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가지 더 빼먹을 수 없는 게.
그나마 재계약 가능했던 "소방항공기" 조차도 "불 안 나면 쓸데없는 돈" 운운하면서 홍발정이 재계약 안 했다는 겁니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60417/77634607/1 사천공항에 3년간 발묶여 있는 ‘소방 비행기’
2012년 4월 민주당 김두관 경남지사 시절 경남도가 국내 항공기 운용사인 케이바스(대표 김종관)를 통해 들여왔다. 임차료는 120일(4, 5월 45일+11월∼다음 해 1월 75일)에 20억 원. 하루 1600여만 원으로 비싼 편이다. 당시 산불이 자주 발생한 데다 “헬기만으로는 진화에 한계가 있다”는 도의회 지적을 반영한 조치였다.
그러나 도입 한 달 뒤인 5월 6일 오후 8시 반경 경남 사천의 산불을 진화하면서 이 비행기는 남강댐에서 물을 길어오지 않았다. 그 대신 사천비행장에서 소방차를 통해 급수를 받아 논란이 됐다. 이후 양산 등지에 몇 차례 낮에 출동을 했을 뿐 야간 진화는 없었다.
김 전 경남지사가 중도 사퇴하고 2012년 12월 취임한 새누리당 홍준표 경남지사는 이듬해인 2013년 2월 5일 실국원장 회의에서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야간 실험도 해보지 않고 20억 원이나 되는 도민 세금을 들여 엉터리로 계약했다”며 호통을 치고 개선책을 지시했다. 그 무렵 진행되던 재계약은 없던 일이 됐다.
이 비행기는 공항사용료와 보험료, 엔진 점검 비용만 연간 2억여 원, 감가상각까지 합치면 연간 4억5000여만 원을 까먹고 있다. 김 전 경남지사의 지시로 비행기 임차를 담당했던 공무원은 징계까지 받았다. ‘충분한 검증을 거치지 않았다’는 이유였지만 수긍을 못하는 눈치다.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327580214 ‘고정익 소방항공기’라도 있었다면
고정익 항공기는 국내에서 잠시 도입한 적이 있다. 2012년 경남에서 헬기의 약 두 배에 해당하는 저수 능력을 갖춘 캐나다산 기종의 고정익 항공기를 연간 120일간 20억원에 임차 도입한 바 있었다. 하지만 비싼 임대료와 야간 산불 진화 능력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재계약이 중지됐다.
고정익 항공기가 국내 실정에 안 맞을 수 있다. 항공기가 비행하며 물을 담을 만한 강이나 호수가 마땅치 않아 공항에서 소방차를 이용해 물을 받아야 하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산이 많은 국내 지형에는 항공기보다 헬기가 더 효과적이라는 주장도 있다.
현재 국내에는 고정익 소방항공기가 없다. 도입 시도는 있었다. 지난해 산림청이 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군 수송기에 물탱크를 부착하는 방식을 추진했으나 국방부의 협조를 얻지 못해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젠 상황이 달라졌다.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대형 산불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악의 산불을 현재진행형으로 겪고 있다.
----
홍발정은 그저 솔직한 것 뿐이라는 등등 헛소리 지껄이는 것들이 꽤 있는데.
이게 벌레가 아니면 도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