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코레일 '매표원 연봉 6000만원' 알고보니…
게시물ID : sisa_46266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purusmundus
추천 : 3
조회수 : 1621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12/15 06:33:29
철도민영화 반대로 국정원 문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고려해볼 만한 사항.
철도, 밀양, 국정원, 모두 다른 문제라는 것을 인식해야함.  현재는 좋아보일지 몰라도 이진법논리는 오래가지 못하고 그만큼 많은 반대의견이 따를 것이고.
지금 대통령이 누구던 철도는 민영화가 아니더라도 인금인상을 확실히 포기하고 있을 수 밖에 없는 구조조정 또한 받아드려야 할 것임.  
공기업등의 연봉이 높다 작다 민영화다 아니다를 떠나서 현재와 앞으로 닥칠 불경기와 경제위기는 단순히 민주화와 부정부패의 문제와 해결책이 아님을 아시길.

또한 국정원 문제에 초점을 놓치고 있고 다시 잡지 않으면 모두 놓칠 가능성이 있기때문.  
그리고 앞으로의 불경기 또한 지금보다 훨씬 않좋을 것임.  이를 계속 정치문제로 본다면 오유는 더욱 "극"좌파로 소외 될것이고.



거의 2년이 된 기사지만 그만큼 근본적 문제라는 것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2/01/18/20120118003380.html


코레일 한문희 기획조정실장은 "스마트폰 보급 속도가 빨라지는 등 고객의 직접 발권 비율이 지난해 51.4%에서 올해는 70%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매표인력의 고임금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지고 있어 인력 감축 시기를 앞당겼다"고 설명했다.

코레일은 그러나 '매표원의 인건비가 6천만원에 달한다'는 일부 기관의 지적에 대해서는 "2010년 기준 정규직 매표직원(531명)의 평균 인건비는 총 4천132만원으로 사실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코레일은 2013년에는 132억원의 영업흑자가 가능하고, 현재 민간참여가 추진되고 있는 수서발 고속철도(KTX)를 코레일이 운영할 경우 2015년부터 당기순이익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내놨다.

그러나 이러한 실적에는 코레일 고유 업무와 무관한 용산역세권 개발 사업에 대한 개발수익이 포함돼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