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정성원리란 운동량과 위치 각각의 오차의곱은 일정한 수 보다 크다 즉, 둘다 정확하게 측정할수 없다라고 알고있습니다만... 실제 분석측정에서는 이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원리를 적용하는데 문제점이 무엇인지가 질문입니다. 부끄럽지만 과제입니다 ㅠㅠ 답을 가르쳐달라고 말하고싶진않습니다. 부디 어떤식의 생각이나 방향으로 조사해야할지만이라도 말씀해주셨으면합니다 인터넷도 찾아보고 책도 찾아보고 두시간가량 혼자 고민해봤는데, 이렇다할 답이 나오지않네요 ㅠㅠ
불확정성원리는 미시적인 입자에 대해서 성립하고 실제분석측정은 관찰가능한 거시적인 차원의 이야기라서 적용하는데에 문제가있는걸까...라고 상상력을 발휘해보지만 참 어렵네요... 불확정성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