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왓슨 분자생물학 7판 번역서 보시는 분 있으세요?
게시물ID : science_4361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동글몽실
추천 : 5
조회수 : 1403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4/11/30 22:12:43
옵션
  • 베스트금지
공부하다가 짜증나서 정오표 만드는 중입니다. 참고하시려면 하시라고 적어봐요. XD

번역서 79쪽 표 4-1 : 

뉴클오티드 2'-데옥시아데노신-> 뉴클레오시드 2'-데옥시아데노신

뉴클레오시드 2'-데옥시아데노신 5'-인산 -> 뉴클레오티드 2'-데옥시아데노신 5'-인산

 

원서에선 nucleotide 와 nucleoside 라 적혀있으나 원서가 틀린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당+염기는 뉴클레오시드이고, 인산기+당+염기가 뉴클레오티드이기 때문이다.

 

 번역서 94쪽 : number가 munber라고 적혀있습니다. 

 

번역서 241쪽 : 따라서 A:T가 풍부한 DNA는 반대 성향을 가지므로 -> 따라서 G:C가 풍부한 DNA는 반대 성향을 가지므로

 

번역서 316쪽 : 그러면 핵산내부분해효소가 풀려진 단일가닥을 -> 그러면 핵산외부분해효소가 풀려진 단일가닥을

 

번역서 316쪽 : 절단은 특이적 헬리카아제(UvrD)와 세 가지 핵산 내부분해효소 중 하나의 작용에 의해 일어난다. -> 절단에 뒤이어 특이적 헬리카아제 (UvrD)와 세 가지 핵산내부분해효소 중 하나의 작용이 일어난다. (또는 활성을 띈다.)

 

번역서 317쪽 : DNA 증합효소 -> DNA 중합효소

 

번역서 318쪽, 319쪽 : exonuclease를 핵산내부분해효소라고 적어놨습니다.

만약 DNA가 잘못짝지움의 5' 쪽에서 절단되었따면, 핵산내부분해효소 Ⅶ 또는 RecJ가 DAN를 5' → 3' 방향으로 분해한다. 반대로, 만약 절단부위가 잘못짝지움의 3' 쪽이면 핵산내부분해효소 Ⅰ이 DNA를 3'→5' 방향으로 분해한다

 

번역서 318쪽 : Muts-MuTL 복합체 -> MutS-MutL 복합체

 

 

번역서 319쪽 : 따라서 대장균에서와 같이 양친가닥에 메틸화표지를 붙이는 영리한 술수를 부리지 못한다. -> 따라서 대장균에서와 같이 양친가닥의 메틸화표지를 이용하는 영리한 술수를 부리지 못한다.  - MutH가 메틸레이즈인 것은 아니므로.

 

번역서 329쪽 : 이 절단으로 12~13 잔기 길이의 단일가닥 조각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은 DNA 헬리카아제 UvrD의 작용에 의해 접근이 가능해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DNA 중합효소Ⅰ과 DNA 연결효소가 간극을 메우게 된다.  - 뭔가 문장 자체가 이상하다.

 

원래 문장.

These cleavages create a 12- to 13-residue-long DNA strand that contains the lesion. The lesion-containing strand is removed from the rest of the DNA by the action of the DNA helicase UvrD, resulting in a 12- to 13-nucleotide-long gap. Finally, DNA PolⅠ and DNA ligase fill in the gap.

 

그림 10-16에서 잘못된 부위를 표현한 lesion 을 장애부위라고 해석하였으므로, lesion의 해석은 이에 따른다.

사전에서는 lesion을 병변, 병소로 해석하고, '박테리아의 분자유전학'에서는 lesion을 손상부위라 해석하는는데, '장애부위'보단 '손상부위'가 더 적절한 듯 하다.

 

이 절단으로 장애부위를 포함하는 12에서 13 잔기 정도의 단일가닥 조각이 만들어진다. 이 장애부위를 포함한 가닥은 DNA 헬리카아제인 UvrD의 활성에 의해 (from the rest of the DNA) 제거되어, 결과적으로 12에서 13 bp 길이의 간극(gap)이 생긴다. 최종적으로, DNA PolⅠ 과 DNA 연결효소가 간극을 메운다.

 

번역서 329쪽 : 버블의 형성에는 XPA 및 XPD 단백질의 헬리카아제 활성(대장균에서의 UvrB 활성)과 -> 버블의 형성에는 헬리카아제 활성을 갖는 단백질인 XPA와 XPD (대장균에서 UvrB에 대응)와 

 

번역서 332쪽 : 5' 및 3' 핵산외부분해효소 -> 5'→3' 핵산외부분해효소  (뜻이 햇갈릴 가능성이 있음)

 

번역서 332쪽 : 또 연결되게 한다. -> 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뜻이 햇갈릴 가능성이 있음) 

 

번역서 334쪽 그림 10-20. 활주 꺾쇠 -> 활주 클램프 - 본문의 해석과의 통일성을 주기 위해서.

 

번역서335쪽 UmuD의 불활설형인 UmuD' 등이 포함됨 -> UmuD'의 불활성형인 UmuD가 포함됨.  (확인 필요!)

 

번역서 336쪽 유비퀴틴화라 부르는 과정으로 공유결합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 유비퀴틴화라 부르는 과정을 통해 공유결합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매끄러운 번역을 위해서. 근데 이도 좋은 번역은 아니다. ㅜㅜ)

 

번역서 337쪽 그림 10-22 : 두 개의 As를 삽입하게 한다. -> 두 개의 아데닌을 삽입하게 한다.

 

 

번역서 616쪽 : Many Promoters Are Regulated by Activators That Help RNA Polymerase Bind DNA and by Repressors That Block That Binding
많은 프로모터들은 RNA 중합효소와 DNA의 결합을 돕는 활성인자가 결합하는 것을 막는 억제인자에 의해 조절된다.
라고 잘못 번역되어있음

번역서 688쪽 : 그림 19-27에 sir2, sir3,4 를 Rap2, Rap3,4라고 잘못 적어놨습니다. 

번역서 630쪽 : combinatorial regulation이 combinational regulation이라 적혀있습니다.

번역서 661쪽 : DNA target sequences that are twofold rotationally symmetric 이 단순히 표적서열은 이중으로 되어있고라고 번역되었습니다. 

번역서 708쪽 : 형성한다를 형성다라고 적어놨습니다. 

번역서 714쪽 : siRNA-RISC 복합체가 siRNA-RICSC 복합체라고 적혀있습니다. 

 

번역서 745쪽 : 그림 21-10 : Nortch 수용체 위에 선에는 Delta를 적어야 한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