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BGM] 조선갑옷
게시물ID : bestofbest_4285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Coach
추천 : 166
조회수 : 30409회
댓글수 : 4개
베오베 등록시간 : 2010/11/19 01:15:45
원본글 작성시간 : 2010/11/15 16:32:55

경번갑

좌-기수                                                   우-궁수 조선 초기에 쌔고샜다던 병과 기수(騎手:기마병)와 궁수(弓手)의 무장이다. 왼쪽의 기수가 활줄을 잘못건게 눈에 거슬리지만... 뭐 넘어가지. -_- 궁수는 뭐 워낙 한민족이 활에 심취한 겨레다 보니 그렇다치고 ^^ 기병은 조선초에 워낙 집약해 정착,농업국가로서는 드물게 보병보다 많았다고 한다. 조선초 전성기에는 2~3십만 단위로 병력을 증강시켜 양성하기도 한다. 그리고 실제로 기수의 경우는 무장이 저것보다 빵빵하다고. 편곤에 기창(騎槍)에 방패에 환도까지 찼다니 뭐...

좌-조총수                                                   우-초관 왼쪽은 임난후 조선 중후기의 주력보병으로 활약한 조총수다. 오른쪽은 종 9품의 중급무관 초관(哨官). 조총수의 무장의 경우 후기 조선시대 보병의 표준무장이 되었다. 두정갑을 입고 조총과 환도로 무장하는게 전군의 표준이었다고. 참고로 두정갑은 아까의 기수,궁수와 위의 조총수, 초관이 입은 갑옷을 말하는데, 의복 안으로 쇠로된 두꺼운 찰편을 징으로 박아 만든 갑옷을 뜻한다

좌-교련관                                                   우-좌우별장 요즘 군대의 훈련교관 격인 교련관과 궁내 수비대장인 좌우별장의 무장이다. 교련관이 입은 갑옷은 두석린 갑주라고 하는데, 겉을 감싼 비늘의 외양대문에 용린갑이라고도 한다. 사극 " 불멸의 이순신 "에서는 장수들이 입고 있던데, 실제로는 상당히 후기에 만들어진 갑옷이라 그때는 용린갑이 없었다. 뭐 생긴 외양이 멋져서 거기서 사용하게 한듯.

좌-선전관                                                   우-병조판서 왕의 시위(侍衛)·전령(傳令)·부신(符信)의 출납등을 맡던 선전관과, 요즘의 국방장관에 비견되는 병조판서의 무장이다. 다들 당상관(정3품이상 벼슬아치)이라 그런지 용린갑을 입고 있다.

좌-정조대왕이 입었다는 황금수은갑                                         우-포수 정조대왕이 화성행차 할때 입고 갔다는 황금 수은갑이다. 오른쪽은 두정갑 입은 포수(砲手). 수은갑은 참 보기 힘든 조선전기 갑옷 중 하나다. 두정갑이 출현하면서 상당부분 의장용으로 변한 갑옷중 하나이기도. 황금이라 그런지 엄청 비싸보인다. 현재로 치면 명품슈트?

상하의 분리형 용린갑옷

다 덤벼라~!

사극에 포졸들 천옷만 입고다녀서 의아하셨던 분들에겐 좋은 정보일듯ㅋ 2차 출처는 알싸임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