이 긴밀하게 얽혀있고, 이 사건 수사와 NLL 문건이 교묘하게 얽혀있는 것 아니냐”고 분석했다.

이를 두고 원 전 원장은 “권영세 전 실장과는 정보위 관계 때문에 상의한 것”이라고 말했으며, 김용판 전 청장은 “박원동 국장이 (내게) 전화한 것으로 어떤 영향 받은 것도 없다”고 해명했다.

원 전 원장은 국정원 댓글을 통한 불법선거개입 사건이 처음 문제제기됐던 12월 11일엔 심각하게 생각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권 전 실장과) 11일 당시엔 댓글에 대해 얘기 없었다. 심각하게 생각지 않았다”며 “13일 정보위 때 북한 미사일 발사 후 정보위 열었던 것 같다. 계속 정상회담록을 공개하라 하니까, 이쪽에 있는 분들과 대화해봐야 안되니 (권 전 실장과) 얘기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당시 전화했더니 권 전 실장이 “알아서 하라고 하더라”고 말했다고 원 전 원장은 전했다.

   
16일 국회 국조특위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한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
ⓒ연합뉴스
 
한편, 국정원 댓글 사건과 관련해 원 전 원장과 김용판 전 청장이 자신은 모르는 일이라며 발뺌하는 문제에 대한 무책임함을 질타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신기남 국정조사 특위 위원장은 “(국정원이 모두 삭제해) 심리전단 댓글 활동 가운데 극소수만 나와있다. (다 삭제했다고 생각해도) 세상에 완전한 일이 없다. 빈틈이 있어도 작은 빈틈이 생긴 것”이라며 “검찰이 어렵게 탐색한 댓글 중 정치관여 댓글이라고 판단해 제시한 게시글이 2000건, 찬반 건이 1800건이었다”고 밝혔다.

신 위원장은 “게시글 2000건을 분류 해보니 선거관련 글이 있는데, 공소시효가 남은 대선 고나련 글이 73건이었으며 나머지는 지방선거와 총선 관련 글로, 선거법으로 기소할 수 없으니 일반 정치글로 기소한 것”이라며 “그래서 지적한 것이 73건으로 이는 73건이 아니라 73만건에 해당될 만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 위원장은 “이 모든 것은 국정원장의 지시에 의한 것이어서 검찰이 심리전단 직원들을 기소유예하고 원세훈 증인이 책임지고 대표로 기소된 것”이라며 “김용판 전 청장 역시 마찬가지로, 상명하복이기 때문에 대표로 기소된 것이라는 점을 두 증인은 모르느냐, 알고도 모른체 하느냐. 여기서 부인하면 부하직원이 책임지게 된다는 것을 모르느냐”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원 전 원장은 “우리 직원들이 의심받을 글이 있다고 하는 얘기가 있어도 그 자체가 원장이나 상부 지시에 의해서 한 것이 아니다. 자기들이 쓴 글이 미끼글이라고 말하더라”라고 해명했다. 김용판 전 청장은 “난 축소 은폐를 지시한 적도 없고, 우리 직원도 불법적으로 은닉했다고 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1511

이제 서서히 밝혀지는군요

거대한 음모의 소용돌이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