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프랑스서 이런 일 생겼다면 재선거 요구"
게시물ID : sisa_42750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유체이탈가카
추천 : 11
조회수 : 421회
댓글수 : 11개
등록시간 : 2013/08/19 01:23:21
‘국정원 사태 촛불’ 참관 다니에루 프랑스 국립 렌2대학 교수
매년 방한 때마다 집회 참석 “촛불은 민주주의적 소통 예”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30818140806239&RIGHT_REPLY=R41

"만약 프랑스에서 이런 일(국가 정보기관의 대선개입)이 생겼다면 저는 프랑스 시민으로서 재선거를 요구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 한국 상황에서 재선거는 시기를 놓쳤어요. 원인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재발 방지책을 마련해 힘겹게 얻은 한국의 민주주의가 뒷걸음질 치게 해서는 안되도록 해야 합니다."

지난 17일 오후 '8차 국민촛불대회'가 열린 서울광장 한쪽. 2008년부터 여름마다 한국인 여자친구를 만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다는 시몽 다니에루 프랑스 국립 렌2대학 영화학과 교수(31·사진)가 촛불을 들고 서 있다.

"영화 때문에 한국에 관심을 갖게 됐다"는 그는 "봉준호 감독의 < 괴물 > < 마더 > < 살인의 추억 > 등 작품이나 임상수 감독의 < 그때 그 사람들 > 같은 영화를 통해 한국의 정치상황을 알게 됐고 관심을 가지게 됐다"고 말했다.

다이에루 교수는 "매년 한국에 올 때마다 서울 대한문이나 서울광장 등에서 일어나는 집회를 관심 있게 봤다"며 "산발적인 집회나 같은 주제로 지속적인 집회들이 있고 많은 군중들이 모이는 한국의 집회문화는 매우 인상적"이라고 말했다. 다이에루 교수는 한국의 촛불집회를 민주주의적 소통의 좋은 예라고 평가했다.

그는 "프랑스에서 어떤 정치적인 이슈가 있어도 서울광장에서처럼 많은 사람들이 모이기가 쉽지 않다"며 "이런 집회에 군중들이 모이는 것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소통하고 표현하는 하나의 긍정적인 방식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프랑스에서는 국정원 같은 기관이 정보를 이용해 사람들을 감시한 적은 있지만 한국처럼 대선에 개입한 적은 없다"며 "한국 사람들은 드러난 사실에 대해 프랑스인들보다 빨리 행동으로 옮겨 대처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사람들이 부조리를 보면 금방금방 일어나 행동으로 옮기는 것을 보고 많은 자극을 받았다"며 "(그러한 자극으로) 프랑스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 내가 습관적으로 (반응하지 못하고) 잠들어 있었는지 깨닫게 된다"고 말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