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펌] ARM 기반 아키텍처별 실제 정수연산 성능 비교.
게시물ID : smartphone_1768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CyanogenMod
추천 : 2
조회수 : 2005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02/25 11:21:26

ARM 기반 아키텍처의 성능을 논할 때 가장 많이 쓰는 개념이 DMIPS입니다.

Dhrystone Million Instruction Per Second

(초당 드라이스톤 명령어 처리 수.)

 

대표적으로 알려진 값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Cortex-A9 가 2.5 DMIPS/MHz

Cortex-A15 가 3.5 DMIPS/MHz

Scorpion이 2.1 DMIPS/MHz

Krait가 3.3 DMIPS/MHz

 

하지만 스펙대로 성능이 나와주지 않는게 현실이지요.

드라이스톤 성능을 측정해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인터넷을 뒤져본 결과 안드로이드에서 간편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벤치마크 앱 중에서 가장 괜찮은게 링크에 있는 앱입니다.



링크에 올라와있는 일부 제품의 테스트 결과입니다.

Opt Vax MIPS가 우리가 봐야할 DMIPS/MHz 입니다.

테그라3 는 쿼드코어이고, AML8725-MX는 듀얼코어인데 결과가 비슷한 것으로 보아 1코어당 성능으로 보입니다.

흔히 언급하는 DMIPS/MHz 수치도 원래 1코어 기준이지요.

(no opt 는 비최적화를 의미, bogo MIPS는 동일 CPU간의 비교에서만 의미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의미가 없지요.)

 

AML 계열 AP는 상대적으로 더 유명하니 재끼고 테그라3와 엑시노스4412 를 비교해보지요.

둘 다 Cortex-A9 기반 쿼드코어입니다. (2.5 DMIPS/MHz)

테그라3 는 1.61 DMIPS/MHz 이고, 엑시노스 4412는 1.94 DMIPS/MHz

이론적인 스펙에는 못 미치지만 그건 이미 예상된 바이고, 중요한건 같은 기반의 제품이라도 제조사마다 제품마다 다른 성능이 나온다는겁니다.



제꺼를 돌려봤습니다.

스냅드래곤 S4 듀얼코어로 이론적으로 3.3 DMIPS/MHz 입니다만, 2.23 DMIPS/MHz 가 나오네요.

엑시노스4412 와 비교하면,

이론 성능으로는 32% 높아야하지만 (3.3/2.5 = 1.32)

실제로는 15% 높습니다. (2.23/1.94 = 1.15)

 

테그라3 성능이 그저그런 것.

엑시노스가 고성능으로 평가받는 것.

스냅드래곤S4 가 생각보다 엑시노스4412 와 성능차이가 나지 않는 것.

많은 것들이 설명되는 결과입니다.

 

이걸 테스트한 결과를 모아서 데이터베이스화하면 정수연산 성능을 비교할 수 있고, 체감성능을 예상하기 쉬워질텐데,

알려지지 않은 탓에 거의 쓰이지 않는다는게 문제네요.

구글 마켓에도 없으니 당연한 일인듯.

 

아래 링크는 앱 다운로드 링크이니 한 번 해보고 결과 공유 좀...

마켓링크 아닙니다. 용량은 100KB 정도. 


http://www.roylongbottom.org.uk/Dhrystone2.apk


------------------------------------------------------------------------------------------------------------------


루리웹 펌입니다. 참고로 갤삼지는 1.94 DMIPS/MHz네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