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에니메이터들과 게임제작자들에게 공식협력 요청합니다.
게시물ID : pony_4692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KardienLupus
추천 : 5
조회수 : 489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3/07/04 15:22:41
 My Little pony : Friendship is Magic과 Starcraft 2 자유의 날개 크로스오버 에니메이션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시작한 Kardien Lupus입니다. 제 목표는 한 에피소드 마다 Kickstarter로 후원을 받아 단계적으로 원작과 동일한 26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져있는 Crossover 포니 에니메이션을 만드는 것입니다. 현실적으로 한꺼번에 26개의 포니 에피소드를 만든다는 건 어려운 일이고, 에피소드를 하나하나씩 만들 때마다 각각의 에피소드 당 Kickstarter를 통해 후원을 받아 한 시즌 분량의 에피소드를 진행하는 것이죠. 그러니까, 한 시즌 분량의 에피소드를 만들기 위해서 총 26번-에피소드 숫자만큼-의 후원을 받아야한다는 뜻이기도 하죠.

 다만, 지금 현제 제가 쓸수 있는 시간으로 My Little Portal 수준의 에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고, 시즌 전체를 후원 받는 것보다 한 에피소드당 후원을 받아 한 단계 한 단계씩 낳아가는 것이 좋은 방법이기는 하지만, 문제는 아직 제게는 에니메이션을 기획하고 감독할만한 능력이 없다는 것이군요.

 제가 에니메이션을 기획하고 감독할 수 있고 크로스오버 에니메이션 프로젝트 팀을 구성할 수 있다면 My Little Portal 수준의 에니미에션까지는 만들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재정적으로 후원을 받는다면 확실하게 에니메이션 제작에만 시간을 쓸 수도 있을거고요. 문제는 앞에서 말했던 것처럼 제가 플래시 에니메이션을 배워야 한다는 점이에요. 저번에 지적받았던 것처럼 에니미에션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한다면 에니메이션을 감독하거나 이끌어 나길 수 없을 테니까요.

아래는 제가 지적 받았던 부분입니다.

마루속포니(2013-07-03 18:52:47) (가입:2013-01-21 방문:132)   추천:0 / 반대:0             IP:175.209.***.169 

일단, 확실한 스토리라인과, ( 작가)

대사와 음성효과등도 녹음을 해야할테이지요.

물론 이번에 제작하실건 이미 음성파일(원본) 있으시니 별상관은 없겠지만

메인 프로젝트에서는 독창적으로 가시겠다고하셨으니

성우와 음악, 효과음등도 준비하셔야할겁니다.

 

실제 fim 그렇고 왠만한 애니메이션에서는 성우작업을 먼저합니다.

(그러기전에 이미 잘짜여진 대본이 필요하겠지요. 이전에 스토리작업은 끝나야합니다. 최소한 한시즌분량은 말이죠.)

그런다음 스토리보드를 이용하여 싱크를 맞추지요.

스토리보드를 기반으로 그것을 애니매틱으로 만듭니다.

(동화를 사용하지않고 원화만을 사용하여, 캐릭터들의 기본 이동경로등지만 간단히 나타낸 형태입니다.)

그리고 거기에 동화들을 그려넣어(혹은 모션을 세세히 주어)

애니메이션을 완성하는것이지요.

 

(물론 상업용으로 갈거면 훨씬 복잡하고 돈도많이 들겠지만 상업용은 아니니 저정도면 매우 충분할듯합니다.)

 

그리고 애니메이션기획자역활을 하실려는거 같은데

그럴려면 그것에대해"매우"자세히알아야합니다.

애니메이션에는 분명히 한계점이 있고. 여건에 맞는 최대한의 효율성있는 것을 만들어내야하지요

아무래도 기획자를 혼자하시기 보다는 실제로 애니메이터로 일하고계시거나, 그쪽에서 배우고계신분을

포섭(?)하여 협력하는것이 가장 좋을듯합니다

 포니 게시판에서 최근 플래시를 이용한 게임이나 에니메이션 제작 움직임이 있다는 걸 보아왔고, 유니코리아라는 국내 전용 포니 뉴스 사이트가 등장할정도로 팬덤이 발전했다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지금 현제 상태로는 간단한 움짤이든, 게임이든, 에니메이션이든 간에 확실히 플래시와 백터 에니메이션 분야를 개척해 나갈 브로니들이 없는 것 같군요.

 그래서 생각한 것인데, 플래시, 백터, 게임등을 제작하려는 브로니들이 매일 저녁에 모여서 서로 정보를 나누고 플래시와 백터에 대한 지식을 나눌 수 있는 모임이나 그룹을 만드는 건 어떨까요? 물론, 친목문제를 방지하게 위해 포니 게시판에 그런 그룹이 있다는 것만 알리고 그룹을 신입 유저들에게도 개방하고요.

 설령 서로 제작하고 싶은 포니관련 2차 창작이 다르더라도 함께 모여서 정보를 나누고 배우는 시간을 가지는 건 분명히, 한국지역 브로니 2차 창작을 성장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해요. 포니 관련 에니메이션 프로젝트 팀에 참가하고 싶은 분이나-우선 제가 시간을 낼 수 있으니까, 제경우엔 제게 플래시에 대한 정보나 기술을 가르쳐 주신다면 제가 나머지 에니메이션 관련 부분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관련 정보를 함께 나누고 서로 배우고 싶은 분이 계시다면 이 포스트 아래에 덧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제가 저녁에 2차 창작관련 그룹을 만들도록 하겠습니다-물론, 당연히 닉언급 주의 및 신입 유저 유입은 지킬거고요. 국제적인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인 Skype를 이용하면 그룹 내부에서 화면공유 및 음성 통신을 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거의 대부분의 브로니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인만큼 해외 브로니들과의 연결도 쉬울거고요. 그럼, 에니메이션, 게임, 백터 제작 그룹에 함께 하실 분의 덧글을 기다리겠습니다. 

 아래는 포니크래프트 프로덕션의 정식 로고입니다. 곧 로고 에니메이션을 제작할 예정인데, Team Frotress 2의 Mann Vs Machine 트레일러처럼 톱니바퀴들이 움직이면서 프로덕션 로고의 모습이 드러나는 에니메이션이 될 겁니다.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는 깃발은 RD의 색상일 뿐더러 레즈비언, 게이, 바이 섹슈얼 그리고 트렌스 젠더를 상징하는 무지게 깃발입니다-RD의 재미있는 점은 성소수자 깃발과 갈기색이 완전히 일치한다는 것이죠-. 아래 쓰인 단어는 이 깃발의 의미가 무엇인지 아실거에요라는 뜻이고요. 제가 ponycraft Production 로고에 무지게 깃발을 사용한 건 제 개인적인 이유 때문이라고 말씀드려야 겠군요.

 그럼 전 이제 로고 에니메이션을 만들러 가봐야 겠네요. 그럼 7월 4일 12시까지 팬 2차 창작에 관심있는 분들의 연락을 기다리겠습니다.

Ponycraft 2 Studio Logo.png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