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20629093003920&RIGHT_COMMENT_TOT=R13 2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인천공항 민영화 추진을 두고 항공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워낙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하려는 의사를 보이니 항공사 입장에서도 눈치를 불 수밖에 없다"면서도 "민영화가 되면 현재보다 공항이용료 등이 오르는 건 당연하다. 항공업계도 인천공항 민영화가 걱정이 크다"고 전했다.
이미 민영화를 추진한 영국 런던 히드로 공항은 민영화의 대표적인 예로 거론된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현재 히드로공항은 런던을 기준으로 최종목적지 국가의 수도까지 거리를 계산, 4등급으로 나누며 인천은 3번째 등급에 해당된다.
같은 비행기를 이용하지만 일반석과 비즈니스석의 공항이용료도 차별 부과된다. 편도 기준 일반석은 81파운드(14만7900원), 비즈니스석은 162파운드(29만5700원)를 지불해야 한다.
현재 인천공항을 이용할 때는 공항 이용료를 포함, 1인당 2만8000원을 지불하고 있다. 히드로공항과 비교하면, 일반석은 약 5배, 비즈니스석은 10배 이상의 비용을 내야 하는 꼴이다. 일반석을 배려했다기보다는 비즈니스석 고객에 과도하게 부담을 더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A항공 관계자는 "인천공항처럼 거점 공항으로 인기가 있는 공항이라면 민영화 이후 공항이용료가 떨어질 이유가 없다는 건 상식적인 수준의 판단"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공항이용료가 항공권에 포함돼 있다는 점이다. 동남아 지역 등 일부 공항에선 공항이용료를 출입국 심사 과정에서 별도로 징수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항공권 가격에 유류할증료와 함께 공항이용료가 포함된다. 공항이용료가 오르면 결국 고객이 체감하는 항공권 가격이 오르게 되는 구조다. B항공 관계자는 "공항이용료 상승에 따른 고객들의 불만이 항공사에 쏠릴 것"이라며 "이익은 공항이 보게 되고 고객 불만은 항공사가 떠맡게 되는 셈"이라고 토로했다.
공항이용료 뿐 아니다. 활주로 사용료나 공항 내 사무실 운영비용 등 항공사가 직접적으로 지불해야 하는 비용 역시 변동이 예상된다. 아테네 공항 역시 민영화가 추진된 이후 시설 사용료가 500% 인상된 바 있다. C항공 관계자는 "공항이용료가 서비스 관점의 문제라면, 공항 시설 이용료 증가 등은 항공사 수익과 직접 연관된 문제"라며 "민영화가 되면 사무실 임대료를 비롯, 주차 사용료 등 고정비용이 오르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전했다.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외국계 항공사도 마찬가지다. 동남아 지역을 거점으로 운영하는 한 외국계 항공사 관계자는 "가격, 운항 편의성 등에서 인천발 노선에 외국계 항공사가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며 "민영화에 따른 비용 상승이 이런 상승세에 악영향을 끼치진 않을까 우려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