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명박이 형만 믿어요.
게시물ID : humordata_45531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중어통역
추천 : 10
조회수 : 674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08/04/08 20:08:00
[머니투데이 이학렬 기자][정부 산하기관 분석… "성장률·물가·일자리 세 토끼 모두 놓칠수도"] 올해 신규 일자리가 정부 예상치에 크게 못미칠 것이라는 정부 산하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8일 노동부 산하기관인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2008년 거시경제와 고용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신규 취업자는 지난해(28만2000명)보다 1.3% 증가한 31만2000명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제조업의 취업자수는 지난해보다 약 3만3000명이 감소하고, 도소매·음식숙박업 역시 2만6000명이 줄어든단 게 고용정보원의 예상이다. 반면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은 약 16만4000명이 증가하고 도소매·음식숙박업을 제외한 다른 서비스업의 취업자수는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소폭 증가할 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런 전망은 기획재정부가 대통령 공약(60만개)보다 대폭 낮춘 35만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밝힌 수정 목표치보다도 4만여명이나 적은 것이다. 최근 경기가 2/4분기부터 하락할 것이라는 것이라는 분석이 잇따르고 점을 감안하면 신규 일자리가 30만명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도 상당하다는 분석이다. 주요 민간연구소는 국내외 경제여건을 감안할 때 신규 일자리 숫자가 29만5000명~30만명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주무현 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센터장은 "수출산업보다는 서비스산업이 고용창출과 직접적으로 연결돼 있다"면서 "내수와 직결되는 서비스산업이 살아나지 않으면 일자리 전망은 더 나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고용정보원은 최근 수년 동안 제조업의 일자리 감소에도 그나마 28~30만개의 일자리가 만들어 질 수 있었던 것은 서비스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때문이라고 밝혔다. 고용정보원 관계자는 "연간 일자리 창출의 최하 마지노선이 27~28만명 수준인 점과 경제성장률을 감안하면 30만개 미만 일자리가 생겨나는 것은 정체나 마찬가지"라고 분석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이날 국무회의에서 "내수가 너무 위축되는 것 같다"고 드러내놓고 걱정을 한 것도 일자리 증가량 축소 전망과 직결돼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내수가 살아나지 않고서는 새 정부의 중점 목표인 대규모 일자리 창출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수차례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라고 강조해왔다. 이에 따라 재정부도 이달 말 서비스산업 개선대책을 추가로 발표키로 하는 등 강력한 내수부양책을 검토 중이다. 고용정보원도 "경제의 새로운 활력이 일어나고 고용정책 방향이 새롭게 재정립될 경우 일자리 증가 규모는 호전될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한 전문가는 "경제성장(6%)과 물가안정(3%대 초반)은 물론 일자리까지 '3마리 토끼'를 모두 놓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져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정부의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괜찮아요 명박이형 운하파면 일자리 30만개쯤 더 늘어날꺼잖앙~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