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공인 ip의 80포트가 닫혀있을 때 궁금한 점
게시물ID : it_493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HyunLyang
추천 : 0
조회수 : 1940회
댓글수 : 6개
등록시간 : 2016/01/15 20:24:48
옵션
  • 본인삭제금지
  • 외부펌금지
CentOS 7에 웹서버를 구축해서 돌리고 있습니다. '15년 10월인가까지 돌리던 도메인이었는데 만료되어 새로운 도메인으로 갈아타고 싶어서 도메인 교체 겸 웹서버용 pc를 맞췄습니다.


공유기 내부 ip로 접속하면(끝자리 99) 사이트가 잘 뜹니다. 도메인 네임으로 ping을 보내도 잘 작동하고, 제 공유기에 할당된 공인ip로 ping을 보내도 핑이 잘 오는데 막상 브라우저에서 도메인입력해서 접속하려면 사이트가 안뜨네요.


httpd.conf 설정도 다시 보고 virtual host 설정도 다시 봤는데 딱히 이상은 없습니다. 내부 네트워크의 다른 pc나 ipad로 접속하면 사이트가 잘 보이는걸로 봐서 일단 httpd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 같습니다.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으로 외부포트 80, 443 설정해서 규칙 작동도 시켰는데 안되길래, http://www.yougetsignal.com/tools/open-ports/ 이 사이트에서 공인 ip의 80포트가 열려있나 확인해봤더니 닫혀있답니다. 443도 닫혀있구요.


그래서 제 생각엔 지금 제가 기숙사에 살고 있어서 기숙사 라우터에서 외부포트가 막혀있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처음엔 안 막혀있다가 도메인 만료 시기 즈음해서 막힌게 아닌가 싶더라구요.

검색해보니 요즘은 막아놓고 안 풀어준다는 것 같은데 통신사에 전화해서 확인해봐야 되는건가요?

결론은 공인ip의 80포트가 닫혀있다는 뜻이 기숙사의 라우터 80포트가 닫혀있다는 의미인건지 궁금합니다.

1번포트부터 체크해야 하는건지 난감하네요. 어떤 포트가 열려있는지는 보안 이슈랑 관계 있는걸로 아는데 애매하네요 ㅠ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