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GNC
게시물ID : phil_475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00
추천 : 0
조회수 : 458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01/28 12:56:26

.발전과 만족

행복의 필요조건 중에 하나인 정신적, 물질적 만족은 사회발전에 따라 충족치가 높아져 간다.

발전한 사회일 수록 행복을 얻기엔 더 힘들어 진다는 것이다.

 

.행복과 문화

행복의 방법이 쌓여있는게 문화라고 칸트는 말했다.

 

.문화국가론

김구의 문화국가론에 이르러, 문화발전에 힘쏟을 만하게 우리나라의 무력과 경제력이 아직도 모자란 것일까.

 

.GNH

국민총행복지수는 정신 혹은 물질적 사회발전이 낮다면 쉽게 높일 수 있다.

즉 발전과 행복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았기에 GNH도 정책반영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GNC

국민총문화지수는 좀더 나은 이론이지만 문제점으로 문화를 구체적으로 측정할 방법이 마땅하지 않은데 있다.

한 연구에서는 미국을 100으로 잡았을 때 우리나라는 38이 나왔다고 한다.

 

출구막힌 챗바퀴가 되어버린 우리나라 현실에서 좀더 개량한 GNC는 우리나라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주지 않을까?

 

현우리나라에서 문화추구국가의 시작은 행복의 기회제공이 되는 물질이나 정신의 양립화 감소에 있다고 생각한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