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메르스를 보며 걱정 되는 게... 치료제가 없다는 점,확산이 빠르다는 점
게시물ID : humorstory_43729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빨간당무
추천 : 0
조회수 : 460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5/06/05 01:14:39
옵션
  • 창작글
  • 펌글
제목에 보이는 두 가지 문제점을 가진게 대규모 전염병 사태(대유행병이라고도 하죠)인데. 
사실 현실세계에서는 그리 많지 않은 일이죠. (페스트, 천연두, 홍역 등)

그래서 의학계에서는 실제 대규모 전염병 발생 시 사람들의 행동 패턴이나 심리 상태에 대한 분석이 필요했었습니다. 대비를 위해서죠. 

그런데 말입니다. 2005년 월드 오브 워크레프트(이하 WOW)에서 버그로 인한 "오염된 피 사건"이라는 가상 전염병이 퍼진 사건이 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출저의 위키를 보시는게 더 좋을 것 같구요. 요약하자면. (Ref.1 참고)

오염된 피 사건.jpg
전염 경로: 학카르(전염원)→ 사냥꾼의 펫(1차 전염자)→ 대도시의 NPC(보균자)→ 플레이어들(2차 전염자)→ 저렙(노약자/유아) (Ref.3 참고)

새로운 던전의 보스 몬스터인 "학카르"가 공격할 때 디버프 효과를 사용자에게 부여하는데 그 디버프가 "오염된 피"라는 기술이고 2초마다 체력이 200씩 감소 하는 효과입니다. 문제는 던전을 빠져나가면 디버프가 해제가 되는데. 원래 기획과는 다르게 유저가 아닌 유저가 보유한 펫이 전염이 되고.
그 펫이 도시의 NPC에게 전염이 되고 그 NPC 근처를 지나가는 유저들이 디버프 걸리게 되는 상황인거죠. 

더더욱 큰 문제는 그 디버프를 해제할 방법은 없었다는 겁니다. 마치 치료제가 없는 것처럼요. 
NPC 근처만 가면 디버프가 걸리니 확산이 빠르다는 점도 있구요. 

결국 이 버그는 위 그림과 같은 3차 감염 경로를 거쳐 학카르->펫->NPC->유저에게 감염되고 다양한 유저가 다양한 행동패턴을 보여주게 됩니다. 
그래서 그 행동패턴이 실제 인간이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반응하는 행동에 대한 연구 대상이 되었다고 하네요. 

각 행동 패턴들을 보면. 
1. 치유 스킬이 있는 유저들은 다른 디버프에 걸린 유저를 치료하였고 (하지만 100% 치료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유저는 죽습니다. 시간만 연장)
2. 심각하게 감염된 유저들은 (주로 저렙유저) 스스로 격리하여 죽음을 맞이 하였고
3. 일부 유저들은 감염된 지역을 통제하고, 다른 유저들에게 위함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전파하는 등.

긍정적인 패턴이 있었으나 일부 유저들은
4. 고의적으로 다른 유저에게 병을 감염시키려 하거나,
5. 감염자들에게 가짜 약을 팔아 돈을 챙기는 등의 행동도 보였습니다. 

아래 영상은 당시 전염병 전파 모습입니다.(Ref.2 참고)



아래는 해당 보스 몬스터인 학카르이고 (Ref.4 참고)
오염된피2.jpg

아래는 당시 도시 내에 죽은 유저들의 뼈(흔적-특정시간이 지난뒤 사라짐)입니다. (Ref.4 참고)
오염된피.jpg

여기까지 내용을 정리해서 드리고자 바는 공포심을 유발시키려하기 보단
위에 행동 패턴들 중에 1,2,3번과 같은 긍정적인 행동패턴들이 많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보건과 관련된 분들은 힘드시겠지만 힘내주시고(1), 
개개인은 마스크나 개인 소독 및 위생에 철저히 하고(2), 
정확한 정보는 이웃에게 전달하는(3) 행위를 말이죠. 

다만 걱정인게 확진판정받은 35번 의사 분과 같은 행동을 하는 사람이나 (Ref.5 참고)
이 때를 노려 본인 들에게 유리한 행동을 하려는 사람(Ref.6 참고)
메르스_교회.png

과 같은 사람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모두 건강하세요~

출처 Ref.1: http://ko.wikipedia.org/wiki/오염된_피_사건

Ref.2: https://mirror.enha.kr/wiki/오염된 피 사건

Ref.3: Lofgren, Eric T., and Nina H. Fefferman. "The untapped potential of virtual game worlds to shed light on real world epidemics."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7.9 (2007): 625-629.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473309907702128)

Ref.4: [정보] 게임 버그로 시작해서 의학 논문으로 쓰이게 된 오염된 피 사건 (http://www.oeker.net/m/bbs/board.php?bo_table=game2&wr_id=812184)

Ref.5: 확진된 의사분 이동동선 자신이 여기에 해당되는분 조심하세요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mers&no=4736)

Ref.6: 메르스에 대처하는 교회의 자세.jpg(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bullpen2&mbsIdx=2569746)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