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MLP CrossOver] 핑키미나 광기의 귀환
게시물ID : pony_484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KardienLupus
추천 : 5
조회수 : 870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2/10/06 13:11:56

 제가 좋아하는 아메리칸 맥기의 앨리스 게임 시리즈가 있는데 이 게임은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 리델-이상한 나라의 엘리스의 실제 인물을 모티브로 함-이 8살때 화제로 가족들을 모두 잃어버리고, 미쳐버린 채 광기와 악몽으로 변해버린 원더랜드를 구원하는 이야기입니다.



엘리스의 두번째 작품 Madness Returns 홈페이지 http://www.ea.com/alice .


첫번째 작품 아메리칸 맥기의 엘리스는 엘리스가 화제 사고로 가족을 잃었다는 죄책감을 극복하는 이야기였다면-화제 사건때 가족들을 구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이 만들어낸 미쳐버린 이상한 나라를 모험하는- 2번째 작품 엘리스 : 광기의 귀환은 리델 가족들이 모두 죽게 된 화제의 원인, 진실과 그 기억을 찾기 위해 다시 이상한 나라로 모험을 떠나느 이야기이죠.


이 작품도 다른 작품들과 같이 마이 리틀 포니 : 프랜드 쉽 이즈 매직과 크로스 오버 되어 있습니다.



PINKIE PIE MADNESS RETURN by ~bakki on deviantART


모자 장수를 만나기 위해 스팀펑크 드레스를 입고 장난감 말-목마- 무장한 핑키미나; 장난감 말은 광기의 귀환에서 등장하는 무기-장난감-인데 이 장난감이 말이라는 점에 착안해서 아티스트가 셀레스티아 장난감 말로 표현했네요. 게임 상에는 장난감-무기로 사용되지만 실제로는 장난감인-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데 카드 4장-4단계-까지 업그레이드 하면 장난감 말이 유니콘으로 바뀝니다. 그림의 원작자 깨서는 그걸 생각하신 듯 하군요.



Pinkie Pie Madness returns by *Danielle-chan on deviantART


포니화 된 엘리스 : 광기의 귀환의 이미지. 원작자께서는 핑키미나가 핑키파이 인형을 가지고 있는 걸로 표현하셨는데 MLP : FIM 과 Alice 시리즈의 연관성을 생각해보면 Gummy-잇몸이-인형, 혹은 잇몸이- 이었어도 괜찮았을 것 같군요.



Pinkie Pie: Madness Returns by *petirep on deviantART


Alice In Wonderland는 다양한 상상력과 기호들로 가득차있는 동화이죠. 동시에 동화이면서도 동화의 주인공인 엘리스조차 완전할 수 없다는 걸 보여주기도 하고요-엘리스의 성장 자신의 동화속에서 벌인 일에 대한 죄책감-엘리스가 눈물샘 호수에서 나와서 여러 새들과 동물들을 만났을 때 고양이 이야기를 해서 모두를 겁주었었죠, 엘리스는 그걸 반성했고요-전 이 부분이 Lewis Carrol이 표현한 다른 동화하고는 다른 성장을 표현하는 모습이라고 생각해요. 위의 그림은 작가가 컨샙을 잘 잡았다고 생각해요. 카드들을 핑키파이의 친구들로 바꾸고 핑키미나의 얼굴을 통해 분위기를 전달 하니까요.



Pintroducing Queensland by =saturnspace on deviantART


핑키미나 광기의 귀환의 스포일러가 되는 붉은 여왕의 모습.



Comatose Pinkamena by *Tyrranux on deviantART


아메리칸 멕기의 핑키 파이. 이 크로스 오버 아트는 1편의 앨리스 모습을 크로스 오버했군요.



Painting the Roses Pink? by ~SoulSpade on deviantART


2편의 모습을 표현한 작품인데 작가에게 광기의 귀환과 핑키파이의 크로스 오버를 균형있게, 그러면서도 임펙트있게 표현했다는데 좋은 점수를 주고 싶군요.



SURPRISE HYSTERIA by *LuigiRivera on deviantART


엘리스 : 광기의 귀환에서는 장미가 하나 남았을 때-장미로 표현되는 채력-히스테리아 모드를 실행시키 일시적으로 무적이 되고 적들에게 더 많은 데미지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게임 오버 직전까지 같을 때 마지막으로 주어지는 플레이 기회인 샘이죠. 원작게 깨서는 핑키의 이전 세대 케릭터인 서프라이즈를 핑키미나 광기의 귀환의 히스테리아 모드로 표현했군요.



MLP : Tea break by *bakki on deviantART


엘리스의 제버위키를 디스코드로 바꾼 그림입니다. 원작에서의 디스코드가 그렇듯 핑키미나 시리즈의 디스코드도 핑키의 부정적인 모습을 상징하죠.


그밖에도 엘리스 광기의 귀환 커버 크로스 오버나 디스코드를 최종보스로 그린 아트들도 있는데 그걸 찾지 못했어요. 디스코드의 경우에는 Top Hat을 쓰고 머리에서 차를 쏟아내며 무색의 판 위에서 포니들을 조종하는 그림이 엘리스 : 광기의 귀환의 영향을 받은 그림일 거에요. 그 그림은 이미 디스코드 그림 모음에 올려져 있죠.


 핑키파이는 한니발 렉터같은 인물이나, 살인마, 호러 스토리의-사일런트 포니빌- 주인공 혹은 엘런 리플리같은 여전사의 역활을 2차 창작에서 자주 맡는 것 같아요. 호러 게임 데드 스페이스 시리즈의 아이작 클라크는 에일리언 엘런 리플리를 참고한 케릭터이고 포니 스페이스의 주인공은 암말인 핑키 파이죠. 핑키 파이의 끊임없이 웃는 모습과 절망에 굴하지 않는 용기 그리고 컵케익에서 파생된 핑키미나의 성격에 합쳐져 핑키파이가 호러 스토리의 주인공이 되는 것 같군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