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베스트 간 "적응"과 "진화"에 대한 보충설명
게시물ID : science_4935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다윈의물고기
추천 : 3
조회수 : 7764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5/04/29 21:03:15
1429979806210.jpg


결론부터 말하자면 "적응"과 "진화"는 상반되는 개념이 아닙니다.

위의 이미지는 아무래도 참고서를 찍은 거 같은데(교과서라면 대한민국 생물 교육에 아주 큰 문제가 있는 겁니다.) '진화'의 뜻부터 잘못 설명하고 있네요.


진화.PNG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5041&cid=40942&categoryId=32328

진화는 새로운 종이 나타나는 현상을 뜻하는 게 아닙니다.

종이 갈리는 현상은 '종분화'라고 해서 따로 부르는 용어가 있습니다.

진화란 아주 간단히 말해 생물이 여러세대에 걸쳐 유전적으로 변화해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종이 갈리는 건 이 변화의 과정이 누적되어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일 뿐입니다.

다시 말해 진화는 종분화를 포괄하는 보다 넓은 개념입니다.



진화가 간단히 말해 변화를 뜻하는 말이라면, 여기서 여러 질문이 파생될 수 있습니다.

이 변화라는 건 '왜' 일어나는가? 변화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변화의 '방향'은 어디인가? 등등.

적응은 위 질문 중에서 '방향'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적응이란 생물이 주변 환경에 맞추어 보다 생존과 생식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화해가는 현상을 뜻합니다(혹은 진화한 현상).

즉, 여기서 우리는 진화가 적응을 포괄하는 개념임을 알 수 있죠.

한마디로 적응에 해당되는 현상은 모두 진화에도 해당되는 현상인 겁니다.



저는 대학교에서 생명과학을 전공하기는 했지만 고등학교 심화과목은 생물이 아닌 화학을 선택했기 때문에 참고서가 아닌 실제 교과서에서도 '적응 vs 진화'와 같은 식의 잘못된 대비 개념을 가르치고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너무나 잘못된 개념이기 때문에 저런 식의 내용이 실린 교과서는 아마 심의를 통과하지 못할 거라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학교 선생님들이나 참고서 제작자들이 '순응 vs. 적응'의 대비 개념과 착각해서 저런 실수를 저질러 왔던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순응(acclimatization)이란 현상은 적응(adaptation)과 마찬가지로 주변 환경에 맞추어 생존에 유리하도록 생물이 변화를 겪는 현상을 말합니다.

다만 적응여러 세대에 걸친 유전적인 변화를 뜻한다면, 순응한 개체생리적인 변화를 뜻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죠.

평소 고도가 낮은 곳에서 살던 사람이 고도가 높은 곳으로 이동하여 얼마간 있을 경우 혈액 내 적혈구의 숫자가 증가하는 현상이 대표적인 순응의 예입니다.





요약

1. 진화란 생물이 여러세대에 걸쳐 유전적으로 변화해 가는 현상
(새로운 종으로 갈리는 현상은 종분화라고 하며, 진화는 종분화를 포괄하는 보다 더 넓은 개념)

2적응이란 생물이 주변 환경에 맞추어 보다 생존과 생식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화해가는 현상
(즉, 적응과 진화는 서로 대비되는 개념이 아니라 진화가 적응을 포괄하는 개념)

3. 적응은 주변 환경에 맞추어 생존 및 생식에 유리하도록 생물이 여러세대에 걸쳐 유전적인 변화를 겪는 현상.
순응은 주변 환경에 맞추어 생존 및 생식에 유리하도록 한 개체가 생리적인 변화를 겪는 현상.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