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변호인'의 실제 피해자가 고 노무현 대통령에게 보내는..
감사 편지
영화 <변호인>은 1981년 발생한 용공조작 사건인 부림사건을 모티브로 한 영화다.
당시 고문 피해자들의 변호인 중 한 명이 바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었다.
자서전 <운명이다>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은 부림사건에 대해서 이렇게 회고했다.
영화 <변호인>의 실제 피해자이기도 한 송병곤씨가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를 시사IN에 보내왔다.
“일 단 구치소로 피고인 접견을 갔다. 그런데 여기에서 상상치도 못한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
얼마나 고문을 받았는지 초췌한 몰골을 한 청년들은,
변호사인 내가 정보기관의 끄나풀이 아닌지 의심하는 기색이었다.
그들은 모두 영장 없이 체포되었고 짧게는 20일,
길게는 두 달 넘게 불법 구금되어 있으면서 몽둥이찜질과 물고문을 당했다.
그들이 그렇게 학대받는 동안 가족들은 딸 아들이 어디에 있는지도 몰랐다.
한 젊은이는 62일 동안 불법 구금되어 있었다.
그 어머니는 3·15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시위에 참가하였다가
최루탄이 얼굴에 박힌 시신으로 마산 앞바다에 떠올랐던
김주열을 생각하면서 아들의 시신이라도 찾겠다고 영도다리 아래부터
동래산성 풀밭까지, 마치 실성한 사람처럼 헤매고 다녔다.
변사체가 발견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혹시 아들이 아닌지
가슴을 졸이며 뛰어갔다. 그 청년의 이름은 송병곤이었다.”
당신은 우리의 영원한 '변호인'입니다
‘바보 노무현’이라고 불리는 당신을 처음 만난 날은
1981년 여름 어느 날, 저는 부림사건의 피고인이었고,
당신은 변호인이었습니다. 제 나이 만 22세, 당신의 나이 35세.
이제 와서 나이를 헤아려보니 노 변호사님도 그때는 무척이나 젊었습니다.
처 음 노 변호사님을 접견했을 때 저는 변론을 거부했습니다.
나중에 자서전을 보니 노 변호사님은 제가 변론을 거부한 이유가
노 변호사님을 정보기관의 끄나풀로 의심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셨더군요.
사실 그때는 자포자기하는 심정이었습니다.
그래서 제 변호는 스스로 하겠다고, 필요없다고 한 것이었습니다.
아무 말씀이 없으셨던 노 변호사님은 성실한 변론으로 스스로를 증명하셨습니다.
저는 당신의 갑작스러운 제의에 1984년 4월부터 노무현 변호사사무실에서 직원으로 근무했습니다.
뒤에 알고 보니 어머님의 부탁이 있었다 하더군요.
첫 출근 날 영문도 모른 채 최병두 사무장님을 따라 간 곳은
맞춤양복점이었습니다. 치수를 재는 재단사에게 몸을 맡기고 있자니
사무장님이 “변호사님이 양복 한 벌 맞춰주라고 하더라” 하시더군요.
그렇게 따뜻하고 산뜻한 양복 한 벌 얻어 입고 사무실 직원이 되었습니다.
(중략)
그리고 2002년, 이해를 잊을 수가 없습니다.
50년 남짓 산 인생에서 2002년은 가장 행복했던 해입니다.
그해에 노무현의 대통령 경선이 있었습니다.
노무현의 대통령 당선 과정이 전부 드라마였지만,
저에게는 경선 과정이 가장 큰 기적이었습니다. 행복했습니다.
재임 기간이 끝나면 자주 찾아뵙고 버릇없이 굴면서
술 한잔 올리고 싶었습니다. 당신과 주변 인물들에 대한 수사가
진행되면서 집사람에게 봉하마을 한번 가자 말만 하고는 찾아뵙지도 못하고,
봉하마을에 전자편지라도 한통 보내자고 하면서도 게으른 탓에 아무것도 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추모의 글을 쓰게 될 줄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나 와 당신이 겪었던 부림사건으로부터 시간이 꽤 흘렀습니다.
그런데 세상이 바뀌니 말을 바꾸는 사람들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민주화 유공자로까지 인정받았던 우리를 용공주의자라고 매도하며 부림사건이 조작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억울함이 다시 차오를 무렵 당신의 모습을 담은 영화가 개봉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 영화가 우리의 억울함을 잘 대변해줄 것으로 믿습니다.
당신의 그림자가 깁니다. 당신은 우리의 영원한 변호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