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by 무명논객
이 글은 내가 일전에 썼던 글(http://blog.daum.net/liveinthought/58)에 대한 첨언 형식의 글이다. 다소 거칠게 느껴졌을 수도 있을 이전 글에 대한 일종의 해명(!)과 더불어 민족, 그리고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점을 보다 구체화시킬 생각이다.
글을 시작하기 전에, 필자는 사회주의자임을 밝히고 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즉, 나는 보편주의적 가치를 지향하며, 인류 공통의 어떤 가치가 있다고 믿는 편이다. 그러나 굳이 이 글에서 유물론을 적시하면서까지 민족을 비판할 이유는 없을 것 같고, 다만 문제제기가 들어온 몇 가지 사안에 대해서만 간단히 밝히고 넘어가겠다.
1. 앤더슨의 주장을 인용하자면, '민족(nation)'은 국가보다 훨씬 추상적인 개념으로써, '상상의 공동체'이며, 흔히 자신들을 그렇게 간주해달라고 주장하는 집단으로 보인다.(Anderson, 1983) 또한, 유력한 민족주의 이론가로 알려진 에른스트 겔너에 따르면, (그의 주장이 옳다면) 민족이라는 개념과 민족주의는 고대부터 존재해온 실재의 공동체가 아니라 사실상 산업혁명 이후 거대화된 사회를 하나로 묶기 위해 탄생한 근대화의 산물이다. 다시 말해 민족은 발견된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 것이다.
2. 이렇게 추상적이며 상상적인 공동체임에도 불구하고 민족과 민족주의가 지니는 특징이 있다면 그들은 그들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조국 땅 안에서 자결권을 주장한다는 점 - 이로써 그 땅의 주권을 추구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상적 공동체'는 정치적 의미를 부여받게 된다.(민주적 지배와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3. 민족 자결권은 하나의 집단이 독립이건, 이양이건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성취해 나갈 수 있는 권리이며 - 그 집단이 가지는 정부와 정치조직들이 민주적인지 아닌지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북한은 스스로 '자주'라고 외치고 있지만 정작 그들의 정부는 세계에서 가장 퇴행적인 형태의 정부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은가?
4. 종종 우리는 우리 내부의 민족주의에 대하여 제국주의로부터의 핍박을 근거로 삼고는 한다. - 첫 째, 이러한 주장은 사실 설득력이 없다.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 논거로써 '민족'은 사실 그 근거가 부족하다. 간단하게,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일제가 나쁜 이유는 그들이 '우리 민족을 지배했기 때문'이라는 사실 하나만 남는다. 논리적으로 이는 그 결함이 심각하다고 할 수 있겠다.
5. 그렇다면 해방 이후 반공주의와 결합된 우익 민족주의는 어떠한가? 사실 '민족적' 단위로써 벌어지는 봉기보다 계급의 이름으로 벌어진 봉기들이 체제의 양보를 얻어내는 데에 훨씬 강력하다는 것은 이미 수 차례 경험한 바 있다. - 일제 시대 동안, 민족의 이름으로 행해진 많은 운동들은 어떠한 성과를 거두었는가? 그 운동 자체의 의의를 폄하하는 것은 아니나, 그 운동들은 사실 제국주의의 핵심적 고리를 타격하지 못했다. - 더불어 반공주의와 결합된 우익민족주의자들은 보편주의로써의 사회주의를 이해조차 하지 못한 채 그저 민족의 이름을 훼손하는 매국노 정도로만 받아들였으며, 이는 사회주의자들에 대한 백색테러가 정당화되는 명분이 되기도 하였다.
6. 굳이 우리가 '민족'으로 묶일 필요가 있을까? 지난 과거 시기, 우리에게 민족은 사실 해방이라기보다는 폭력의 그것과 가까웠다. - 다만, 민족주의가 지니는 그 정치적 함의 - 그들이 주권을 보유하고, 자결권을 지니고 있다는 점 등에 비추어 민족과 민족주의 개념은 여전히 그 힘을 발휘하고 있음에 의심의 여지는 없다. 그러나 '민족'은 이제 그 한계에 봉착했다. 민족적 관점에서 우리가 일본을 합당하게 비판할 수 있는가?
7. 민주주의가 발전하는만큼, 오히려 퇴행적 반동만을 불러오는 민족주의보다 더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공동체의 추구가 현재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민족의 전통'보다, 그리고 '민족국가'보다 우리는 그러한 '국가' 안에서 얼마나 더 보편타당한 '인민주권'을 추구하며 누리고 있는지 고민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