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바이러스와 진화론 이야기
게시물ID : science_1721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hatter
추천 : 20
조회수 : 1115회
댓글수 : 8개
등록시간 : 2013/02/23 23:28:24




두 가지 바이러스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사람들이 잘못 이해하는 진화론의 개념에 대해 말해볼려고한다. 

인류 역사에 나름 유명한 바이러스 두 종이 있다.


A 바이러스  : 잠복기 10년에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서 밖에 전염이 안 되고, 성교에 의해서는 첫 성교시 남자의 경우 0.3% 확률로밖에 전염이 안 됨. 걸리더라도 약만 먹으면 거의 정상인처럼 활동 가능. 잠복기 내에는 맨 처음에 감기 증상을 제외하면 증상도 없다.


B  바이러스: 잠복기 4-10일, 치사율 80% 현재 1100명 정도가 걸려서 800명이 죽음. 백신, 치료제가 전무하고, 걸릴 경우 두통, 고열, 근육통에 토혈, 토변 안구 출혈 등 온몸에서 출혈 증세가 일어나 죽음. 전염 경로는 혈액과 분비물인데, 증상 발현 후 61일까지 환자가 분비한다.


A,B 바이러스 중 어느 바이러스가 더 위험하냐고 물어본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B바이러스가 더 위험하다고 말할것이다. 하지만 A바이러스는 그 유명한 에이즈 바이러스이고, B바이러스는 에볼라 바이러스로 에이즈 바이러스는 전세계에 다 퍼져있는 바이러스이지만 에볼라 바이러스의 경우 실험실에만 존재하는 거의 멸종된 바이러스이다.


실제로 에이즈 바이러스의 경우, 잠복기와 전염 형태를 봤을 때 매우 약한 바이러스에 속하고, 에볼라의 경우는 어느 마을에 한 두명이라도 걸릴 시에 그 마을 자체의 존립 자체를 뒤흔드는 바이러스이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에이즈의 바이러스의 그 약한 점과 에볼라 바이러스의 치명성 때문에 에이즈는 전세계에 퍼졌지만, 에볼라는 거의 없어졌다.


에볼라의 경우 걸리더라고, 치사율이 너무 높기때문에 충분히 전염이 되기 전에 그 근방의 숙주들이 전부 죽어버린다. 물론 큰 대도시에 걸릴 경우, 그 도시에 사는 수많은 사람들이 위험한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전세계에 퍼지기에는 너무 치사율이 높고, 잠복기가 너무 짧다. 


반면에 에이즈 바이러스의 경우, 꽤 오랜 역사를 가진 바이러스이다. 미국에서 80년대에 발견되었지만, 실제로는 오래전부터 아프리카에 존재하던 바이러스이다. 그리고  꽤 오랜기간 인류와 함께하던 바이러스이다.그렇지만 그 오랜기간 동안 조용하게 지내오던 바이러스이지 인류를 위험하던 바이러스는 아니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 인류가 무서워하는 바이러스가 되었다. 그 원인이 많이 잇겠지만, 이렇게 갑자기 위험한 바이러스가 된건, 바이러스의 변형이라기보다는 인류의 행동 방식에 변화에 의해서라고 보는게 맞다. 


추정이기는 하지만 에이즈가 갑자기 퍼진 원인으로 인간 행동 방식의 변화, 특히 혼전 성관계가 자유로워졌기 때문으로 본다. 미국의 경우, 기독교인들이 중심인 나라이기 때문에 혼전 성관계가 어려운 나라였다. 그러다 70-80년대가 넘어가면서, 혼전 관계가 자유로워지면서, 에이즈가 퍼지게 되었다. 바이러스는 변하지 않았지만, 숙주의 행동 패턴에 따라서 그 치명성이 달라진 것이다. 

(에이즈로 혼전 성관계를 비판하는 글은 아닙니다. 에이즈보다 매독이 더 위험하고, 콘돔을 통한 피임을 한다면 100%감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혈액에 비해서도 전염성이 매우 낮습니다.)


결론을 말하면 에볼라는 매우 치명적 바이러스이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너무 치명적이기 때문에 멸종된 바이러스이다. 진화론의 적자생존의 개념을 잘못 이해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적자 생존은 적합한 종이 살아남는 다는 말이지 강한 종이 살아남는 다는 말이 아니다. 에볼라의 경우처럼 매우 강하기는 하지만 그 바이러스의 강함도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면 멸종이 되는것이다. 그리고 에이즈의 경우를 보면 그 환경도 정지해 있는 것도 아니고, 유동적으로 계속 변화되고 있다.어느 순간의 약함도 어느 순간에는 강함이 될 수 있다. 이건 다시 말해서 완전한 강함이라는 건 존재하지 않는다는 말과 같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이 가장 강한 종도 아니고, 현재의 강함도 어느 순간에는 약함이 될 수 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